상황인식적 서비스 관점의 스트레스 지수 모델 및 u-SMC(Stress Management Center)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Stress Index Model and u-SMC (Stress Management Center) Business Model from the Context-Aware Computing Perspective

  • 김형진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 이상훈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 이호근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발행 : 2008.06.30

초록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등장하고 있는 각종 서비스들은 공통적으로 상황인식 컴퓨팅(context-aware computing)의 속성을 갖고 있다. 사용자를 둘러싼 다양한 상황(context)을 인식하여 다른 곳으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지능적인(intelligent)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을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의 기본 속성이라고 할 때,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는 웰빙케어(well-being care)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상황인식 컴퓨팅의 속성을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새로운 서비스에 적용해 봄으로써, 스트레스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개인화 된 항스트레스(personalized anti-stres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스트레스 지수 모델(stress index model)을 개발하고, 스트레스를 측정하여 그에 맞는 항스트레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또한, 데모시스템의 테스트를 통해 스트레스 지수 모델의 기술적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방법들을 사업적 관점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서, 스트레스 측정과 관리를 주 목적으로 하는 u-SMC(Stress Management Center)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의 상용화 가능성도 살펴보았다.

Recently, feasible service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are commonly based on context -aware computing. With the concept of context-awareness we can imagine more effective way to measure human being's daily stress and provide anti-stress services. Our study introduces log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to manage the str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ress index.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s, we also designed a business model for u-SMC, which is a profitable organization specialized in providing stress measurement services and personalized anti-stress services by utilizing the stress index mod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