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 information

검색결과 4,399건 처리시간 0.032초

Privacy-Aware Adaptable Web Services Using Petri Nets

  • Song, You-Jin;Yim, Jae-Geol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5권1호
    • /
    • pp.19-24
    • /
    • 2009
  •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frameworks that are capable of handling context information and can be adapted and used by any Web service. However, no research involving the systematic analysis of existing frameworks has yet been conducted.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xt Framework, an example of existing frameworks, using a Petri net, and analyzes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n, a Petri net model - with its disadvantages removed - is introduced, and a new framework is presented on the basis of that model. The proposed PAWS (Privacy Aware Web Services) framework has a expendability for context management and communicates flexible context information for every session. The proposed framework can solve overhead problems of context in SOAP messages. It also protects user privacy according to user preferences.

맞춤형 u-City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황인지 추론 시스템 (Context-Aware Reasoning System for Personalized u-City Services)

  • 이창훈;김지호;송오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1호
    • /
    • pp.109-116
    • /
    • 2009
  •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상황인지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u-City에서는 도시의 곳곳의 센서 등을 통해 상황 정보가 수집되고, 개인들은 자신의 모바일기기와 도시의 정보 통신 인프라를 통하여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u-City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센서나 디바이스에서의 정보를 구조화하는데 유용하고 상호 관계성 및 부분적인 상황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OWL(Web Ontology Language)을 사용한 온톨로지를 설계하고, 수집된 상황정보와 사용자의 의도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추론하는 맞춤형 u-City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황인지 추론 시스템을 제안한다.

Middleware for Context-Aware Ubiquitous Computing

  • Hung Q.;Sungyoung
    • 정보처리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6-75
    • /
    • 2004
  • In this article we address some system characteristics and challenging issues in developing Context-aware Middleware for Ubiquitous Computing. The functionalities of a Context-aware Middleware includes gathering context data from hardware/software sensors, reasoning and inferring high-level context data, and disseminating/delivering appropriate context data to interested applications/services. The Middleware should facilitate the query, aggregation, and discovery for the contexts, as well as facilities to specify their privacy policy. Following a formal context model using ontology would enable syntactic and semantic interoper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between different domains. Moddleware should also provide different kinds of context classification mechanical as pluggable modules, including rules written in different types of logic (first order logic, description logic, temporal/spatial logic, fuzzy logic, etc.) as well as machine-learning mechanical (supervised and unsupervised classifiers). Different mechanisms have different power, expressiveness and decidability properties, and system developers can choose the appropriate mechanism that best meets the reasoning requirements of each context. And finally, to promote the context-trigger actions in application level,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uniform and platform-independent interface for applications to express their need for different context data without knowing how that data is acquired. The action could involve adapting to the new environment, notifying the user, communicating with another device to exchange information, or performing any other task.

  • PDF

개념 계층 모델을 이용한 온톨로지 기반 상황 인식 추천 시스템 (Ontology based Context-Awar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ncept Hierarchy)

  • 안명환;권준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81-89
    • /
    • 2007
  • 유비쿼터스 기술의 성장으로 사용자의 상황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상황 인식 추천 서비스가 요구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상황 인식 추천 서비스는 상황에 따른 추천 정보를 개념 수준의 변화 없이 일관된 개념 수준의 정보만을 제공하였다. 그러므로 추천된 정보가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수준의 정보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소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의 개념 계층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정보의 수준을 결정하고 정보를 추천하는 상황 인식 추천 시스템(OCARCH)을 제안한다. 그리고 기존의 상황 인식 추천 서비스와의 비교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개념 계층 모델을 이용한 상황 인식 추천 시스템이 더 뛰어난 성능을 보임을 증명한다.

  • PDF

상황인식 컴퓨팅의 개념과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The Concept of the Context-Aware Computing and Its Application to the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 이정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9-194
    • /
    • 2012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구의 중요한 주제로 거론되고 있는 상황인식컴퓨팅의 도서관 정보서비스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상황인식컴퓨팅은 이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컴퓨팅 기술이다. 상황인식컴퓨팅의 개념은 90년대 말부터 논의되었으나 기술적 제한으로 인해 최근까지는 그 현실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었다.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스마트폰 사용을 필두로 한 모바일 정보검색의 대중화는 상황인식컴퓨팅을 현실에 적용시킬 수 있게 만들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그 유용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본 논문은 상황인식컴퓨팅의 개념을 소개하고 각종 사례를 살펴보며, 상황인식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요구를 조사하여 도서관 환경에 적용해봄으로써 보다 이용자 중심적인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 홈에서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 필터링을 이용한 추천 (Recommendation using Context Awareness based Information Filtering in Smart Home)

  • 정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7-25
    • /
    • 2008
  • 스마트 홈 환경에서는 물리적인 환경, 상황 등을 시스템이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개인화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에서 메타 데이터는 물론 상황인식을 동적으로 반영하는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 필터링을 이용한 추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상황정보를 정의하였고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 필터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서비스를 추천하였다. 따라서 분산 처리 및 서비스 이동성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추천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제안한 방법을 OSGi 프레임워크에서 MovieLens 데이터에 적용하여 성능 평가를 하여, 기존 연구와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A Location Context Management Architecture of Mobile Objects for LBS Application

  • Ahn, Yoon-A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4호
    • /
    • pp.1157-1170
    • /
    • 2007
  • LBS must manage various context data and make the best use of this data for application service in ubiquitous environment. Conventional mobile object data management architecture did not consider process of context data. Therefore a new mobile data management framework is needed to process location context data. In this paper, we design a new context management framework for a location based application service. A suggestion framework is consisted of context collector, context manager, rule base, inference engine, and mobile object context database. It describes a form of rule base and a movement process of inference engine that are based on location based application scenario. It also presents an embodiment instance of interface which suggested framework is applied to location context interference of mobile object.

  • PDF

Ubiquitous Service Platform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 Yoon, Hyung-Min;Jeong, Seong-Hun;Kwon, Oh-Young;Han, Tack-Don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Proceeding
    • /
    • pp.231-235
    • /
    • 2003
  • Network infrastructure has spread to an unprecedented extent and is used in various computing devices, such as smart appliances, smart phones, and embedded devices with sensors, which have all been appearing in the computing environment. To accommodate this trend, for a more intelligent service environment, the service platform needs to have abilities that facilitate the operation between services, dynamically share distributed computing resources, and manage appropriate contextual information. We have simulated a service platform to provide intelligent services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after having implemented the context management service. The context management service gathers raw contextual information from sensors and stores these in the context database. For a consistent basis of contextual information, time and location are used as the key values of the contextual information. The context management service also performs normalization to provide computable contextual information to context-aware applications. In this paper, a service platform based on Jini technology is proposed for constructing an interoperable, dynamic, and . intelligent service environment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 PDF

지능형 도시 공간정보 서비스제공을 위한 상황인지 기술동향 및 개발전략 (The Trends and Strategies of Context-Aware Technology for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and Service)

  • 김은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101-107
    • /
    • 2010
  • 상황인지(context awareness)기술은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의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핵심기술이다. 상황인지기술은 상황정보 모델링 기술과 상황정보 센싱기술, 상황인식 서비스 미들웨어기술 등 다양하다. 특히, 상황정보를 모델링하고 추상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온톨로지(ontology)가 매우 유용하다. 온톨로지를 통해 다양한 도메인이나 환경에서 유연하게 상황을 분석,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는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이런 기존의 상황인지기술 및 이를 위한 온톨로지 개발 동향을 파악, 지능형 도시 공간정보 서비스제공을 위한 개념적 아키텍쳐를 수립하고, 이에 근거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및 개발전략을 제시하였다.

Fuzzy OWL을 이용한 사용자 Context의 표현 및 추론 (Representation and Reasoning of User Context Using Fuzzy OWL)

  • 손종수;정인정
    • 지능정보연구
    • /
    • 제14권1호
    • /
    • pp.35-4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 Context를 표현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맨틱 웹 기술 및 퍼지 개념을이용하여 사용자 Context를 언어와 기종에 독립적이면서 사람이 생각하는 것과 최대한 유사한 형태로 기술하는 것을 제안한다. 재래의 방법으로 사용되어온 일반 집합으로 Context를 표현하는 방법은 실세계의 환경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퍼지 개념과 표준 웹 온톨로지 언어 OWL이 융합된 Fuzzy OWL 언어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접한 환경정보들을 수치로 표현하며 이를 OWL로 기술한다. 그리고 OWL로 변환된 Context를 Fuzzy OWL로 변환한다. 마지막으로 자동적인 상황인지가 가능한지 여부를 퍼지 추론 엔진인 FiRE를 사용하여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Context를 기술할 수 있으며 퍼지의 개념을 사용하여 Context를 표현하기 때문에 상태나 정도를 표현함에 있어 좀 더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기술된 Context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가 접한 환경의 상태를 추론할 수 있으며 추론된 상태에 따라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