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 for perception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5초

웹사이트의 고객 신뢰 행동이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의 지속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E-Commerce Website's Trusting Actions on Customer's Continuous Intention)

  • 권오병;이남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9-175
    • /
    • 2014
  • 신뢰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지속적 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인정되어오고 있다. 신뢰란 상호작용적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는 고객의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대한 신뢰에만 초점을 두어오고 있었다. 신뢰의 상호작용성 관점에서 볼 때, 고객이 특정 전자상거래 사이트가 자신에 대해 얼마나 신뢰하고 있다고 지각하는지도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나 이를 실증 분석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거의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객이 사이트에 대해 얼마나 자신을 신뢰하고 있느냐 하는 지각이 그 사이트의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전자상거래 사이트들이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해 취하는 행동이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신뢰 구축 행동이 신뢰 및 신뢰를 받고 있다는 자각에 각각 중요한 요인임을 보였다.

성인의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Do Not Resuscitate' in Adults)

  • 이수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93-399
    • /
    • 2019
  • 본 논문은 성인의 심페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210명이었다. DNR에 대한 인식에서는 '편안한 죽음을 위해(64.3%)' DNR이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상황에 따른 DNR의 필요성은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함(41.3%)' '환자의 고통을 줄여주기 위해(23.9%)' 등이었으며, DNR에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의 이유는 '법적 문제가 제기 될 수 있기 때문(61.7%)', '인간의 존엄성은 생명유지가 최우선이기 때문(16.7%)' 등의 순이었다. DNR에 대한 태도는 '내가 불치병을 가졌을 때 사실을 알기 원하는지의 여부'가 평균 4.2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성인의 연령대별 DNR에 대한 태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심폐소생술 금지는 연명치료 중단의 방법이 아니라 인간이 임종과정과 죽음에 대한 자율권을 행사하는 포괄적 맥락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조경에서의 물성 발현에 관한 연구 - 물성의 개념과 조경설계매체로서 물성의 의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velation of Materiality in Landscape Architecture - Focusing on the Concept of Materiality and the Significance of Materiality as Landscape Design Media -)

  • 문지원;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5호통권112호
    • /
    • pp.1-14
    • /
    • 2005
  • This study describes the recognition and the application of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formative language of landscape design as the formative process of creating connote forms and meanings in a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ignificance of materiality not only for conveying the meaning of landscape but also for providing expanded experience through synesthetic perception. The study consists of two parts: (1) The concept of materiality in landscape architecture is studied in three categories, which are divided in chronological order when the recognition of materials was changed. (2) Based on this exploration of the concept of materiality and the ways of expressing it that have developed from landscape arts to landscape architecture, the significance of materiality as the medium of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is proposed. Breaking from previous technical and engineering approaches to materials and from a vision-centered recognition of materials, this study focuses on aesthetic and semantic aspects of materiality and is based on multidimensional recognition though synesthesia. Materiality has significance not only as the dynamic medium that carries the meaning of landscape by providing connection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text, but also as the engagement medium that expands observers' experiences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synesthesia. The study of materiality as the medium of landscape design woul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scope of the language of landscape design and to expressing the meaning of landscape through materiality being revealed on the basis of converted recognition of materials.

운율경계정보를 이용한 HMM기반 한국어 TTS 자연성 향상 연구 (Improvement of Naturalness for a HMM-based Korean TTS using the prosodic boundary information)

  • 임기정;이정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75-84
    • /
    • 2012
  • HMM 기반 음성합성시스템은 성능향상을 위해 일반적으로 대용량 음성 DB로부터 생성된 문맥의존 tri-phone을 이용한다. 그리고 대용량 DB의 경량화를 위해서 문맥의존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트리 방식으로 발화특성이 유사한 문맥의존음소들을 군집화한다. 군집화에 사용하는 문맥의존정보는 음소열 뿐만 아니라 운율정보도 포함하는데 이는 합성음의 자연성이 끊어 읽기, 억양패턴, 음의 장단과 같은 운율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복잡한 운율정보를 사용할 경우 훈련과정에 포함되지 않은 문맥의존음소는 하나의 대표값으로 평활화되며 이로 인해 합성음의 자연성이 크게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음의 자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잡한 운율정보 대신 억양 변화를 상승, 평탄, 하강으로 구분함으로써 운율정보표현을 간소화시킨 운율경계정보를 포함하는 문맥의존정보에 대한 문맥질의, 그리고 해당 질의의 패턴을 정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세 가지 운율경계정보를 포함한 문맥의존정보를 이용하여 합성음을 생성하고 MOS평가를 수행한 결과 운율경계정보를 이용한 HMM기반 한국어 TTS 합성음의 자연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다자녀의 부모로 살아가기: 세 자녀 부모의 다자녀 양육에 대한 생각과 역할 형성 (Construction of Thoughts and Roles of Parents with Multiple Children)

  • 권영인;최지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4호
    • /
    • pp.83-10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verse points of view to understand the low fertility issue of Korean society. For th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married couples(28 persons) all raising three children.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overall family and work life, child care role performance, thoughts about child rearing, and their sociocultural context. Interview data were explored based on 6 analyzing steps offered by S, J, Talyor and R. Bogdan(1984). Mos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ormed positive perceptions about having three children. Parents' positive perceptio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ir attitude of not worrying too much about their children's future as well as child caring contexts around them. Parents' perception about having three children was also linked with their child care role construction process. In detail, parents with more positive perceptions tended to increase their level of child care involvement. This was particularly true for fathers. Mother and father's job situation emerged as an important factor to shape their child care involvement. In addition, child care attitude of people around them explained father's child care involvement. Applying these qualitative results, we first expect to provide detailed ideas about lives with three children in Korea. Second, based on our study findings, a more realistic and helpful policy to help the low fertility problem could be developed. Lastly, we also hope to provide helpful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about low fertility issues of Korea.

종이소재 패션제품 구매결정에서의 지각된 위험 - 줌치한지 종이소재 가방과 지갑 제품을 중심으로 - (Perceived risks in purchase decision of paper fashion products - Focusing on bags and wallets made with Jumchi-Hanji papers -)

  • 홍희숙;김혜성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3호
    • /
    • pp.450-470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risk components and risk types perceived in the context of purchasing decisions of paper fashion products.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levels of perceived risk by consum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in risk perception. First,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7 Korean females in their 20s to 50s. The interviewees were presented with two types of paper materials (undyed and dyed Jumchi-Hanji) and products (bags and wallets) made with the papers. The interviewees mentioned 11 risk components which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risks: performance (easily torn/lack of durableness, lint/pilling/wear-out, lack of water-resistant, no washability, and deformation and discoloration over time), social-psychological (old and traditional image), aesthetic (lack of design diversity, unsatisfactory appearance due to repair), financial (expensive price, lack of usability in daily life) and time/convenience (difficulty in handling) ris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 measurement for evaluating the risk perception of paper fashion products was developed. Second,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64 Korean women in their 20s to 50s using the measurement. Respondents who were presented with the paper materials and the products perceived the performance risk more strongly than the social-psychological risk and aesthetic risk. In addition,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were found: younger respondents perceived performance risk and social-psychological risk more strongly than older respondents, but older respondents perceived financial risk more than younger respondents. Based on this study, strategies for the risk reduction of paper fashion products were proposed.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 및 균형성에 대한 예비 교사 및 현직 교사의 인식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oherence and Balance of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 이기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23-39
    • /
    • 2013
  • 자신이 경험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과학 교사가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정합성과 균형성에 초점을 맞춰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프로그램을 이수한 20명의 예비 교사와 39명의 현직 교사가 참여 하였으며, 선택형 및 개방형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보통' 정도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계획 및 준비'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높은 것으로, '직업적 책무'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4개 범주 모두에서 예비 교사에 비해 현직 교사가 프로그램의 정합성을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균형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모두 이론적 요소에 비해 실천적 요소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행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이 임용 고사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4개 영역(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일반교육학, 교생실습)이 학교 현장과 보다 더 연계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정합적이고 균형적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위한 대안적 방법을 논의하였다.

  • PDF

모어청자에 의한 일본어 어두 폐쇄음의 지각 (Perception of Japanese word-initial stops by native listeners)

  • 변희경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53-64
    • /
    • 2021
  • 일본어의 어두 폐쇄음은 일차적으로 VOT로 구별되며 유성음은 음 값의 VOT, 무성음은 양 값의 VOT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유성음이 양 값의 VOT를 갖는 어두 유성 폐쇄음의 무성화 현상이 전국적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역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어두 폐쇄음 구별에 VOT 이외에 후속 모음의 F0 차이가 유효한 것이 밝혀졌다. 본고는 산출에 쓰이는 음향 변수 VOT와 F0가 지각 변수로도 유효한지를 검토한 것이다. 4개 지역의 대학생 55명을 대상으로 자연음과 합성음을 이용한 세 가지 지각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어느 지역에서나 어두 폐쇄음의 일차적 지각 변수로 기능하는 것은 VOT이며 예상했던 F0의 사용은 극히 한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F0는 VOT가 기능하지 않을 때에 높은 F0를 무성음으로 지각하는 경우는 있으나 반대로 낮은 F0를 유성음으로 지각하는 경우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성/무성의 구별에 관여하는 산출의 음향 변수와 지각 변수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뜻하며, 나아가 일차적 변수인 VOT의 구별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F0의 적극적인 사용 없이 일상생활에서 유성/무성의 구별에 혼란이 없는 것은 VOT와 F0 이외의 다른 요인이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고에서는 산출에서 어느 정도 관여가 인정된 모음의 음질(H1-H2)이나 음향 변수가 아닌 문맥이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 논하였으나 이에 대한 검증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 있다.

보육정책 이슈에 대한 수익자 집단의 인식과 복지정치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beneficiary groups'policy priorities in the child-care politics)

  • 홍경준;김민성;김사현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265-291
    • /
    • 2013
  • 이 연구는 보육정책 수익자 집단의 정책 선호와 관련하여 두 가지의 연구 과제를 제기하고 복지정치와 관련하여 논의한다. 이미 제도화되어있는 보육서비스를 기반으로 형성된 수익자 집단은 보육정책의 여러 이슈에 대해 각각 상이한 이해관계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이익집단 정치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보육정책 이슈의 중요성 정도에 대한 수익자 집단의 상이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한편, 수익자 집단이 가지는 선호, 혹은 인식은 담론에 의해 변형되거나 여과될 수 있기 때문에 담론정치는 복지정치의 또 다른 차원에서 고려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보육정책 이슈들 사이의 우선순위에 대한 수익자 집단의 인식이 2010년 지방선거 이후 등장한 무상보육 담론의 영향을 받아 어떻게 수렴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복지정치의 또 다른 차원인 담론정치의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이 연구의 두 가지 연구 과제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보육정책의 이슈가 체계적-포괄적으로 분류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이 일관성 있게 계량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보육정책의 이슈를 4개의 상위계층과 11개의 하위계층으로 체계화하고, 계층화분석과정 기법을 이용하여 부모, 보육시설장, 보육교사와 같은 보육정책 수익자 집단의 인식을 중요성의 정도와 순위로 계량화하였다.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Self-Management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 차지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4-24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hypothetical model of self-management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based on the Self-Regulation Model and resource-coping perspectiv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15 adults receiving hemodialysis in 17 local clinics and one tertiary hospital in 2016. The Hemodialysis Self-management Instrument, the Revised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Herth Hope Index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used. The exogenous variable was social context;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cognitive illness representation, hope, self-management behavior, and illness outcom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Results: The hypothetical model with six paths showed a good fitness to the empirical data: GFI=.96, AGFI=.90, CFI=.95, RMSEA=.08, SRMR=.04. The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self-management behavior were social context (${\beta}=.84$), hope and cognitive illness representation (${\beta}=.37$ and ${\beta}=.27$) explaining 92.4% of the variance. Self-management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coping resources and illness outcome. Conclusion: This research specifies a more complete spectrum of the self-management proces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array of clinical resources available to support patients' self-management. Healthcare providers can facilitate self-management through collaborative care and understanding the ideas and emotions that each patient has about the illness, and ultimately improve the health outcomes. This framework can be used to guide self-management intervention development and assure effective clinical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