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s industry

검색결과 3,917건 처리시간 0.029초

문화콘텐츠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의 연동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Linkage of the Education System to foster Manpower of Culture Contents)

  • 하판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81-188
    • /
    • 2004
  • 지난 세기 인류를 지배해 온 물질문명의 가치들이 지식과 정보, 그리고 문화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들로 대체되고, 세계경제의 중심축도 자본과 노동집약적인 산업에서 소프트웨어, 콘텐츠중심의 지식기반 산업으로 급격히 이동하고 있다. '문화의 산업화' 라는 관점에서 다국적 기업의 등장과 이에 따른 국가 간 문화적 지배와 종속, 문화정체성의 위기, 문화산업 지원과 육성 등의 문제가 부상하면서 국가 정책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이에 정부의 육성책과 인력양성을 위해 각 대학에 문화콘텐츠 관련학과를 신설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렇다할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교육의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고 체계성이 결여된 까닭에, 문화 콘텐츠 관련 전공들의 학과간 벽이 두텁고 체계적인 연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우수자원의 교육과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세부전공들의 연동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화콘텐츠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또한 연계 가능한 전공의 융합을 통하여 체계적인 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고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급변하는 환경에서 요청되는 문화 콘텐츠 인력 양성을 위해서 디지털화에 따른 국내외 문화 콘텐츠 산업 현황의 변화를 우선 개관하고자 한다. 이어서 업무 흐름도를 통한 인력유형의 파악, 그리고 융합에 따른 콘텐츠 전달 방식의 변화가 교육시스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며, 그것이 어떻게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검토하고 아울러 본 논고에서는 교육시스템의 연동을 통해 CT산업의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 하나의 방안에 대한 예비적인 고찰을 수행한 것이다.

  • PDF

국내 영화 온라인 부가시장의 유통구조 합리화 방안 (Challenges of VOD Market of Korean Film Industry: Legislative and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its Distribution Structure)

  • 김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54-364
    • /
    • 2016
  • 이 연구는 국내 영화 온라인 부가시장의 활성화에 있어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유통구조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하는 입법 및 정책 현황을 분석해봄으로써 부가시장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영화의 유통 창구가 다양화되면서 영화 수익의 극대화와 다양성영화의 유통 기회 확보 등 영화시장이 전체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기회를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영화산업의 구조는 전적으로 극장 매출에 의존하는 기형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전문가 자문회의 및 심층면접 결과, 이는 디지털 영화 콘텐츠사업자들 간의 수익구조의 불투명성으로 영화 부가 판권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는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국내 영화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온라인 상영관 통합전산망의 구축과 사업자의 가입을 법제화하고, 사업자 간 분쟁조정 시스템의 정비를 통하여 불공정 거래행위를 방지하는 데 정책적 관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융합시대 국내 콘텐츠 산업의 진흥정책 방향성 연구: 현황 및 중요도 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Policy of Contents Industry in the Convergence Era: Focusing on the Evaluation of Status and Importance)

  • 정윤경;김미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7권
    • /
    • pp.227-249
    • /
    • 2012
  • 본 연구는 융합시대 국내 콘텐츠 산업의 진흥정책 현황을 평가하고, 앞으로의 진흥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디지털 콘텐츠 산업 분야별 전문가 10명에 대한 심층인터뷰와 전문가 30명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콘텐츠 산업을 기술, 인력, 제도의 3개 범주로 구분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술분야에 대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되고 있었으며, 크로스오버형 전문가, 상위 고급인력에 대한 인력분야의 수요가 두드러지고 있었다. 또한 제도분야에서는 규제완화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정부정책의 효율적이며 적극적인 지원방안에 대한 수요도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 주요 항목에 대해 중요도와 현상태를 평가한 결과, 현상태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회의적인 결과가 도출되어 현정책의 지체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산업적 측면에서 기술표준화 도입이나 신규 비즈니스 모델 구축 등과 같이 새롭게 요구되는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며, 정책적 측면에서 정부의 비전 제시나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 등 적극적인 역할기대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융합 인력을 배출하는 구조적 한계나 효율적 정책지원을 수행하기 위한 정부 부처의 구조적 한계 등은 우리 사회가 융합시대 콘텐츠 산업의 진흥시기로 접어들기 위해 해결해야 할 원천적인 문제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융합 환경 속에서 시장의 결함을 점검하고 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 방향성을 모색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 PDF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 몰입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otean Career Attitude, Career Commitment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Focusing on Workers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 이형우;김만수;김정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25-432
    • /
    • 2021
  •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riscoe, Hall과 DeMuth[21]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측정도구와 Choi[23]의 무형식 학습 활동 측정도구 및 Blau[33]의 경력 몰입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 된 총 295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한 8부를 제외하고 총 287부를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유효 자료율: 68.2%). 연구 결과, 첫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는 경력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몰입의 증대를 위한 이론적 논의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DMB전용콘텐츠의 창구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indowing structure DMB contents)

  • 윤홍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89-104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exclusive digital muti-media broadcasting's contents. This study takes into distribution wether exclusive contents create an additional window being serviced to other media. And it investigates how the contents work in window through analysis of programming table and interview with programming editors of each DMB service company. The window effect is a same notion to the one source multi use. In the film industry, window means a movie distribution that a film can be on one after the other starting the cinema, DVD, local cable channel, and terrestrial television. The key point of this paper is how to new media, DMB, creates its additional window and changes the existing window structure.

인터넷 관문사업자와 디지털 콘텐츠사업자간 상생정책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Win-Win Policies Between Internet Portals and Digital Content Providers)

  • 박기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1호
    • /
    • pp.21-34
    • /
    • 2008
  • This study explored which policies can be win-win strategies among internet portals and digital content providers. With taking the professional advise by interview and descriptive Questionnaires, the study suggested which governmental policies may be the mutual and proper winning strategies in internet industry, specifically between internet portal sites and content providers. Researcher kept in contact with five opinion leaders in this field and proposed thirteen candidate policies, which can give implications to the related governmental agencies, internet portals and contents providers. Some of these suggested policies may have been done and are being done conservatively in some area. But, in order to positively activate and develop the domestic digital contents industry,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related agencies should perform the progressive policies and assign the financial supports to internet industry.

  • PDF

국내 문화유적의 디지털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digital contents development of internal culture relics)

  • 김문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47-154
    • /
    • 2009
  • There are not much digital contents researches that do to culture relics basically. Digital contents research is studied by various method such as Cyber Gallery, 3-D Graphics, Hologram from Scanning that is the simplest form. This research wishes to do with internal culture relics as the central figure that it is that 'Sosu Seowon'. Korean culture contents cyber gallery construction can see as childhood yet. Present result that investigator develops research and as presentation about research process and contents result, wish to argue about problem. Digital contents escapes in existent physical time factor and development to new culture code is possible. Go and come often carrying out and search of fast data or experience of cultural inheritance is available. Through research, wished to present possible metheod actually in digital contents manufacture of internal cultural inheritance. Through this, expect role that offer base in contents manufacture skill.

실용적인 디지털 사운드 콘텐츠의 활성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A Study on the Aim of Policies for Activating Practical Digital Sound Contents)

  • 이은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8
    • /
    • 2006
  • 테크놀러지의 발전에 따른 대중매체의 발달은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그 중 음악콘텐츠는 이제 문화콘텐츠 전반으로 그 역할이 확대되어 그 시장 또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음악시장이 음반중심에서 디지털 음원시장으로 변화하면서 디지털 사운드콘텐츠의 창작, 유통, 마케팅의 방법이 달라지고 있으며 이렇듯 음악 산업 환경이 역동적으로 변화하며 음악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가적 정책과 지완 법률의 개정, 국민적 인식 둥 음악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사항들을 고찰하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

뉴미디어 및 인터넷 시대에 부응하는 패션산업의 새로운 동향 (New Fashion Industry Trend Corresponding to New Media & Internet Infrastructure)

  • 김수진;한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3호
    • /
    • pp.293-305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the new trends of fashion industry in the era of digital media and Internet paradigm, where fashion is no longer just static contents. Fashion becomes crucial and dynamic contents for infotainment, mobile Internet, and digital media. As therefore, the fashion industry could be positioned as fashion information industry and key elements of fashion communication. In the future, fashion education should be repositioned as dynamic Intermediary not only for traditional textile design, costume design, and merchandising, but also for dynamic fashion information provider, fashion communication and fashion-oriented media related to digital Information, and Internet. As a case study, we briefly describe the successful co-marketing strategies of world-class luxury fashion brands, fashion media, and Internet service provider.

  • PDF

문화콘텐츠산업 경영전략 수립 모델 개발 (Developing the Business Strategic Planning Model for Cultural Contents Industry)

  • 권혁인;이재화;정순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885-1894
    • /
    • 2014
  •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콘텐츠 산업과 관련된 조직(기업, 정부 등)이 문화콘텐츠 관련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현재 자국의 수준을 파악하고, 미래 지속 성장을 위한 경영전략을 수립하는데 가이드가 되는 경영전략 수립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용이 편리한 매트릭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전문가 대상 FGI를 실시한 결과 '산업의 매력도'와 '기술 강점'의 2개의 축이 기본 측정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측정하는 세부 구성요인으로는 총 29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세부요인 도출은 선행연구와 문화콘텐츠 산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2차 설문에 의해 도출되었다. 이 후 도출된 요인들 간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AHP분석을 실시, 가중치를 산정하여 현재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래의 지속 성장을 위한 경영전략 가이드 제시를 위해 매트릭스 분면마다 해당 특성을 파악, 이를 정의하고 정부와 기업이 행하여야할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문화콘텐츠 산업만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던 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영전략 수립 모델을 제시하여, 관련 조직의 경영 활동에 이바지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