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mporary ceramic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6초

가역성을 갖는 도자기 복원용 무황변 우레탄 수지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복원 (The Development of the Unfading Urethane Polymer Based on Reversible Properties for Ceramics and Restoration with This Urethane Product)

  • 한원식;박기정;임성진;이영훈;홍태기;위광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3-190
    • /
    • 2010
  • 무황변 가역성 도자기 복원 재료를 위하여 우레탄을 제조하여 이용하였다. 이 저점도형 우레탄은 사용자가 강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조하였다. 이 우레탄 복원재는 매우 강한 접착 강도와 전단 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간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에폭시 복원재와 같은 충진성, 수축성, 도색성을 갖도록 제조되었다. 특히,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폭시계 복원재의 문제점인 황변 현상과 비가역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도자기의 복원의 항구성과 지속적인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본 우래탄 복원재를 이용하여 도자기를 직접 적용 복원하였으며 복원 후, 이를 재 용해하여 복원제를 완벽히 제거하는 과정을 통하여 복원의 가역성도 보이고자 하였다.

국내외 연구문헌 조사를 통한 근·현대 동산문화재 보존 연구 동향 분석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s of Movabl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 염인경;유재은;이혜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1호
    • /
    • pp.44-61
    • /
    • 2015
  • 근 현대 동산문화재의 보존 기술 및 방안에 대한 연구가 20세기 말부터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근 현대 동산문화재 연구 동향을 체계적 연구문헌 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근 현대의 시대적 범위를 설정하고 체계적 문헌 연구 방법으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연구논문을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표본 집단은 국내 연구논문 45편과 국외 연구논문 505편으로 재질에 따라 총 7가지, 즉 지류, 금속류, 섬유 직물류, 사진 시청각류, 목재류, 플라스틱류, 도자기 유리류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재질별로 연구 대상, 세부 재질, 연구 주제를 개별적으로 조사하고 통계적으로 수치화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는 지류와 금속 문화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향후 연구 대상 및 주제의 다양화와 본격적인 분석 및 처리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국외에서는 지류, 섬유 직물류, 사진 시청각류 등 유기물 문화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보존처리 및 분석뿐 아니라 보존 윤리 분야까지 다양한 주제가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국내의 본격적인 근 현대 동산문화재 보존연구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Bonding values of two contemporary ceramic inlay materials to dentin following simulated aging

  • Khalil, Ashraf Abdelfattah;Abdelaziz, Khalid Mohamed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6호
    • /
    • pp.446-453
    • /
    • 2015
  • PURPOSE. To compare the push-out bond strength of feldspar and zirconia-based ceramic inlays bonded to dentin with different resin cements following simulated aging. MATERIALS AND METHODS. Occlusal cavities in 80 extracted molars were restored in 2 groups (n=40) with CAD/CAM feldspar (Vitablocs Trilux forte) (FP) and zirconia-based (Ceramill Zi) (ZR) ceramic inlays. The fabricated inlays were luted in 2 subgroups (n=20) with either etch-and-bond (RelyX Ultimate Clicker) (EB) or self-adhesive (RelyX Unicem Aplicap) (SA) resin cement. Ten inlays in each subgroup were subjected to 3,500 thermal cycles and 24,000 loading cycles, while the other 10 served as control. Horizontal 3 mm thick specimens were cut out of the restored teeth for push out bond strength testing. Bond strength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1-way ANOVA and Tukey's comparisons at ${\alpha}=.05$. The mode of ceramic-cement-dentin bond failure for each specimen was also assessed.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iced between FP and ZR bond strength to dentin in all subgroups (ANOVA, P=.05113). No differences were noticed between EB and SA (Tukey's, P>.05) bonded to either type of ceramics. Both adhesive and mixed modes of bond failure were dominant for non-aged inlays. Simulated ag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ond strength values (Tukey's, P>.05) of all ceramic-cement combinations although the adhesive mode of bond failure became more common (60-80%) in aged inlays. CONCLUSION. The suggested cement-ceramic combinations offer comparable bonding performance to dentin substrate either before or after simulated aging that seems to have no adverse effect on the achieved bond.

팝아트 기법을 활용한 현대 도자 장식 표현 연구 (A Study on Expression of Contemporary Ceramic Decoration Using Pop Art)

  • 최정화;최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447-454
    • /
    • 2018
  • 팝아트는 대중문화와 순수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시대 문화적 현상을 표현함으로써 대중과 소통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도자 분야에도 팝아트 표현 기법의 특성을 활용하여 표현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팝아트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역사적 배경과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팝아트 양식의 소재와 모티브의 표현특성을 규명하고 그 표현특성이 도자작품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작품분석결과 대중문화속의 일상적인 대상의 이미지를 밝고 화려한 색채, 실크스크린, 레터링, 포토몽타주, 만화적 표현, 오브제, 콜라주, 데쿠파주 등의 기법들을 다양하게 표현하였으며, 도자작품들이 대중 속에서 예술문화를 실현하고 보다 대중적인 소재와 심리를 표현하는 것에 가치를 두었다 사료되며 앞으로 도자예술이 팝아트 표현기법 위주의 재현이 아닌 예술적 가치를 재해석한 창의적 작품으로 창출되어 대중과 소통하는 문화예술로 더욱 발전되기를 기대해 본다.

예술의상에 관한 연구(I)-의상조각(Clothing-Sculpture)을 중심으로- (A Study on Art Wear(I)-Focusing on Clothing-Sculpture-)

  • 김정혜
    • 복식
    • /
    • 제38권
    • /
    • pp.159-178
    • /
    • 1998
  • Genres of the modern arts are expanding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arts ; ceramics and weaving considered as crafts are devel-oped to the ceramic art and the fiber art, re-spectively. This trend has been also applied to the clothing part, which produced several new terms such as‘art to wear’,‘unwearable art’,‘clothing sculpture’and so on. As following this tendency, the unwearable art is dwelling on the boundary of painting, fiber art and scul-pture, and the clothing sculpture comes from the combination of fiber art and sculpture. While Issey Miyake's dress made of bamboo and Foltuny's pleats dress associated with Greek stone-column introduce the sculpture to the functional fashion design, the works of clothing sculpture become the arts by applying the sculpture to the non-functional unwearable art. Although the clothing sculpture is an interesting subject to be studied continuously for its effect on the contemporary clothing part, it is valuable enough as an unwearable art and sculpture respresenting the artist's concept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boundary between arts and design is no longer clear, i.e., the clothing and the sculpture come across their regions each other. Furthermore, the clothing sculpture has its own value as a metapor exposing idea, feeling and spirit of the artist in the genre of the unwearable art. With a view point of the abstract clothing concept, the clothing sculpture has been taking the role expanding the clothing to the world of fine art.

  • PDF

로에베 공모전에 나타나는 현대 공예의 융·복합적 현상에 관한 연구 (Convergence and Composite Phenomenon of Contemporary Crafts in the Loewe Craft Prize)

  • 김준용;서성욱;박중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335-342
    • /
    • 2021
  • 2017년에 시작된 Loewe Craft Prize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공예 공모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럭셔리 브랜드에서 시작된 Loewe Craft Prize가 4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모든 공예를 아우르는 최고의 공모전으로 발전한 배경에 주목하였다.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공모전이 존재하는 공예에서 장르의 다양성과 재료의 한계가 없는 Loewe Craft Prize가 만들어 내고 있는 공예의 관심도는 어떠한 공모전도 이루어 내지 못한 실적이다. 이는 Loewe Craft Prize가 가지고 있는 공예에 대한 뚜렷한 가치관과 기존의 단일 재료로 구성된 공모전과는 차별화 된 복합 공모전을 형성, 발전시킴으로서 가능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나오게 된 배경인 재료의 융복합, 전통과 현대의 융합, 과학과 공예의 융합을 통한 사례들을 연구하였으며 작가들의 성향과 작품을 통한 현대 공예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공예 장르의 확장이 가지고 있는 의미가 현대 공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