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iner Ports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31초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Container Ports)

  • 김병홍;손현규;남기찬;최훈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641-647
    • /
    • 2010
  •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 개발은 수요와 공급 논리에 따르기보다는 지역균형발전과 같은 정책적 고려에 의해 이루어진 측면이 강하다. 광양항의 시설공급 과잉뿐만 아니라 울산 신항, 포항 영일신항 등 지역 소규모 컨테이너 항만들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특히, 지리적으로 인접한 일부 항만들이 중복되는 국내 시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서 항만 운영 활성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역적 국가적으로도 낭비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평택항, 울산항 등 5개 항만을 대상으로 각 항만의 특성을 실증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각 항만의 특성과 위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향후 항만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해당 항만의 환적 및 수출입화물 집중도, 항만별 대륙 기종점 현황, 항만별 우리나라 내륙 기종점 현황 등의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여 항만을 분류하고 기능을 정립하였다.

동아시아 유럽 북미 컨테이너항만의 상대적 효율성 비교 분석 (Comparison of Efficiencies of Container Ports in the East Asia, Europe, and North America)

  • 박구웅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19-246
    • /
    • 2010
  • 각 국은 국제무역 및 물류에 있어서 항만의 역할과 가치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자국 항만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정책과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 세계 컨테이너물동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3개 지역, 즉 동아시아, 유럽, 북미지역의 주요 컨테이너항만의 효율성을 비교하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효율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45개 항만을 대상으로 5개의 투입요소와 2개의 산출요소를 가지고 DEA 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처리물량, 총 효율성, 기술적 효율성, 규모의 효율성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동아시아 항만이 유럽과 북미의 항만보다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성과를 내고 있으며 기술적으로나 규모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이 지역별 항만의 특징과 효율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각 지역의 항만의 이용과 발전방향의 설정에 참조가 되기를 기대한다.

Globalization and Consolidation in Maritime Transport and Its Implications for Container Port Business

  • Ryoo Dong-Keu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801-806
    • /
    • 2005
  • The world of container shipping and container terminal business is changing and container ports need to know what the changes are in order to plan how to respond. In particular, the container transport industry has noticed two major developments such as globalization and consolid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urrent trend towards globalization and consolidation of container liner shipping and container terminal business. It also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se market developments on container ports and presents its implications for port development, management and operation, and port competition policy. According to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a greater exercise of market power of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will have negative impacts on international trade and national economy, especially port users, including container lines, exporters and importers. An empirical evidence on the exercise of market power is required to develop competition rules on market dominance at a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This paper suggests 'port coopetition' as a solution for smaller and region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to survive in a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국내 주요 4대 컨테이너항만의 효율성 및 결정요인 분석 (The Efficiency and Determinants of 4 Major Container Ports in Korea)

  • 박호;김동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73-89
    • /
    • 2012
  • 항만의 효율성은 항만의 경쟁우위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이며 개발 항만의 경쟁력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해상운송비용 절감을 통한 국가수출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는 국내 주요 4대 컨테이너 항만을 구성하고 있는 터미널의 효율성과 결정요인을 2006년에서 2010년까지의 5년간 각 항만공사 및 유관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DEA-O모형과 Tobit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2006년에서 2010년까지의 평균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컨테이너터미널은 감만, 신감만, 신선대, 자성대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신항의 개장 시점인 2006년에서 HPNT가 개장된 2010년까지 부산신항의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북항에서 신항으로 물동량 이전이 가속화 되어 부산신항이 활성화 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컨테이너터미널의 항만별 비교에서는 부산항과 인천항이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넷째,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 결과 야드 생산성이 유의한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불확실성 DEA모델을 이용한 컨테이너 항만의 효율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ntainer Ports' Efficiency using Uncertainty DEA model)

  • 팜티큔마이;김화영;이청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5-178
    • /
    • 2016
  • 컨테이너 항만은 공급망관리(SCM)에 있어서 연결점(link) 역할을 하고 있어 국제 간 무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컨테이너 항만의 운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항만의 운영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은 공급망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일이다. 과거 항만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많은 방법을 사용되었다. 그 가운데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DEA 모델에 사용되는 투입, 산출 데이터는 때때로 복잡하고 불확실하기 때문에 기존 DEA모델 사용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모델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불확실변수를 취급할 수 있는 불확실성 DEA(UDEA, Uncertainty DEA)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불확실성 DEA모델을 이용하여 41개 컨테이너 항만의 효율성을 측정하여 불확실성 DEA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항만 클러스터링 방법으로 항만의 규모별로 효율성을 측정하여 6개의 컨테이너 항만이 효율성이 있음을 식별하였다. 이와 같이 제안된 불확실성 DEA(UDEA)모델이 기존 DEA모델 보다 효율성 측정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DEA 모형을 이용한 세계 주요 항만의 효율성 평가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iciency of Major Container Ports with DEA Model)

  • 송재영;신창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5-201
    • /
    • 2005
  • 본 연구는 부산항을 포함한 세계 주요 컨테이너 항만들의 효율성을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모형을 통해 상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부산항의 현재 위치와 더 효율석인 항만이 되기 위해 벤치마킹(Benchmarking)해야 할 대상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일정시점의 효율성 분석이 아닌 1995년-2001년까지 7개년의 효율성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각 항만의 효율성 변화할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부산항은 95년, 96년을 제외한 나머지 연도에 대해서 비효율적인 항만으로 구분되었으며, 97년 이래로 효율성 지수가 다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Mexico, Panama, and Brazil: A Focus on Port Performance

  • Lopez, Erendira Yareth Vargas;Lee, Shin-Kyuo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3권4호
    • /
    • pp.17-29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the performance of ports based on three factors: the quality of the port infrastructure, container throughput, and logistic performance in three Latin American countries, Mexico, Panama, and Brazil, for the period of 1994-2017. Design/methodology - The selected countries are top ranked in terms of container throughput in Latin America. The methodology employs secondary data from the World Bank (Quality of Port Infrastructure, Logistics Performance Index, and 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database). Findings - Overall,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ivate investment of these countries varies significantly over the past couple decades. Panama, with the least public-private investment over the study period, performs better than Mexico and Brazil with regards to port quality infrastructure and container throughput. For ports in the selected countries to keep up with global competition, there is a need to enhance efficiency. Originality/value - Compared with ports in Asia, Latin American ports are lagging behind with respect to container throughput and efficiency. This study suggests greater collaboration from the private sector, academia, and other organizations, as well as a review of the regulatory framework to ensure better transparency and project allocation. Throwing more light on the public-private investment environment of Mexico, Brazil, and Panama, this study offers policy makers and regulators insightful information on port infrastructure.

중심항만 개발전략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ub Port Development Strategy)

  • 한철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1-178
    • /
    • 2003
  • 세계적으로 항만간 경쟁이 전방위로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국은 자국 항만을 중심항만으로 육성하려고 대대적인 항만개발에 나서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중심항 개발전략의 유효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i) 대형항만에 물동량이 집중되는 항만집중화 현상이 일어나는가 ii) 과연 대형항만은 소형항만에 비해 물동량 증가속도가 빠른가를 검토함으로써 중심항만 개발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허쉬만-허핀달지수를 적용하여 아시아 항만의 항만집중도를 분석하였고, 또한 글로벌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컨테이너 항만규모와 성장간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항만집중도에 있어서 아시아 특히 동북아지역은 항만물동량의 분산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항만규모와 성장간 관계의 경우 글로벌 차원에서는 대형항만일수록 물동랑 증가율이 소형항만에 비해 높게 나타난 반면, 아시아지역은 소형항만일수록 물동량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중심항만 개발전략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ub Port Development Strategy)

  • 한철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107-114
    • /
    • 2003
  • 세계적으로 항만간 경쟁이 전방위로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국은 자국 항만을 중심항만으로 육성하려고 대대적인 항만개발에 나서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중심항 개발전략의 유효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i) 대형항만에 물동량이 집중되는 항만집중화 현상이 일어나는가 ii) 과연 대형항만은 소형항만에 비해 물동량 증가속도가 빠른가를 검토함으로써 중심항만 개발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허쉬만-허핀달지수론 적용하여 아시아 항만의 항만집중도론 분석하였고, 또한 글로벌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컨테이너 항만규모와 성장간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항만집중도에 있어서 아시아 특히 동북아지역은 항만물동량의 분산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항만규모와 성장간 관계의 경우 글로벌 차원에서는 대형항만일수록 물동량 증가율이 소형항만에 비해 높게 나타난 반면, 아시아지역은 소형항만일수록 물동량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An Analysis of Container Port Efficiency in ASEAN

  • Seo, Young-Joon;Ryoo, Dong-Keun;Aye, Myo-Nyei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535-544
    • /
    • 2012
  • In order to improve the overall ASEAN maritime transport network, each port's efficiency is regarded as a crucial factor that should be calculated periodically. This study evaluated the relative efficiency of container port operations of 32 ports belonging to 9 ASEAN nation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It found that 2 out of 32 ports in 2010 were measured as efficient ports. This study yielded two major findings. Firstly, the ports assessed as inefficient need to benchmark similar ports in size and structure from the ports that are assessed as efficient to improve their efficiency. Secondly,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determine potential candidates and country for an international port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me with Korea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ASEAN port network by developing the infrastructures of ill-equipped 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