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iner Ports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25초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컨테이너 터미널 하역 능력 추정 (Estimation of the Handing Capacity of Container Terminals Using Simulation Techniques)

  • 장성용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53-66
    • /
    • 1996
  • Container handling facilities in Korean ports have increased rapidly according to Korean industrialization and the worldwide containerization. Over 98% of total containers handles in Korean ports are handled in Puan ports. This paper presents the estimation method of annual container handling capacity of container terminals by the computer simulation models. Simulation models are developed utilizing SIMAN IV simulation package. Annual handling capacity of real container terminals such as BCTOC and PECT was estimated by the proposed simulation models. Also, Annual handling capaicty of planned or expected terminals in Puan port was estimated. The comparisons between container forecast demand and estimated handling capacity of Pusan port from 1996 through 2001 were made. It showed that Pusan port will have over two million TEU handling capacity shortage during that period and will face enormous port congestion. Lastly, mid term and long-term capacity expansion plansof container terminals in korean ports were discussed.

  • PDF

북중국 주요항만과 서해안 항만간의 교역 컨테이너 유통경로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ntainer Distribution channel between Korean Western Ports & Chinese North Ports)

  • 조삼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1-18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간의 교역규모 증대에 따른 우리나라 서해안 항만과 북중국 항만들과의 컨테이너 유통경로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간의 지리적인 근접성에 따른 지리적인 이점과 그에 따른 물류비용의 절감효과에 기인하여 우리나라 중부이북지역의 컨테이너 화물들은 서해안 항만들을 경유하여 북중국으로 유통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역물량 증가속도가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 국내 컨테이너 유통경로의 중심지였던 부산항에 집중된 물류구조를 분산화 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서해안 항만들은 동일한 배후경제지역의 화물처리 및 대 중국 교역집중도에 따른 경쟁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서해안 항만들의 개발정책에는 항만고유 특성에 부합한 발전 가능성을 중시해야 하며 또한 서해안 항만들의 한중항로의 편향성을 탈피한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아울러 한중항로개방에 대비한 해운정책의 추진방안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PRESENT AND FUTURE DEVELOPMENTS OF PORTS IN ASIA AND THE PACIFIC

  • Ha, Dong-Woo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7-45
    • /
    • 2002
  • The continuing pace of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trend toward larger and faster ships is evident as shipping lines compete in seeking economies of scale in the global market and ports. become increasingly reliant on sophisticated equipment. Across the Asia and Pacific region some of the worlds most modern container ships are calling at an extensive network of mainline and feeder ports. This paper shows that during the period from 1999 to 2011, Asian container trade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more rapidly than the world average, i.e., 7.2 per cent per annum compared with the world average of 6.3 per cent. It is forecast that the total volumes of international containers handled at the ports in Asia and the Pacific will increase at an average growth rate of 7,2 per cent per annum. In order to handle the anticipated port container traffic in 2011, new container berths are required in nearly every country in the Asia and the Pacific region. This will entail very significant capital investment requirements. If countries in the UNESCAP region are to position their ports to meet the challenges of the next decade,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lement more robust strategies to address important issues including prioritisation of port development projects, promotion of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in ports, emphasis on productivity and preparation for intermodal integration and logistics growth.

  • PDF

아시아 주요 항만들의 서비스 경쟁력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ervice Quality of Major Container Ports in Asia)

  • 하명신;김창완
    • 무역상무연구
    • /
    • 제16권
    • /
    • pp.245-264
    • /
    • 2001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service quality level of major container ports in Asia. Seven factors are used to evaluate the port service qualities; informational assistance, location, processing speed, facilities, port operation, costs, and user convenience. Ten ports are selected as a sample; Singapore, Kobe, Osaka, Kaohsiung, Hong Kong, Shanghai, Tianjin, Busan, Kwangyang and Inchon.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re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empirical results shows that, in general, Korean ports provides poorer service qualities than Singapore, Hong Kong, Kobe, and Osaka. Furthermore, the service quality levels of Korean ports are similar to or no better than Chinese ports.

  • PDF

환황해권 주요항만 간 컨테이너 물동량 교역 특성 분석을 통한 제휴항만 선정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ort Alliances through Analyzing the Container Cargo Flows between Ports in the Pan-Yellow Sea)

  • 이동현;안우철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2호
    • /
    • pp.157-183
    • /
    • 2014
  • 2000년대에 환황해권 지역이 핵심 경제축으로 부상함에 따라 향후 세계 경제에서 중국의 역할은 더욱 증가하고 한국은 중국과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환황해권 지역은 동북아 지역의 핵심 물류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는 환황해권 주요 항만과 평택 당진항, 인천항, 광양항 간 컨테이너 물동량 분석을 통해 전략적 제휴항만을 도출하고 환황해권 주요 항만 간 연계를 통한 물동량 유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항만 간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는 관세청의 수출입통계자료와 해양수산부의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서해안 항만들과 가장 많은 컨테이너 교역이 이뤄지는 환황해권 주요 항만을 대상으로 물동량 특성에 따른 2012년 기준 컨테이너 교역 물동량, 성장 가능성, 변동률, 교역추세, 기여도 등 5가지 평가기준에 의해서 분석해 보고 향후 주요 전략적 제휴 대상항만을 선정하였다. 환황해권 전략적 제휴 항만 선정결과 평택 당진항은 롄윈강항, 톈진항, 옌타이항, 칭다오항, 다롄항, 인천항은 스다오항, 웨이하이항, 칭다오항, 톈진항, 다롄항, 광양항은 칭다오항, 옌타이항, 다롄항, 롄윈강항으로 도출하고, 서해안 항만의 전략적 제휴항만을 대상으로 전략적 제휴체제 구축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A DEA analysis on Container Terminals in Northern Vietnam, 2005-2014

  • NGUYEN, Minh Duc;KIM, Sung-June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5-166
    • /
    • 2015
  • Sea-ports in Northern Vietnam have experienced a rapid growth of container throughput volume in recent years. To accompany with such development, huge investments also have been performed to enhance local ports capacity. It becomes a crucial task for the port authorities or the port stevedoring industry to improve the ports efficiency in order to customize national resources. In this paper,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is employed to evaluate the relative efficiency of container terminals in Northern Vietnam by collecting data from terminals since 2005 up to now. The development progress of the given terminals will be presented before providing a relative comparison among those year by year. The DEA result is then analyzed and suggestions with regard to changes in local economic environment in near future are contributed.

  • PDF

중국 컨테이너 항만의 집중화와 대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and Responses of Container Ports in China)

  • 장준청;이자연;우수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69-187
    • /
    • 2015
  • 항만은 물류산업의 중심 및 공업 활동의 중요기지로 사회 경제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10대 컨테이너항만의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물동량 데이터를 중심으로 지니계수 및 변이 할당 기법을 이용하였고 항만집중도의 변화와 물동량의 이동을 분석하여 중국 항만시스템 발전 단계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컨테이너항만 체계의 중심이 북방으로 뚜렷하게 이동하는 것이다. 변이할당기법 분석 결과에 따라 3개 지역의 물동량이 주강삼각주 지역으로부터 다른 두 지역으로 이동하여 중국 컨테이너항만 체계 중심이 북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컨테이너항만 분산화 발전은 컨테이너 물동량 공간 구조 변화의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지니계수의 계산한 결과 분산화 발전은 중국 컨테이너 항만체계 공간변화에서 뚜렷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동종 항만군 분류를 통한 컨테이너항만의 운영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ration Efficiency of Container Port by Comparison of Similar Ports)

  • 정태원;곽규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6
    • /
    • 2001
  • 본 연구는 경쟁상태에 있는 아시아 14개의 컨테이너 터미널을 항만시설 관련자료(시설, 시설가용성), 경제·사회 지표(인구, 1인당GNP), 항만서비스 관련자료(취항선사수), 그리고 컨테이너처리물동량 등에 의해 5개 항만군으로 분류한다. 분석방법으로는 평가자료가 실제 입력자료를 얼마나 잘 재현해 주는가를 나타내는 기준치인 스트레스값을 제시해 줌으로써 분석의 결과에 대한 적합도(Goodness of Fit)를 알 수 있는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다. 5개 동종항만군의 분류를 통하여 부산항을 포함하여 아시아 각 항만들의 현 위치를 보다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동종항만으로 분류된 카오슝 항만과의 벤치마킹을 통해 부산항의 운영 효율성 증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동종항만군의 분류 결과 카오슝 및 부산항만군은 다른 지표에 비해 항만기반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 이 항만군은 시설부문에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항은 낮은 생산성의 원인을 밝혀 해결책을 모색하고. 항만기반시설 중 선석수, 안벽길이, 야드 공간 등을 확장하는 데 투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ystem Dynamics법을 이용한 동북아항만 경쟁모델에 관한 연구 (On the Competitive Model among Northeast Asia Port by System Dynamics Method)

  • 여기태;이철영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
    • /
    • 1998
  • If a system has a large boundary and complexity, forecast's accuracy will be very low when consider the system's substance as black box. Thus, it is necessary that analysis by structure model. To examine competition in Northeast Asia Ports, it has assumed that the form of structure model, For which the System Dynamics method is adapted in this paper. Northeast Asia Ports Model includes five ports - Pusan, Kobe, Yokohama, Kaoshiung, Keelung, -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by geographically and has a competition relation. The Northeast Asia Ports Model has several sub-systems which consists of each unit port models. And, each unit port model found by quantitive, qualititive factors and their feedback loops. All effects which components of one port have influence to components of the rest ports must be surveyed in order to construct Northeast Asia Ports Model, but it may be impossible currently. In this paper Northeast Asia Ports Model was simplified by HFP-Hierarchical Fuzzy Process Method-adapted to integration of level variables of unit port model. Container cargo volumes in Northeast Ports Model is distributed by results of HFP method. And distributed container cargo volumes effected to unit port model. Developed model can estimate change of container cargo volumes in competitive relation by alternation of simple parameter, and reflects dynamics characteristics which are included in model.

  • PDF

중국항만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물류체제흐름 변화 연구 (The study on the change of the North-East Asian logistics System focusing on Chinese Ports)

  • 박경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9-93
    • /
    • 2004
  • Recently, the change of shipping and port environment has required the new strategy from the liners, terminal operators, ports. The ports of call in the North American and European line also has changed as the Chinese ports made rapid advance. This seems to result from the fact that the trend of the container transportation by sea has developed the traditional concept, called port-to-port system that directly links between a port and another port into the network with complicated hierarchical structure reflecting costs, efficiency, and strategy of the Mega Carrier. This paper suggests the factors for Busan port to become the hub port of northeast Asia by analyzing the change of the liners' strategy along the change of the shipping and port environment, the global management of the operator of container port, and the amount of containers flowing in the northeast As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