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vism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8초

Linking Social Network to Education: The Potentials and Challenges

  • RHA, Ilju;BYUN, Hyunjung;KIM, Younyoung;HONG, Seoyo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3권1호
    • /
    • pp.1-25
    • /
    • 2012
  • Despite the relatively short history of Social Network Sites or Services (SNS), it has quickly gained popularity with more than seven hundred million users all over the globe. The SNS emerged as one of the strongest cultural influences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SNS would provide both chances and challenges for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e article was to explore the way education react and adapt to the emergence of social network and SNS. It tried to provide major theoretical grounds that bridge education and social network. In the due process, the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isruptive and sustainable aspect of SNS technology. Consequently, four major theoretical grounds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Gibson's theory of affordance, Vygotsky's social constructivism, Rha's human visual intelligence theory, and the network theory. By investigating these theories, the educational potentials of social network and SNS were emerged. The SNS was viewed as a new medium with abundant potentials of expanding the learning space, empowering the affective aspects of learning, and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group intelligence. Finally, some future implications and challenges of SNS were suggested.

현장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예비과학교사들의 인식론적 교육관의 변화 (The Chang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Views of Education in the Field Education Programs)

  • 맹희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2호
    • /
    • pp.304-316
    • /
    • 2009
  • 교사 양성 과정에서 현장교육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에게 교육활동을 경험하도록 함으로 올바른 교육관을 형성하고 신념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해 준다. 이에 본 연구는 참관수업과 교육실습의 현장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들의 인식론적 교육관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참관수업과 교육실습 기간에 따라 3차례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설문조사에 참여한 28명의 응답에 대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과학교사들은 참관수업 전 전통적인 교육관인 객관주의 인식론적 교육관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참관수업과정에서 관찰한 현장교사의 영향으로 객관주의 인식론적 교육관이 다소 강해 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실습과정에서 직접 수업에 참여해 봄으로써 현대적인 교육관인 구성주의 인식론적 교육관으로 유의미하게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현장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들의 교육관 변화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예비과학교사들이 현장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구성주의 인식론적 교육관을 획득하거나 강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교사 양성기관과 학교 현장과의 유기적이고 지속적인 협력 체제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좋은 중등 과학 수업'에 대한 탐색: 대안학교 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earch for a good secondary science classes: a case study of th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 강경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180-20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위탁형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해보았다. 18명의 대안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심층면담, 그림그리기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안학교 학생들은 좋은 학교는 재미있는 학교, 학생의 의견을 존중해 주는 학교, 좋은 교사와 친구들이 있는 학교라고 언급했다. 둘째, 대안학교 학생들은 좋은 교사는 학생을 존중해 주는 교사, 학생과 소통하는 교사, 차별하지 않는 인간적인 교사라고 언급했다. 셋째, 대안학교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과학수업은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수업이다. 본 연구의 활용 방안 및 후속 연구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대안학교 학생들의 현재 대안학교와 교사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학교 교사들의 학생들과의 대화, 인격존중, 학생들과의 인간관계를 정규학교에서도 잘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공교육이 개혁되어 입시위주 교육, 주입식 교육, 암기식 교육이 아니라 인간다운 인간을 기르는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둘째, 구성주의에 기반을 둔 과학수업을 위해서 대안학교 과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효과적인 과학 수업을 위해서는 대안학교 수업 환경의 지원이 요구된다.

  • PDF

허구서사 애니메이션의 관객 몰입 메커니즘 연구 - 구성주의 인지서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chanism of the Immersion of the Spectators of the Fictional Narrative Animation)

  • 김기홍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7호
    • /
    • pp.37-51
    • /
    • 2009
  • 허구서사 애니메이션 감상 경험에 있어 관객의 몰입은 작품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특히, 대중 애니메이션의 경우, 흥행성공과 같은 사회경제적 성취 이외에도 관객의 몰입은 작품성 성취의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허구서사 애니메이션은 이야기가 (소리를 포함한) 이미지로 서술된다는 특성에 최근 2D 애니메이션에 비해 질료적 사실주의를 강조하는 3D 형식이 보편화된 현상까지 더해져, 서사체 텍스트와 가상현실의 수용자 몰입 방식을 일정부분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작품 텍스트 안에 몰입을 견인하는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는 관점과, 매체의 물리적 특성이 수용자를 몰입하도록 강제한다는 이론 가운데 놓여있다. 어떤 경우에도 몰입하는 주체는 관객이므로, 허구서사 애니메이션에의 몰입에 대한 연구에 가장 유용한 이론은 작품(성) 분석이나 시청각 효과에 대한 연구보다 텍스트-관객의 관계를 중심에 둔 구성주의 인지서사학적 접근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사에 대한 수용자의 몰입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구성주의 인지서사학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애니메이션의 특수성에 적용하여, 관객을 작품에 몰입하게 만드는 애니메이션의 요인과 특성을 연구하였다.

  • PDF

구성주의 수학 수업이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학년 나눗셈을 중심으로 - (Effects of Mathematical Instructions Based on Constructivism on Learners' Reasoning A bility)

  • 조수윤;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2호
    • /
    • pp.165-18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반영적 추상화를 강조하는 구성주의 수학 수업이 반영적 추상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추론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구성주의자들의 가정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교수 학습이론인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나눗셈 수업을 실천하고, 학생들의 추론능력과 학업성취도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집단(학습자 중심 수업)은 추론능력에 있어서 향상을 보인 반면에, 통제집단(교사중심 수업)은 추론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실험집단은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실험집단은 학습하지 않은 지식의 생성력에서 더 큰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은 비단 성취도가 상인 학생들에게만 효과가 있는 수업이 아니라 서로 다른 비형식적 지식을 지니고 있는 모든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수업임을 알 수 있었다. 개념 원리영역뿐만 아니라 단순계산과 같이 통제집단에서 강점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되는 영역에서조차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융복합 디지털 콘텐츠 개발을 위한 비고츠키의 사회적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부모양육행동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Based on Vygotsky's Theory of Social Constructivism for Developing Convergence Digital Contents)

  • 차현주;조희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453-464
    • /
    • 2016
  •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부모양육행동은 사회문화적 환경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변화되어야 한다는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시도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부모양육행동과 비고츠키의 사회구성주의적 아동발달 관점에서의 양육행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근접발달단계에 있는 아동들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사회구성주의적 부모양육행동을 분석하여 양육행동의 핵심요인으로 비고츠키 이론의 핵심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비고츠키 이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요인을 추출한 후 비고츠키 이론에 관한 전문가 3명의 타당화 작업을 통하여 내용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협력적 상호작용 요인 둘째, 사회적 구성행동에서의 내면화 강조 요인 셋째, 근접발달영역에서의 잠재성 계발 요인 넷째, 중재적 매개체로서의 교육적 대화 요인 다섯째, 스캐폴딩(scaffolding)으로서의 조력설정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양육행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사회구성주의적 부모양육행동 척도를 개발하는데 새로운 시도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큰 의의를 갖는다.

Web 기반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그 유용성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ed Based Design Education -Mainly on Usabilities and Problems-)

  • 최영옥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253-266
    • /
    • 2002
  • 디자인은 주어진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조형요소(造形要素) 가운데서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그것을 합리적으로 구성하여 유기적인 통일을 얻기 위한 창조활동이며, 디자인교육은 기술공학, 예술, 인간학, 과학 등 여러 학문분야와 연계된 협업을 통한 문제점 발견, 이해(심화)하고,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라 하겠다. 한편, 지식은 개인의 인지적 작용과 개인이 속한 사회에의 참여라는 두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 수정, 보완을 통해 구성되어 가는 것이고, 학습은 제시된 정보를 그대로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정보를 뛰어넘어 새로운 의미를 채워나가는 과정이라고 파악하는 구성주의적 학습관은 교수와 학습의 중심이 교수자중심, 지식전달위주의 교육에서 자연스럽게 학습자 중심, 학습자 주 도의 정보습득과정으로 바뀌어 간다. 오늘날 인터넷에 접속할수 있는 가장 쉽고, 가장 인기 있는 방법인 '웹을 이용한 교수학습(Web Based Instruction: WBI)'이 디자인의 특성과 디자인 교육의 특이성과도 부합할 것인가. 또한 만약 WBI가 디자인 교육에 부합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가지는 한계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먼저 WBI의 디자인교육에의 적용 또는 웹기반교육과 디자인교육의 연계문제에 관하여는 리챠드 브랜햄(Richard Branham)의 예견에 따라, 학습자 중심의 학습은 앞으로 디자인 교육의 지배적인 교수방법이 되어 있음을 이 미 현실화한 국내의 여러 선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디자인 교육은 문제의 해결책을 그대로 가르쳐주는 보완적 전략(supplantive strategies) 보다는 직접경험학습을 통한 탐구적 전략(generative strategies)을 취하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웹기반교육의 장점을 십분 살릴 수 있다. 그러나 웹기반 디자인교육은 그 속성상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거니와 무엇보다도그것이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진다는 데에서 그 한계도 지닌다. 교수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안내가 있어야 하고, 학습자의 참여도를 교육에 반영하는 원칙과 방법의 모색,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유연한 피드 백 외에도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보완이 요구된다는 점을 지적된다.

  • PDF

쓰기이론과 쓰기지식에 기초한 한국어 쓰기교재 분석 (Analysi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Based on the Rationale and Knowledges for Writing)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24-33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쓰기교육 이론에 비추어 한국어 쓰기교재의 위치와 특징을 점검하고 그 이론에 바탕을 두고 쓰기지식 구성활동을 살펴보아 추후 교재개발에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쓰기교재 4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텍스트 질적 분석을 통해 자료수집, 개방코딩, 심층코딩, 표현과 제시 등의 절차를 통해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형식주의, 인지주의, 사회구성주의의 이론이 교재에 어떻게 적용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으며 언어 구조지식, 과정지식, 맥락지식, 내용지식의 네 차원에서 교재의 언어활동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특별히 내용지식에 초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단원의 조직에서 나타난 이론적 배경과 내부 구성 및 내용은 일치하지 않았다. 네 가지 쓰기지식 역시 각 교재에 모두 반영되어 있었으나 강조점과 비중의 차이는 있었다. 나아가 본고는 내용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포함된 교재를 드러내고 이러한 교재가 사회구성주의 쓰기교재로서 바람직함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쓰기교재 개발과 선택에 참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수학 교육에서의 쓰기(writing)의 활용 방향 (Directions for using writ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용익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2호
    • /
    • pp.589-603
    • /
    • 1999
  • Writing in mathematics education is widely used in foreign countries. In this respect, it need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s and directions for using writing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ree perspectives - constructivism, socio-cultural perspective, symbolic interactionism - on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have been reviewed. Then the past research on writing in general and using writing in mathematics education was summarized. Finally, directions for using writing in our mathematics class were suggested.

  • PDF

구성주의적 문제중심학습(PBL)에 따른 웹기반 학습상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Counselling System For Learning By Problem Based Learning(PBL) Of Constructivism)

  • 권형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12-224
    • /
    • 2002
  • 본 연구개발의 목적은 학습자가 학습문제를 능동적인 구성주의적 문제중심학습(PBL)으로 해결하는 것으로 학습문제 유형에 따른 웹 서비스 및 주제별 웹사이트 자동구축을 통한 상호작용 구현에 중점을 두었다. 학습자가 문제 중심으로 My학습에서 자신의 문제점을 파악하거나 자기 주도적으로 유형 및 사례를 파악한 뒤 필요한 상담을 선정하거나 진단지를 통한 처방 전략에 따라 관련 자료, 상담 및 강의를 지정된다. 상담관리전략인 처방은 개인별, 전문가별로 나누어 학습자는 학습자료 및 실시간/비실시간 강의를 제공받고 전문가는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게시판, 채팅, 회원관리, 온라인강의 등을 자동 생성 및 제공뿐만 아니라 폰트 및 배경의 설정까지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상담자는 웹 기반 학습상담 시스템을 주제별 개별상담체제로 운용하게 되며 학습자는 문제 상황을 중심으로 학습상담 과정과 처방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