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Mathematical Instructions Based on Constructivism on Learners' Reasoning A bility

구성주의 수학 수업이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학년 나눗셈을 중심으로 -

  • Cho, Soo-Yun (Ulsan Chungok Elementary School) ;
  • Kim, Jin-Ho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1.07.12
  • Accepted : 2011.08.26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based on constructivism on learners' reasoning ability and their achievement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reflective abstracting ability. To do it, learner-centered instructions for division was implemented, recall test, generation test, content reasoning test I and II were carried ou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data we got. Experimental group(EG) improved their reasoning ability, while comparison group(CG) did not. E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s of the contents learned in comparing with CG, and the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s of the contents unlearned in the treatment in comparing with CG was higher than the one. In addition, the comparisons of the subgroups(high, middle, and low) between EG and CG showed that the treat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chievement to all subgroups in EG. That is, the treatment was effective for unable learners. Finally, E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domain of simple calculation which might be considered as the benefits of the treatment of the CG as well as in the sub-domain of concept and principle.

본 연구의 목적은 반영적 추상화를 강조하는 구성주의 수학 수업이 반영적 추상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추론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구성주의자들의 가정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교수 학습이론인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나눗셈 수업을 실천하고, 학생들의 추론능력과 학업성취도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집단(학습자 중심 수업)은 추론능력에 있어서 향상을 보인 반면에, 통제집단(교사중심 수업)은 추론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실험집단은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실험집단은 학습하지 않은 지식의 생성력에서 더 큰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은 비단 성취도가 상인 학생들에게만 효과가 있는 수업이 아니라 서로 다른 비형식적 지식을 지니고 있는 모든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수업임을 알 수 있었다. 개념 원리영역뿐만 아니라 단순계산과 같이 통제집단에서 강점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되는 영역에서조차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1997). 제7차 교육과정 총론.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김진호 (2008). 학습자 중심 수업의 오해와 진실. 초등수학교육, 11(2), 81-94.
  3. 김진호, 이소민, 김상룡 (2010).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습자들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1), 136-151.
  4. 김진호, 김인경 (2010). GSP를 활용한 도형학습이 수학학업성취도 및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6(2), 463-485.
  5. 김태향 (2010).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학습을 받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문제해결전략 양상: 초등학교 4학년 분수 영역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남진영 (2007). 수학적 지식의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노희경 (1998). 구성 중심 수업이 학습자의 학업성취, 학습흥미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성선 (1993). 국민학교 4학년 아동들의 논리적 추론에서의 정교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배지현 (2005). 반성적 추상화 학습이 학업성취 및 전이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소민 (2008).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의 곱셈 지식 구성능력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우정호 (2000). 수학 학습 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사.
  12. 이화진 (1999).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 초등교과교육연구, 2, 35-61.
  13. 장상호 (1991). 발생적 인식론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4. 조완영 (1992). Piaget의 반영적 추상화에 기초한 수학 수업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Cohen, J. (1977).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Rev. ed.). New York: Academic Press
  16. Garnham, A., & Oakhill, J. (1994). Thinking and reasoning. Oxford: Blackwell.
  17. Ginsburg, H. P. (1989). Children's arithmetic: How they learn it and how teach it(2nd Edition). Austin, TX: Pro-ed.
  18. Glasersfeld, E. V. (1995). Radical constructivism: A way of knowing and learning. London: Washington D.C. The Falmer Press.
  19. Glass, G. V., McGaw, B., Smith, & M. L. (1981). Meta-analysis in social research.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20.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21. O'Daffer, P. G., Thornquist, B. A. (1993). Critical thinking, mathematical reasoning and Proof. In P. S. Wilson(ed.), In research ideas for classroom: High school mathematics (pp. 39-56). Reston, VA: NCTM Press.
  22. Piaget, J. (1966). The origin of intelligence in children.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Ltd
  23. Piaget, J. (1970). Genetic epistemology. NY: W. W. Norton & Company, Inc
  24. Priston, J. A. (2007). Learner-centered versus teach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A meta-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of Pennsylvania.
  25. Russell, S. J. (1999). Mathematical reasoing in the elementary grades. In L. V. Stiff and F. R. Curcio(Eds.),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s K-12 (pp. 1-12). Reston, VA: NCTM Press.
  26. Siegler, R. (1995). 아동사고의 발달. (박영신 역). 서울: 미리내. (원문은 1986년에 출판됨)
  27. Skemp, R. R. (1987).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8. Wadsworth, B. J. (1972). 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NY: Longman Publishers USA.
  29. Wickett, M., Ohanian, S., & Burns, M. (2002). Teaching arithmetic: Instructions for introducing division to grades 3-4. Sausalito, CA: Math Solutions Publications.

Cited by

  1.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비구조화된 문제에서 나타난 해결 과정 및 추론 분석 vol.51, pp.2, 2011, https://doi.org/10.7468/mathedu.2012.51.2.095
  2. K-WISC-IV에 나타난 과학학습 부진아, 일반아, 과학학습 우수아의 인지 특성 비교 연구 vol.39, pp.3, 2011, https://doi.org/10.21796/jse.2015.39.3.418
  3. 구성주의를 반영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지식 생성 수준 및 추론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4학년 분수를 중심으로 - vol.19, pp.1, 2011, https://doi.org/10.7468/jksmec.2016.19.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