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reproducibility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Construction reproducibility of a composite tooth model composed of an intraoral-scanned crown and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scanned root

  • Lim, Seung-Weon;Moon, Ryu-Jin;Kim, Min-Seok;Oh, Min-Hee;Lee, Kyung-Min;Hwang, Hyeon-Shik;Kim, Tae-Woo;Baek, Seung-Hak;Cho, Jin-Hyou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29-237
    • /
    • 2020
  • Objective: To evaluate the construction reproducibility of a composite tooth model (CTM) composed of an intraoral-scanned crown and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scanned root. Methods: The study assessed 240 teeth (30 central incisors, 30 canines, 30 second premolars, and 30 first molars i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rches) from 15 young adult patients whose pre-treatment intraoral scan and CBCT were available. Examiner-Reference (3 years' experience in CTM construction) and Examiners-A and Examiner-B (no experience) constructed the individual CTMs independently by performing the following steps: image acquisition and processing into a three-dimensional model, integration of intraoral-scanned crowns and CBCT-scanned teeth, and replacement of the CBCT-scanned crown with the intraoral-scanned crown. The tooth axis angle in terms of mesiodistal angulation and buccolingual inclination of the CTMs constructed by the three examiners were measured. To assess the construction reproducibility of CTM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ssessments were performed. Results: The ICC values of mesiodistal angulation and buccolingual inclination among the 3 examiners showed excellent agreement (0.950-0.992 and 0.965-0.993; 0.976-0.994 and 0.973-0.995 i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rche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CTM showed excellent construction reproducibility in mesiodistal angulation and buccolingual inclination regardless of the construction skill and experience levels of the examiners.

전도성 재료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발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xothermic Properties of Cement Mortar Containing Conductive Materials)

  • 송동근;홍철호;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1-132
    • /
    • 2014
  •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graphite, conductive nickel powder, copper bar, carbon fiber for evaluate the exothermic properties and heating reproducibility of the cement mortar containing conductive material. As a result, the conductive materials that interfere with heating reproducibility are present, and the optimal conductive materials exist in each input voltage.

  • PDF

전기전도성 재료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발열특성 및 재현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xothermic Properties and Reproducibility of Concrete Containing Electro-conductive Materials)

  • 송동근;조형규;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34
    • /
    • 2016
  • 부도체로 알려져 있는 기존의 콘크리트에 전기 전도성 재료를 혼입하여 발열 콘크리트로서 개발하려는 연구가 90년대 이후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콘크리트 시험체의 발열 재현성 확보가 어려워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융설용 재료로써 활용 가능한 발열 콘크리트 개발을 목적으로, 흑연, 금속분말, 혼화제를 혼입한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를 제작하여 $-2^{\circ}C$의 저온환경에서의 발열특성과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미세화학분석을 통해 발현 재현성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흑연과 고성능 AE감수제를 혼입한 시험체가 가장 우수한 발열 성능 및 재현 가능성을 보였다. 이에 따른 미세화학분석 결과, 고성능 AE 감수제 내의 폴리머 혹은 메타크릴산 성분이 흑연과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발열 재현성능을 부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반물성치 통계분석을 통한 실규모 시험용 제방축조의 재현성에 관한 정량적 평가 (Quantitive Evaluation of Reproducibility of Embankment for Full Scale Test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of Soil)

  • 이희민;문준호;김민진;김영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9-23
    • /
    • 2022
  • 하상토를 활용한 제방 축조에 관련된 연구의 실증 및 검증을 위해서는 실규모의 제방 축조 및 시험 연구가 필수인데, 이 중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가 시험에 활용되는 다수의 축조된 제방들이 얼마나 동일한 초기 준비 조건으로 축조될 수 있는지, 즉 동일한 시험 초기조건의 다수 재현 가능성에 대한 수치적, 정량적 기준을 먼저 제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립분이 함유된 하상토로 시험을 위하여 축조한 복수 제방에 대해 다양한 지반물성치(비중시험, 체가름시험, 액소성한계시험, 다짐시험, 현장밀도시험)를 취득하고, 수집한 데이터의 통계분석을 통해 제방 축조 시 동일 조건의 시험 준비 재현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과정수립에 대한 검증으로 시험용 제방을 축조하고 지반물성치를 수집하여 통계분석한 결과, 시험용 제방의 동일 조건 축조 재현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제방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규모 시험에 있어 초기조건의 정량적 동일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바텀애시 골재와 기포를 이용한 경량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재현성 평가 (Evaluation of Reproducibility for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Concrete using Bottom Ash Aggregates and Foam)

  • 지구배;문주현;양근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02-20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저량의 기포가 혼입된 바텀애시 골재 기반 경량 콘크리트(Lightweight concrete made using bottom ash aggregates and foam, LWC-BF)의 압축강도 발현 및 역학적 특성에 대한 재현성 평가이다. 이를 위해 Ji et al.에 의해 수행되었던 동일한 배합표를 기준으로 총 6 배합을 수행하였다. 배합에서의 주요변수는 기포 혼입율과 물-결합재 비로서 각각 0~25% 및 25~30%로 변화하였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초기 슬럼프, 슬러리 밀도와 굳은 콘크리트에서 재령별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및 파괴계수는 재현성 평가대상 이전 실험결과와 대체적으로 비슷하였다. 따라서, LWC-BF의 압축강도 및 역학적 특성은 기포 혼입에 의한 배합관리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재현성이 비교적 우수하였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개량아스팔트 시트와 아스팔트 매스틱을 복합화한 방수공법의 누유안정성 평가방법 개발 (Development of Oil Leakage Stability Evaluation for Composite Aterproofing Methods using Asphalt Mastic and Modified Asphalt Sheet in Concrete Structure)

  • 박진상;김동범;박완구;김병일;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상부슬래브 등 주로 수평부에 적용되는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재의 누유하자 원인을 바탕으로 제품의 누유안정성 확보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개발 및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방법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현장에서 누유 발생 이력이 있는 3개 제품을 대상으로 누유안정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진행 결과, 실제 발생하는 누유하자의 재연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재연성에 대한 정량적 검증을 위해 평가 중에 발생한 누유 시료를 채취하여 회분(Filler)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시료 대비 최대 약 64%가 저하된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선행연구에서 규명한 누유원인과 일치하는 결과로 확인하여, 평가방법의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할 수 있다.

LIBS를 활용한 모르타르 단면 염화물 침투 분석 (Analysis of Chloride Penetration in Mortar Sections using 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 박원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83-5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모르타르 내 침투염화물 분석에서의 LIBS 적용성과 재현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염화물 농도별 촉진 및 침지된 모르타르를 대상으로 표준분석(IC, 전위차 적정법)과 LIBS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표준분석 결과, 염화물 농도와 함량이 침투깊이 별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침투농도별 동일깊이의 분말시료를 대상으로 용출액을 만들고 LIBS 분석을 한 결과, Cl는 837.59nm 파장에서 깊이, 농도에 따라 신호강도가 확인되었고, LIBS 신호 강도와 Cl농도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수용액 기반의 LIBS 분석이지만 혼입(내재) 염화물 뿐만 아니라 침투 염화물량 분석에도 LIBS 적용 가능성과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Optical Films for Mobile LCD

  • Higashi, Kohji;Honda, Masaru;Matsumoto, Kohji;Sairai, Takuya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2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901-904
    • /
    • 2002
  • Display performance of mobile LCDs has been improved according to broadening of their application. But there are many demands from market, such as contrast improvement (high color reproducibility), higher efficiency of light usage, thickness reduction, widening its viewing angle and so on. To respond them we have been developing many new types of films. In this paper we introduce new high contrast white polarizers for better color reproducibility, and new film construction for higher light efficiency.

  • PDF

EFDC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에서의 성층현상 재현성 평가 (Reproducibility Evaluation of Stratification Using EFDC Model in Nakdong River)

  • 최현구;한건연;박준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561-573
    • /
    • 2017
  • 낙동강에서 다기능보의 건설과 하도의 준설로 인해 수심은 더욱 깊어졌으며 유속이 느려져 지체시간 또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수심이 깊은 일부구간에는 성층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녹조현상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와 하구언에서 성층현상 재현성이 입증된 3차원 수리 수질 해석모형인 EFDC 모형을 낙동강에 적용하여 성층현상의 재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수온 및 DO 성층화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낙동강 중 하류부에 EFDC 모형을 구축하고 성층화에 민감한 주요 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민감도 분석을 통해 최적의 매개변수를 선택하여 성층화를 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성층교란 시나리오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CM 공간상세화 방법별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영향 평가 - 만경강 유역을 중심으로 - (Assessing Hydrologic Impacts of Climate Change in the Mankyung Watershed with Different GCM Spatial Downscaling Methods)

  • 김동현;장태일;황세운;조재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6호
    • /
    • pp.81-92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ydrologic impacts of climate change according to downscaling methods using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at watershed scale. We used the APCC Integrated Modeling Solution (AIMS) for assessing various General Circulation Models (GCMs) and downscaling methods. AIMS provides three downscaling methods: 1) BCSA (Bias-Correction & Stochastic Analogue), 2) Simple Quantile Mapping (SQM), 3) SDQDM (Spatial Disaggregation and Quantile Delta Mapping). To assess future hydrologic responses of climate change, we adopted three GCMs: CESM1-BGC for flood, MIROC-ESM for drought, and HadGEM2-AO fo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national standard scenario. Combined nine climate change scenarios were assessed by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ETCCDI). SWAT model was established at the Mankyung watershed and the applicability assessment was completed by performing calibration and validation from 2008 to 2017. Historical reproducibility results from BCSA, SQM, SDQDM of three GCMs show different patterns on annual precipitation, maximum temperature, and four selected ETCCDI. BCSA and SQM showed high historical reproducibility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however SDQDM was underestimated, possibly due to the uncertainty of future climate data. Future hydrologic responses presented greater variability in SQM and relatively less variability in BCSA and SDQDM. This study implies that reasonable selection of GCMs and downscaling methods considering research objective is important and necessary to minimize uncertainty of climate change scen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