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Productivity

검색결과 1,110건 처리시간 0.027초

Investigat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from Key Performance Measurements

  • Choi, Kunhee;Lee, Hyun Woo;Bae, Junseo;Ryu, Kyeong Ro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50-153
    • /
    • 2015
  •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n integral part of any nation's economy, whether measured by dollar volume or workforce size. In spite of its strong influence, there has been very little specifically aimed at evaluating the current industry performanc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macroeconomic performanc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accounting for crucial performance affecting factors such as labor productivity and gross margin. A clustering analysis, followed by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yielded a notable finding that labor productiv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industry's profitabi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states with the strongest labor productivity show the highest level of profitability in terms of gross margin. This study should be of value to decision-makers when plotting a roadmap for future growth and rendering a strategic business decision.

  • PDF

건설 프로젝트 생산성 평가를 위한 측정 기준 수립 (Establishment of Measurement Standards for Productivity Assessment in Construction Project)

  • 김준영;윤인석;정민혁;주선우;박성은;홍영민;조종우;박문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12
    • /
    • 2022
  • 일반적인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계획 수립에 표준품셈 등 작업 물량-투입 품의 비율을 생산성의 기준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방식의 생산성 기준은 표준화된 반복작업이 많은 프로젝트에서 실효성이 높으나, 복잡성이 높은 대규모 프로젝트의 표준적인 생산성 관리 기준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는 기존 프로젝트의 실적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평균적 작업생산성보다는 당해 프로젝트의 생산성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양한 작업중단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작업시간의 영향성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부작업 프로세스에 작용하는 비작업요인의 영향성 산출을 통해 생산성을 평가하고 관리 포인트의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있는 생산성 측정 기준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세부작업 프로세스와 유형별 비작업요인을 정의한 후,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획득가능 생산성 개념을 활용하여 개선 가능한 생산성 향상의 정도와 각 비작업요인별 생산성 저하 영향도를 평가하는 방법론을 수립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현장에서 수집한 생산성 데이터를 토대로 사례분석을 수행하여 본 연구결과가 건설관리자에게 주요 생산성 관리 포인트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음을 검증한다.

건설업 실태분석을 통한 건설업생산성의 발전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spects of Build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through Construction Status Analysis)

  • 박홍태;전준태;이양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42-257
    • /
    • 2012
  • 우리나라의 인구변화의 양상은 사망률의 감소,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 여성화 추세이며, 더불어 출산율의 저화와 고령화 인구의 비율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어려운 인력수급으로 건설노무자는 외국인에 의해 충원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중국 등과 FTA의 체결로 노동집약적 산업이 쇠퇴하면 건설노무자의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것은 건설 기능인력의 부족현상과 기능 인력의 노무비 증가로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주어 건설업 생산성 저하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건설업 생산성을 위해 최근 자료로부터 국내 건설경기 동향, 산업별 생산성 지수, 산업별 취업자 추이, 연령 계층별 기능인력 추이, 여성 기능 인력 추이, 노동시간 추이, 외국노동자 인력 추이, 건설업의 수주동향 분석, 업체규모별 수주동향, 건설경영분석지표로부터 노동생산성에 관한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분석으로 건설업생산성 발전전망을 제시하였다.

한국 건설 산업 생산성의 국제경쟁력 분석 (An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Productivity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 원종성;이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75-83
    • /
    • 2008
  • 2003년 이전 국내 건설 국제경쟁력 비교연구에서 우리나라 건설 생산성이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2003년 이후 우리나라 해외 건설수주 물량도 매년 크게 늘고 있으며, Petronas Tower, Burj Dubai와 같은 세계 최고층 건물을 수주, 건설하는 등 양적 질적으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 건설생산성의 현주소를 재평가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해외선진국과의 건설생산성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국내 통계자료와 외국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노동자 1인 기준 단위시간동안 생산하는 총 공사액을 분석하여 각 국의 건설노동생산성을 측정하고 한국과 일본의 완공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층당 소요되는 공사일수와 건축물의 지하층비율을 분석하여 시공경쟁력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건설생산성이 아직 건설 선진국인 미국이나 일본보다는 뒤쳐져 있으나 영국보다는 앞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PA를 이용한 건설 현장별 노동생산성 저해요인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Hindrance Factors to Labor Productivity in Each Construction Site Using the IPA)

  • 정재호;이석원;안병주;지남용;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71-82
    • /
    • 2014
  • 우리나라 건설 현장에서는 인적요소인 건설근로자들의 경험과 행동에 따라 노동 생산성이 좌우된다. 건설현장의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동생산성을 저해시키는 잠재적인 요인들에 대한 전략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노동생산성 관리는 사전에 잠재적인 저해요인들을 도출하여 전략적으로 관리계획을 세우기보다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재적인 저해요인들만을 관리하는데 치중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원인을 파악하는데 용이한 IPA를 이용하여 현장별 건설근로자의 노동생산성 저해요인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근로자의 경제적인 문제에 대한 불만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고용불안과 취약한 근로조건에 대해서 보호받고 있다고 느끼지 못하는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장관리자에게 실질적이고 현장에 적합한 관리측면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현장의 특성에 따라 노동생산성 향상의 중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NFIGURATION METHOD OF HEALTH & SAFETY RULE FOR IMPROVING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SPACE BY MULTI-DIMENSION CAD SYSTEM

  • Hyoun-Seok Moon;Leen-Seok Kang;Nashwan Dawood;Sang-Bok, Ji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161-1165
    • /
    • 2009
  • Safety of workers and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site are affected according to the conflict status of work spaces which are performed at a time. The interference among the work spaces in construction site should be minimized because it becomes a blocking factor that causes construction delay and low productivity. Those factors can be managed by reasonable H&S (Health & Safety) practice. This research suggests the requirements of H&S practice and rules to establish the strategy of H&S managemen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related to H&S rule. The suggested H&S rule can be visualized for searching space conflict point if the rule is linked with visual simulation tool.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for improving and visualiz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by work space control in 4D/nD CAD system.

  • PDF

PC공사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주요 관리업무 분류 (Classifying Management Tasks to Improve PC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 문성환;김태훈;조규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7-178
    • /
    • 2020
  •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expectations for the Precast Concrete(PC) construction method are rising due to demands for high quality and productivity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However, although technical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early stages of technology introduction have been solved, research related to proper construction management for PC construction methods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and the advantages of PC construction methods have not been fully utilized. In this study, each group involved in PC works was surveyed to identify important management tasks affecting productivity of PC works to improve PC contruc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factor analysis, 22 tasks were calssified into 5 management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present a framework for the application of autom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PC works.

  • PDF

OECD 국가의 건설업 노동생산성 비교 및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in OECD Countries)

  • 박환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5-185
    • /
    • 2023
  •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건설업의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 건설업의 2019년 취업자당 노동생산성은 PPP 적용시 주요 선진국보다 낮은 수준이다. PPP 적용시 상대국을 100 기준으로 했을 때, 미국의 76.9, 일본의 88.4, OECD 평균의 85.1로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OECD 국가의 2019년도 건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25위 수준으로 OECD 35개 국가에서 차지하는 순위는 낮은 수준이다. OECD 국가의 건설시장규모와 건설업 노동생산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건설시장규모가 큰 국가가 건설업 노동생산성이 높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업의 노동생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첫째, 스마트 건설기술을 건설현장에 접목하여 적극 활용하는 방안, 둘째, 건설현장 작업보다는 OSC 기술로 공장작업을 통한 현장 설치작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듈러 공법, 기술개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향후에는 첨단 로봇과 공장자동화를 통한 탈현장 생산방식 및 모듈 개발을 확대하면, 건설산업도 제조업과 같은 생산방식의 개편으로 노동생산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건축공사의 현장관리 인력에 대한 생산성 분석 (A Productivity Analysis for Management Manpower of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 이현민;이동훈;정기;김선국
    • KIEAE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45-55
    • /
    • 2010
  • While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are adapting themselves to rapidly changing business landscape at home and abroad, intensifying competition among competitors in local as well as global market deteriorates the profitability of construction industry, which leads to another problem. In response to such challenges, many construction companies continue to innovate their business portfolio and organization structure, with strong commitment to business process innovation. Furthermore, they need to analyze the productivity of project site management manpower overhauling business processes systematically and develop effective alternative strategie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of project site management manpower. Current operational practices of construction site organizations have been analyzed with focus on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and data gathered from project sites have been analyzed from a wide range of perspectives, In so doing,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inputs for any subsequent attempt to estimate proper resource requirement for site management tasks in construction projects and analyze the management productivity of such resources by enabling construction companies to better understand the current operational status of site organization.

The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Time and Cost Data: Focus on field conditions and labor productivity

  • Hyun, Chang-Taek;Hong, Tae-Hoon;Ji, Soung-Min;Yu, Jun-Hyeok;An, Soo-Bae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1권1호
    • /
    • pp.37-43
    • /
    • 2011
  • Labor productivity is a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controlling time, cost, and quality.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models to define methods of meas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ity and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size of working area, maximum working hours, and the crew composition.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estimating productivity; however,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estimating labor productivity and developing time and cost data for repetitive concrete pouring activity. In Korea, "Standard Estimating" only entails the average productivity data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time and cost spent on any particular project. As a result, errors occur in estimating duration and cost for individual activities or projects.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research sought to collect data, measure productivity, and develop time and cost data using labor productivity based on field conditions from the collected data. A probabilistic approach is also proposed to develop data. A case study is performed to validate this process using actual data collected from construction sites. It is possible that the result will be used as the EVMS baseline of cost management and schedul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