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bility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초

Analysis of Spiral Lattice Girder Shape in preparation for HSR Speed Increase

  • Eum, Ki-Young;Lee, Jee-Ha;Park, Young-Kon;Yun, Jangho;Jeong, Seongw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6권4호
    • /
    • pp.160-168
    • /
    • 2013
  • A spiral lattice girder-reinforced Bi-block sleeper which has enhanced durability against increasingly growing impact force and vibration by wheel load and improved structural performance while train runs at 350km/h high speed is hereby proposed. The section of a spiral lattice girder has stable and superior structural performance thanks to its confinement effect.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spiral lattice girder-reinforced bi-block sleeper, strain and stress distribution were evaluated after applying same load condition as existing triangular lattice girder-reinforced biblock sleeper, and to compar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riangular lattice girder and spiral lattice girder, structural analysis of lattice girder was performed separately. As a result, a spiral lattice girder proved to have had superio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o bi-block sleeper, and furthermor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fastener interface and constructibility with shape-improved lattice girder, no interference with existing railroad structure was found and in terms of cost efficiency, a spiral lattice girder appeared to be superior to existing lattice girder.

콘크리트포장 확장부 타이바 설치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Tie-Bar Installation Method for Concrete Pavement Widening)

  • 황인규;양성철;정진훈;유태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3-43
    • /
    • 2006
  • 신설포장에 시공되는 타이바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타이바가 슬래브 안에 묻히기 때문에 타이바의 정착강도가 문제되지 않으나, 확장시에는 기존 포장을 천공한 후 충전재를 주입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타이바가 충분한 정착강도를 확보 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만일 삽입된 타이바가 충분한 정착강도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슬래브 간에 하중 전달에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줄눈 간격이 과도하게 벌어져서 사용성 및 내구성에도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현장에서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의해 타이바의 정착강도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현장 시공방법으로 설치된 타이바의 정착강도는 소요 정착강도의 42.7%에 불과하였다. 첫 번째 대안으로서 주입기를 이용하여 충전재를 주입하고 마개를 사용하여 충전재가 흘러 나오지 못하게 막는 방법의 경우에는 소요 정착강도를 충분히 만족 하였으나, 현장에서의 품질관리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대안으로 제시된 SL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타이바를 설치하는 방법은 충분한 정착강도를 확보 할 수 있으며 품질관리 및 시공성이 용이 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 II. 심부구속철근비 제안 (Aseismatic Performance Analysis of Circular RC Bridge Piers II. Suggestion for Transverse Steel Ratio)

  • 박창규;이대형;이범기;정영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775-78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내진설계기준의 정립을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반도와 같은 중약진 지역에서의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심부구속철근비가 과다하게 사용되어 왔다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실험 결과들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심부구속철근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심부구속철근비는 축하중비와 주철근비를 고려하였으며 낮은 축하중비에서 주철근 좌굴 방지를 위한 최소 규정을 도입하였다. 제안된 식은 일반적인 도로교상의 축하중비를 고려하면 기존 내진규정에 비해 매우 완화된 심부구속철근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문제로 나타나고 있는 시공성과 경제성이 상당히 향상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원위치파쇄기층화 공법의 개발 및 실용화 연구 (Development and Practical Use of Rubblization Method)

  • 고석범;김경택;이영철;이승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405-416
    • /
    • 2005
  • The rubblization technique is breaking the aged concrete pavement slab into rubblized concrete aggregate, and use it as an base material at its original position, then builds overlay above the rubblized base. This method has been successively used in USA due to the advantage of good contructibility, cost-effectiveness as well as the capability of preventing of reflection cracks. However, constructibility and economic performance of rubblization on typical Korean concrete pavements needed to be investigate since to typical Korean concrete pavements have thick slab, as well include lean concrete subbase course. This stud explored optimum breaking depth and suggested minimum 10cm based on reflection crack simulation test. Also proper head shape and impact energy were investigated based on small breaking field tests. It was found that $127kg/cm^2$ of stress with 52.3% of head contact area are breaking requirement. Also, Multi-head type breaker suitable for Korean condition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is multi-head type breaker was designed to rubblize old concrete to the suggested optimum rubblized-depth and rubblized-concrete-aggregate size to prevent reflection crack and maintain high bearing capacity. This machine was used for the test of rubblization of old concrete pavement on a non-use old concrete and a in-serviced road. In these two tests, engineering properties of rubblized base and constructability and cost were investigated. In both tests, the old concrete rubblized to targeted size and depth, and high-level bearing capacity was achieved. Also, superior constructability and lower cost compared with traditional reconstruction was examined.

  • PDF

중온아스팔트 혼합물의 현장 적용성 및 실내 공용성 평가 (A Study on Field Application and Laboratory Performance Evaluation of Warm Mix Asphalt)

  • 양성린;백철민;정규동;김영민;김용주;황성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9-18
    • /
    • 2012
  • PURPOSES : This study evaluated the field applicability and laboratory performance of warm-mix asphalt (WMA) as an alternative technology in asphalt pavement. METHODS : The pilot road using two different types of WMA mixture and one HMA mixture was constructed in Waegwan-Seokjeok road construction site and the mixtures were sampled at the asphalt plant for laboratory testings. The field applicability was assessed in environmental aspects, such as $CO_2$ emission, and in aspects of constructibility using the existing equipment and procedure, i.e., thickness and density measurement. The laboratory testings included the moisture susceptibility test by AASHTO T283, dynamic modulus test, triaxial repeated load permanent deformation test, and the fatigue test. RESULTS : The temperatures for production and compaction of WMA were $20{\sim}30^{\circ}C$ lower than those for HMA and therefore, the noxious gas emiss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e field density of WMA pavements was similar or better than that of HMA pavement. From the laboratory testings, it was found that WMA mixtures exhibit comparable performance to HMA mixture in moisture susceptibility, permanent deformation, and fatigue performance. CONCLUSIONS : With these results, it would be concluded that WMA could replace the existing HMA technology without any significant issue. To support thi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track the long-term performance of WMA in pilot road.

주기하중을 받는 이중강판합성벽의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Double Skin Composite Wall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 엄태성;박홍근;김진호;장인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89-301
    • /
    • 2008
  • 이중강판합성벽은 타이바로 연결된 강판외피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킨 구조벽으로서, 벽체의 구조성능을 향상시키고, 벽체의 두께를 줄이며, 별도의 거푸집 및 배근 공사없이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기하중을 받는 이중강판합성벽의 비탄성거동특성 및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및 T형 단면형상을 갖는 단일벽 및 병렬벽 실험체에 대하여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이중강판합성벽은 주기하중에 대하여 핀칭이 없이 우수한 에너지소산능력을 나타냈다. 벽체하단부 기초의 접합상세와 단면형상에 따라 파괴모드 및 변형능력의 차이를 보였으며, 주로 벽체기초 또는 연결보 용접부의 파단과 강판국부좌굴에 의하여 파괴되었다. 적절한 용접 및 보강 상세를 갖는 실험체들은 2.0~3.7% 층간변형각의 변형능력을 보였다. 또한 벽체와 연결보의 비탄성강도를 고려하여 단일벽 및 병렬벽 실험체의 하중재하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섬유 및 헤디드 바를 활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내민받침의 성능 향상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High-Strength Concrete Corbels Using Steel Fibers and Headed Bars)

  • 양준모;이주하;신현오;윤영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697-703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 혼입률과 주인장 철근의 정착 방법을 변수로 한 섬유보강 고강도 콘크리트 내민받침을 제작하고 구조실험을 실시하였다. 강섬유의 혼입, 강섬유 혼입률의 증가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 내민받침의 내하력, 강성, 연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최대 균열폭은 감소하였다. 또한, 횡방향 철근에 용접하여 주인장 타이 철근을 정착한 내민받침 보다 헤디드 바를 주인장 타이 철근으로 사용한 내민받침이 더 높은 내하력, 강성, 연성을 보였다. 따라서, 헤디드 바를 주인장 타이 철근으로 사용하고, 강섬유를 혼입함으로써 내민받침의 내하력, 내구성, 시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결과를 설계기준의 규준식 및 여러 연구자들이 제안한 예측모델과 비교한 결과, Fattuhi가 제안한 트러스 모델은 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 내민받침의 강도를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분철을 이용한 고중량 밸러스트 콘크리트 제조 및 시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bility of heavyweight ballast concrete with recycled iron slag)

  • 박대오;박영신;박재명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785-788
    • /
    • 2008
  • 선박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밸러스트는 그 용적에 의해 적재 능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박의 밸러스트에 고중량 콘크리트를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중량 콘크리트 제조에는 자철광, 갈철광 등 밀도가 큰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골재는 수급이 어렵고 고가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중량이며 수급이 용이한 폐분철을 이용하여 고중량 밸러스트 콘크리트의 품질특성 및 주의사항을 검토하여 현장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고중량 밸러스트 콘크리트는 현장 특성상 압축강도의 요구치는 없으나, 밸러스트 탱크의 밀실한 채움을 위해 고유동 및 2700kg/m$^3$이상의 단위용적질량이 요구된다. 예비 실험을 통해 설계된 현장배합의 온도균열지수는 균열을 제한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복합부식실험 결과 염화물에 대한 저항성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폐분철을 이용한 고중량 콘크리트를 밸러스트의 제조 및 시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재 능력이 증가함으로 선박운송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 패널의 선제작과 시공을 위한 역설계 프로세스와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Implications Deduction through Analysis of Reverse Engineering Process and Case Study for Prefabrication and Construction of Freeform Envelop Panels)

  • 류한국;김성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79-585
    • /
    • 2016
  • 3차원 이미지 스캐닝 기술은 복잡한 비정형 건축물의 외피의 정확한 형상과 위치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효과적이다. 3차원 이미지 스캐닝 기술의 세부 과정인 점 군집화, 메쉬표면 분리, 넙스 표면 생성, 파라메트릭 솔리드 모델을 통하여 비정형 건축물의 형상을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재 제작과 시공을 위한 3차원 이미지 스캐닝에 의한 역설계 프로세스와 사례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역설계 기술을 사용한 3차원 형상 기술과 설계 요소화 방법을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철도 PSC빔교의 하중횡분배 거동에 관한 고찰 (Investigation of the Behavior of Lateral Load Distribution of Railway PSC Girder Bridges)

  • 정찬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22-428
    • /
    • 2011
  • PSC교량형식은 철도교에서 소규모 지간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량형식이다. PSC교에서는 통상적으로 4∼5개의 주형이 설치되고, 공용중인 PSC 교량은 주형의 하중횡분배를 위하여 지간당 3개의 중간 가로보가 설치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가로보의 설치개수가 PSC 철도교의 횡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간편한 해석방법인 격자해석법과 정밀한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비교검토하였다. 해석결과 효율적인 하중횡분배를 위해서는 지간중앙부에 적어도 한 개의 가로보 설치는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로보 설치에 따른 하중 횡분배효과는 지간내에 설치되는 중간가로보의 설치 개수가 증가하여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시공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PSC 교의 중간가로보는 1개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