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structed wetland design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분산형 저류지 생태환경복원 설계 - 신정3지구 생태환경저류지에 적용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SSB)시스템을 중심으로 - (A Design for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a Dispersal Detention System - a Case of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SB) System Applied to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Detention in the Housing District of Sinjeong 3-jigu -)

  • 변찬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1-191
    • /
    • 2013
  • The design process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detention system located in the housing district of Sinjeong 3-jigu in Seoul are as follows. At stage one, a new dispersal detention was created in the neighborhood park located near the originally planned detention. From this, the amount of storage of this dispersal detention system was enlarged from $28,337m^3/d$, the initial storage amount, to $33,606m^3/d$ as the post storage amount, responsible to the amount of rainfall which happens every 100 years. In particular, the SSB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ystem, which was the New Excellent Technology ver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No. 258) was applied to enhance ecological functioning and water quality with the detention as a constructed wetland. At stage two, the treatment plans for non-point pollutant source occurred at the initial period of rain, flowing into the detention system were built for purifying the water of the retention pond at the base of the detentions, and the water-circulation system was designed at the dispersal detentions on the period of regular rainfalls. The non-point pollutant source flowing into detention site was calculated as $11,699m^3/d$ flowing down from seven small watersheds, which occurred at the initial period of rain. In particular the SSB systems improved the average efficiency of the water processing performance to BOD 60%, SS 90%, T-N 30%, T-P 60%. At stage three, the ecological network and biological diversity were strongly considered so that it brought the residents with amenity places. In particular, the dispersal detentions were successfully designed to restore the ecological habitat of endangered plant and animal species such as narrow-mouthed.

인공습지를 이용한 수처리 효율 및 향후 연구제언 (Water Treatment Using Constructed Wetlands and Research Perspectives in Korea)

  • 강호정;송근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7-63
    • /
    • 2004
  • 습지는 환경 생태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특히 수질정화기능에 초점을 두고 전 세계적으로 1000여개 이상의 습지가 수처리 및 수질개선에 이용되고 있다. 자연습지 및 인공습지를 이용한 수처리 과정에서 BOD, SS, N, P, 대장균과 중금속의 제거효율을 확인한 결과, BOD의 제거효율은 약 8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질소의 제거효율은 48%로 가장 낮았다. 또한 인의 제거효율은 평균 67%이며 유입되는 인의 농도가 높을수록 인의 처리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 관련연구의 경우, 대부분 습지의 유입수와 유출수의 농도 변화조사와 식물체내 영양염류 농도 조사가 주를 이루어 실질적으로 인공습지 내에서 영양염류가 제거되는 기작을 밝히는 연구 및 영양염류 제거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질정화에 최적의 인공습지 건설 및 운영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복합적 영양염류 제거기작의 규명 및 지질학적, 수리학적인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습지여상시설을 이용한 하천 수질정화 (Purification of Stream Water Quality by Subsurface-flow Wetland Facility)

  • 정용준;임기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56-461
    • /
    • 2006
  • The facility of constructed wet land combined with filter media was examined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a polluted stream, which has been performed as a part of national projects. Throughout 2 years of operation for a stream, it can provide the design and operating parameters for the purpose of future construction. The influent flow rate was about 50% against the design capacity. The removal efficiencies of BOD, $COD_{Mn}$, SS, T-N and T-P were 62.9%, 47.1%, 74.8%, 22.4% and 33.5%, respectively. In order to keep this facility stable, the removal of surface filter media and supplement should be periodically conducted. In addition, the proper selection of sites is recommended not to be flooded.

농업지역에 조성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의 유로에 따른 영양염류의 변화 평가 (Evaluation on the nutrient concentration changes along the flow path of a free surface flow constructed wetland in agricultural area)

  • ;;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5-222
    • /
    • 2013
  • 농업지역의 소하천에 흐르는 하천수는 유역의 농업활동으로 유출된 각종 영양염류의 함량이 높아 호소 유입시 부영양화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지역의 하천수를 처리하기 위해 조성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의 수문학적 유로에 따른 영양염류의 농도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습지내 유로에 따른 영양염류의 농도를 평가하기 위한 모니터링은 2009년 4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습지내 유로의 5개 지점에서 수행되었다. 채취된 시료는 유로에 따른 수질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질소와 인에 대한 집중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습지내 TP 저류의 원인을 평가한 결과 수온, DO 및 pH가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습지내 유입수가 침강지를 통과한 직후 영양염류의 농도가 가장 크게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많은 양의 영양소가 입자와 부착된 형태로 이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기에 향후 습지 설계시 침강지의 기능 증대 방안 도입이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습지내에서 가장 큰 영양염류 저감이 발생한 지점은 유로의 85% 지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습지내 미생물 및 식생흡입에 의한 영향으로 평가되기에 이를 활성화 하기 위한 얕은 습지 및 깊은 습지의 적절한 배치도 인공습지 설계에서 중요한 인자임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 침전지 부분에서는 영양염류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길어진 체류시간에 의한 퇴적층으로부터 용출이 원인인 것으로 평가되기에 습지설계시 침전지의 적정한 체류시간 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 식물 적용에 따른 영양염류 동태성 분석: 조름나물의 부영양화 제어 효과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Nutrients Dynamics with the Planting of Endangered Species: Focusing on the effects of eutrophication control for Menyanthes trifoliata)

  • 최윤의;함은경;김민;전진형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6권1호
    • /
    • pp.25-5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utrients dynamics depending on biomass of Menyanthes trifoliata L., the endangered species, in a small closed-type wetland. In order to understand dynamics between Menyanthes trifoliata L. and eutrophication, causal loops and stock-flow diagram were constructed. The result of the model simulation was matched well with monitoring data (Menyanthes trifoliata L. biomass, TN, TP, DO). The model was simulated with 3 scenarios. In case of scenario 1, the initial value of biomass was 0mg/L, and the eutrophic state period was 77 days. In case of scenario 2, the initial value of biomass was 35.8 mg/L, and the eutrophic state lasted for 13 days. In case of scenario 3, the initial value of biomass was 71.6 mg/L, and the eutrophic state was nonexistent. The scenario 3 was selected as planting plan of Menyanthes trifoliata L. Through this study, planting design with an endangered plant was developed to control eutrophication in small closed-type wetland.

현장조사 결과를 이용한 인공습지 적정 설계 및 유지관리 방안 도출 (Suggestion of Appropriate Design and Maintenance in a Constructed Wetland using Monitoring Results)

  • 이소영;최지연;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28-435
    • /
    • 2015
  • 인공습지는 물순환, 생태, 수질정화, 경관, 심미적 기능 등의 융합적 기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와 토지이용의 고도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 조성된 인공습지는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아 단순 토목, 조경 위주의 습지 조성으로 인공습지의 고유기능 발휘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습지의 적정 설계, 유지관리 및 사후운영 방안 등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에 조성된 인공습지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공습지의 개념 정립 및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환경부 및 기타 기관에서 분류하고 있는 인공습지의 분류체계에 대하여 조사였다. 인공습지 현장조사는 2013년부터 2014년까지 43개 지점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현장조사를 실시한 인공습지 중 우수사례로 꼽힌 인공습지는 공통적으로 수변공간 제공, 오염물질 정화기능, 생태서식처 제공 등의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 퇴적물, 시설관리 등의 유지관리가 적절하게 수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습지의 적정 설계 및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실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지역 내 FWS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효율 분석 (Analysis of water purification in the FWS wetland for Agreculture Area)

  • 강창국;;손영규;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9-47
    • /
    • 2010
  • 최근 우리나라 농경지 면적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나 이러한 농업지역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지역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 중 대부분은 비점오염원에 의해 배출되며 이는 주로 저농도이면서 넓은 지역에서 대량으로 배출되는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지역 내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공습지를 적용하여 수질정화효율을 분석함으로써 인공습지 적용가능성과 오염물질 제거기작, 설계인자 등을 제공함에 있다.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수질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유입수의 평균 농도 제거율은 TSS가 26 %, BOD가 28 %, TN이 16 %, TP가 39 %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하천수질기준에 준하여 인공습지 유입수과 유출수의 수질을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수질등급이 향상되었다.

활성슬러지-인공습지 공법에 의한 돈사폐수처리시스템에서 오염물질의 분획별 정화효율 평가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iencies of Pollutants under Different Pollutant Fractions in Activated Sludge-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Treating Piggery Wastewater)

  • 김성헌;서동철;박종환;이충헌;최정호;김홍출;하영래;조주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4-350
    • /
    • 2012
  • 돈사폐수의 분획별 및 우리나라 기후변화 특성에 대한 활성슬러지-인공습지 공법에 의한 돈사폐수처리장의 대응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오염물질 분획별 및 계절별 수처리효율을 조사하였다. 오염물질 분획별 수처리효율을 조사한 결과 최종 방류수의 COD는 213.5 mg/L정도로 soluble형태가 71.5 mg/L, insoluble형태가 142 mg/L정도이었고, SS함량은 118 mg/L정도로 volatile형태가 102 mg/L, fixed형태가 15.5 mg/L정도이었으며, 최종 방류수의 T-N함량은 47.8 mg/L 정도로 dissolved형태가 12.8 mg/L, suspended형태가 35.0 mg/L정도이었다. 또한 방류수의 T-P함량은 3.05 mg/L정도로 dissolved형태가 1.13 mg/L, suspended형태가 1.93 mg/L정도이었다. 활성슬러지-인공습지 공법에 의한 돈사폐수처리장에서 계절별 수처리효율을 조사한 결과 COD, SS 및 T-P의 처리효율은 98, 99 및 99%이상으로 계절에 따라 별 다른 차이 없이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고, T-N 처리효율은 여름 (99.5%)${\geq}$가을 (99.1%)${\geq}$겨울 (98.7%)${\geq}$봄 (98.2%)의 순으로 여름철에 가장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다.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for Water Pollution Control: Case Studies on Application of Natural Systems

  • Polprasert, Chongrak;Liamlaem, Warunsak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85-195
    • /
    • 2014
  • Despite the enormous technical and economic efforts to improve environmental conditions, currently about 40% of the global population (or 2 billion people) are still lack access to safe water supply and adequate sanitation facilities. Pollution problems and transmission of water- related diseases will continue to proliferate. The rapid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will lead to a reduction of arable land, thus exacerbating the food shortage problems and threaten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Natural systems in this context are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which employs the activities of microbes, soil and/or plants in waste stabilisation and resource recovery without the aid of mechanical or energy-intensive equipments. Examples of these natural systems are: waste stabilisation ponds, aquatic weed ponds, constructed wetlands and land treatment processes. Although they require relatively large land areas, the natural systems could achieve a high degree of waste stabilisation and at the same time, yield potentials for waste recycling through the production of algal protein, fish, crops, and plant biomass. Because of the complex interactions occurring in the natural systems, the existing design procedures are based mainly on empirical or field experience approaches. An integrated kinetic model encompassing the activities of both suspended and biofilm bacteria and some important engineering parameters has been developed which could predict the organic matter degradation in the natural systems satisfactorily.

기술정보 - 인공습지의 설계방안 (Constructed wetland design)

  • 엄한용
    • 한국관개배수회지
    • /
    • 제43호
    • /
    • pp.20-24
    • /
    • 2010
  • 담수호 및 농업용저수지의 유입수는 일반적으로 다유량 저농도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강우시에는 유역의 노면에 집적된 비점오염물질이 넓은 면적에서 폭넓게 유출되어 유입되고 있어 기존의 하수처리공법에서와 같이 한곳에 모아 처리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 넓은 유역을 갖는 수체에 적용될 수 있는 공법은 가급적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특히 호소의 주오염 특성인 부영양화 억제를 위한 질소 인 등의 영양 염류를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수질정화용 인공습지가 많이 검토되고 있다. 인공습지는 습지의 기능 중 수질정화 기능을 극대화 한 것으로 초기에는 도시하수유출 수의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점차 유기물의 부하농도가 높은 농업배수(축산 등)에 이용되기 시작 하였다. 강우 유출수, 도시하수, 농업배수, 광산 폐수 등의 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수질개선시설로 적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강우유출과 같은 유출수의 수질을 관리하기 위한 기법으로 인공습지의 사용이 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수행한 습지관련 연구와 자료수집결과 등을 종합하여 인공습지의 기본적인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