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cience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1초

Levels of Conscience and Related Factors among Iranian Oncology Nurses

  • Gorbanzadeh, Behrang;Rahmani, Azad;Mogadassian, Sima;Behshid, Mojhgan;Azadi, Arman;Taghavy, Saie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211-8214
    • /
    • 2016
  • Background: Having a conscience is one of the main pre-requisite of providing nursing care. The knowledge regarding levels of conscience among nurses in eastern countries is limit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conscienc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Iranian oncology nurs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3 hospitals in Tabriz, Iran. Overall, 68 nurses were selected using a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The perceptions of conscience questionnaire was used to identify the levels of conscience among nur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3.0. Results: The mean nurses' level of conscience scores was 72.7. In the authority and asset sub-scales nurses acquired higher scores. The mean of nurses' scores in burden and depending on culture sub-scales were the least. Also, there were no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som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their total score on the perceptions of conscience questionnaire. Conclusions: According to study findings Iranian nurses had high levels of conscience. However, understanding all the factors that affect nurses' perception of conscience requires further studies.

부·모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양심 발달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ffortful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Conscience)

  • 배윤진;임지영
    • 아동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7-6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conscience. In this study, the subjects consisted of 335 preschoolers ($M_{month}=65.86$) and their paren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conscience. Seco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mediated the effects of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upon preschooler's conscience. Thir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Time 1) had effects upon conscience(Time 2).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parents'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preschooler's conscience.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a Mother's Guilty Conscience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Behavior)

  • 박희진;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1-137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종일제 어린이집에 다니는 243명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죄책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7.0 for Window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t-test,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모학력과 모취업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의 차이로는, 전문대졸 이하의 학력인 어머니보다 대졸 이상의 학력인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고, 취업모가 비취업모보다 긍정적 양육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양육태도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양육죄책감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양심간의 관계 : 두려운 기질의 중재적 역할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Discipline Style and Preschoolers' Conscience : The Moderating Role of Fearfulness)

  • 조은영;도현심;김민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5호
    • /
    • pp.235-249
    • /
    • 2010
  •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fearfulness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discipline styles and preschoolers' conscience. It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discipline styles and consci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fearfulness and conscience. A sample of 250 parents of children aged between three and six (126 boys and 124 girl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on parental discipline style, preschoolers' conscience, and their fearful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young children displayed greater actions of reparation and apology when mothers did not neglect and practiced reasoning. The more coercive punishment mothers practiced, the less internalized conduct children showed. In addition, the neglecting discipline style of fathers and the reasoning style of mothe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and positive influence, respectively, on children's guil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fearfulness of childre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actions of reparation and apology and guilt. Finally, fearfulness moderated influences of mothers' coercive punishment on actions of reparation and apology and fathers' reasoning on internalized conducts. Only fearful children showed not only more actions of reparation and apology when fathers had coercive discipline style but also more internalized behavior when mothers had reasoning discipline style. These results emphasize mutual influences between parental roles and children's personal traits on conscienc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대순사상과 하이데거의 '양심' 개념에 대한 비교연구 - 근원을 향한 '양심'의 회귀적 특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Concerning the Idea of 'Conscience' in Daesoon Thought and Heidegger: Focusing on the Tendency of 'Conscience' to Return to Itself)

  • 김대현
    • 대순사상논총
    • /
    • 제28집
    • /
    • pp.243-265
    • /
    • 2017
  • 본고는 대순사상의 '양심(良心)' 개념을 '근원을 향한 회귀적 특성'이라고 정의한다. 양심이라는 한 개념의 지평은 인간 존재자의 근원에 대한 이탈과 회귀라는 구조를 형성하며 또한 인간 완성이라는 수도의 목적으로 이어진다. 달리 말해 양심은 인간의 잠재적 가능성을 가늠하게 하고 그 잠재적 가능성의 발현을 근원으로의 회귀라는 개념으로 이끌어간다. 근원을 사이에 둔 이탈과 회귀 가운데서 양심은 인존적 인간의 주체적 힘으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대순사상의 '양심' 개념은 대순사상의 주체 개념인 '인존'과 '자유의사, 성사재인'과 체계적 구도 속에서 연결되며 이러한 주체의 특성이 하이데거 실존주의 체계의 주체가 가진 현대적 특성과 공통된 문제의식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피투의 사실성과 기투의 실존성이라는 인간 현존재를 하이데거는 인간의 숙명이라고 보고 자기 자신의 고독한 실존적 구축 속에서 자신을 회복하는 것으로 인간 실존을 규명하였다. 이에 대해 대순사상은 하이데거의 실존적 인간의 내던져짐과는 달리 그 궁극적 실재의 근원을 가지면서 그 근원 자체를 주체 내부와 합일된 상태의 인간을 이야기한다. 이를 인존의 신명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독자적 주체도 아니며 그렇다고 근원에 종속된 주체도 아니다. 근원을 제시하지만 합일되어 있으므로 그것은 종속이 아닌 자유의사이다. 하이데거의 실존적 주체가 가진 자율성과 독자성을 다 가지고 있으면서도 근원을 제시하는 중층적 체계는 대순사상이 가진 독특한 현대적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

초국적 이주 현상에 대한 환대의 종교사상 고찰 -대순사상의 '양심'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ligious Thought Regarding Hospitality for the Phenomenon of Transnational Migra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Conscience' in Daesoon Thought)

  • 석창훈
    • 대순사상논총
    • /
    • 제43집
    • /
    • pp.1-29
    • /
    • 2022
  • 초국적 이주시대를 맞아 이주현상을 회피할 수 없는 글로벌 한국사회에서 종교의 시대적 징표를 인식하고, 평화를 지향하는 종교와 종교인의 실천적 테제로 환대를 조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순사상의 '양심(良心)'을 조망하게 된다. 대순사상의 양심은 천성 그대로의 본심이며, 인성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초국적 이주 현상에 대한 환대의 종교사상을 탐색하기 위하여 배타적 인식, 포용적 인식, 다원적 인식의 세 가지 분석틀을 통해 조망하고 환대의 관점에서 비평하였다. 나아가 환대를 타자를 대함에 있어 '자아의 확장'을 시도하는 태도로 보고, 종교적으로 자아의 확장은 공생의 관계를 넘어 상생의 관계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타자화를 극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대순사상의 '양심'을 중심으로 이주민과 함께하는 무조건적 환대의 종교사상을 탐색하였다. 대순사상에서 마음은 천지의 근원이 되고 또한 인간존재의 본질이되고 있다. 이러한 마음은 인간에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바로 '양심' 과 '사심'이다. 대순사상에서 양심은 인간의 잠재적 가능성을 가능하게 하고 그 잠재적 가능성의 발현을 근원으로의 회귀를 지향한다. 즉 마음을 속이지 않는 무자기(無自欺)를 통해 사심을 버리고 인성의 본질인 천성을 되찾는 것이다. 대순사상에서 인간완성을 목적으로 무자기에 기반한 상생 윤리의 실천은 척을 짓지 않고 남을 잘되게 하려는 해원상생(解冤相生)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상생이념을 지닌 대순진리의 관계적, 인륜공동체의 관점이 보강될 때 무자기에 기반한 해원상생의 실천윤리가 무조건적인 환대라는 정신개벽으로 발전할 수 있는 논거를 확인하였다.

유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성론(心性論)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ories of the Nature of the Mind in Confucianism and in Daesoon Jinrihoe)

  • 윤용복
    • 대순사상논총
    • /
    • 제32집
    • /
    • pp.1-28
    • /
    • 2019
  • 심성론(心性論)이란 말 그대로 인간이 지닌 마음의 본성에 대한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인간은 마음이란 것을 지니고 있는데, 그것이 과연 무엇인가, 그리고 어떤 성품을 지녔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유교의 심성론과 관련시켜서 대순진리회의 심성론을 이해하려 하였다. 유교와 마찬가지로 대순진리회에서도 마음에 관한 문제는 중요한 주제이다. 『전경』에서 제시한 마음에 대한 개념은 신과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마음이 선하거나 악하다는 전제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다만 마음은 인간과 우주의 중심이며 모든 사물이 마음에 의존하고 있다는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마음의 작용에 따라 선과 악이 드러나는 구조라고 이해된다. 『대순진리회 요람』에는 양심과 사심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양심을 공자의 인(仁), 또는 맹자의 양지(良知)로 이해한다면 보다 발전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그렇게 본다면 양심이 바로 마음의 본성이 되며 또한 인간, 또는 마음의 본성은 선하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심성에 관한 논의는 증산이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일심(一心)이라는 주제와 관련해서도 설명될 수 있다. 양심과 사심이라는 두 가지 마음을 제시하지만 본래의 마음이란 천성으로서의 양심일 뿐 사심은 허상에 불과한 것으로 성인(聖人)도 생각하지 않으면 광인이 된다는 주자의 설명처럼 자세히 살펴 그것이 허상에 불과함을 깨달아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래의 일심인 양심으로 돌아올 때 증산이 강조한 일심이 된다. 말하자면 사심이란 본래 없다가 물욕으로 인해 생겨나는 욕심이다. 인심도심론은 선진시대로부터 이후의 성리학에 이르기까지 마음을 이해하는 주요한 설명체계 가운데 하나였다. 도심은 선천적인 천성, 천리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순수하게 도덕적이고 선하다는 것이 주자의 도심에 대한 이해이다. 이에 비해 인심은 그 자체가 불선은 아니지만 감각기관에 의해 나타나는 모습과 욕구에 따라 불선으로 발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양심을 도심으로 바꾸어도 차이는 없겠으나 사심을 바로 인심으로 대치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다만 사심이 허상에 불과하다거나 아니면 마음이 정으로 드러날 때 사적인 욕심의 영향으로 드러나는가, 본래적 도심이나 양심으로 드러나는가에 따라 달리 드러날 뿐 본래 마음은 하나라고 이해한다면 가능하다.

[법철학]의 근본이해를 위한 비평적 서평 (The critical review for root understanding of law philosophy)

  • 이천효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471-503
    • /
    • 1995
  • Originally [descriptive review] is widely used by general reader. In contrast with this, [critical review] is generally used by librarian and researcher. Like this, book review is divided into descriptive review and critical review. Besides, the present writer su n.0, pposes to make additions to [interpretative review]. In this study, the present writer tries to realize full-scale review concerning [The Root Problem of Law Philosophy/Kim, Pyong-Kyu] by critical review and interpretative review. Together, the contents on which the critical review of law philosophy is based on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1) The law and metaphor (2) The Oriental law and natural law (3) The golden rule in the Orient (4) The ideology and justice of Confucianism (5) The justice in Confucian thought (6) The essay on justice of the West and the Orient (7) The significance of the Oriental morality (8) The relation of morality, ceremony and law (9) The essay on conscience (10) The essay on conscience of the Orient and the West

  • PDF

6·25 동란 후의 소설 『백지의 기록』과 스페인 내전 후 소설 『무』의 등장인물들의 실존의식과 현실극복의지 (The Existential Conscience and Steadfast Spirit of Characters in Nada and Writing on Blank Paper)

  • 송선기
    • 비교문화연구
    • /
    • 제33권
    • /
    • pp.121-14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methodology useful for identifying links between the postwar novels of Spain and Korea. We analyze the lives and actions of the characters from Nada by Carmen Laforet, and Writing on blank paper by Oh Sang Won. The characters in these novels demonstrate the challenge of adapting to the harsh reality of life because of the psychological or physical scars of war: characters such as Jungsub and Jungseo in Writing on blank paper and Juan and Andrea in Nada finally overcome their difficulties thanks to a shared sense of existential conscience and a steadfast fighting spirit; others, like Jungyun and Roman, surrender to the struggle and commit suicide, tragically succumbing to the bitter harshness of re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novels' characters, we can empathize with the common tragedy of war-time life and death; we gain perspective on the destruction of both society and people caused by war.

증례 '금지된 언어와 침묵을 넘어서'를 통해 본 정신신체화 환자와의 소통 (Communication with Psychosomatic Patient: With a Clinical Vignette "When Words Are Unspeakable: A Bridge Beyond the Silence")

  • 장은진
    • 정신분석
    • /
    • 제29권4호
    • /
    • pp.72-82
    • /
    • 2018
  • What should a therapist do if the patient has lost the ability to speak in sessions? How should the therapist understand and approach this 'deadly silence'? Psychosomatic patients have poor ability to mentalize their experience, so they create a 'shunt' from emotional experience to body bypassing symbolic sphere. This makes psychosomatic patients vulnerable to expressing their emotions in words. With the case vignette 'When words are unspeakable: a bridge beyond the silence' written by Wirth in a book "From soma to symbol" we observe how psychosomatic pathology arises, from inappropriate mirroring and poor containment; and how this escalates into a vicious cycle of sin and punishment in the patient's conscience. This conscience scenario imprisons a talented and creative mind in a dark, silent place, wherein symbols and words are forbidden. This seemingly impossible task of providing silent patients with a 'talking cure' finds breakthrough with containment, and transformative thinking using therapists' rev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