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eligious Thought Regarding Hospitality for the Phenomenon of Transnational Migra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Conscience' in Daesoon Thought

초국적 이주 현상에 대한 환대의 종교사상 고찰 -대순사상의 '양심'을 중심으로-

  • Seog Chang-hoon (The INITIUM College of Liberal Arts, Sunmoon University)
  • Received : 2022.10.25
  • Accepted : 2022.12.07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In this era of transnational migr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igns of the times regarding religion. Dur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ociety, migration cannot be avoided, and as such, Korea should look towards hospitality with practical themes of religion and religious people aiming for pea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conscience' in Daesoon Thought because this understanding of the conscience connects people to their heavenly endowed nature and their original selves. First, in order to explore the religious ideas of hospitality for transnational migration, this study viewed the issue through three analytical frames: exclusive perception, tolerant perception, and pluralistic perception, and then criticized these from the perspective of hospitality. Furthermore, hospitality was viewed as an attitude of attempting to expand one's sense of self in dealing with others. Religiously, it was derived that the expansion of one's sense of self should aim for relationships of Sangsaeng (相生 mutual beneficence) as these go beyond mere symbiosis. In addition, as a way to overcome otherness, the religious idea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towards migrants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concept of conscience in Daesoon Thought. In Daesoon Thought, the mind is the source of Heaven and Earth and also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There are two aspects of mind that arise in humans: conscience and private interest. In Daesoon Thought, the conscience enables human potential and aims for a return to the source. In other words, it is to abandon private-interest and regain one's nature and the essence of one's personality. This can be done through Mujagi (無自欺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embodying and maintaining a mind that does not deceive itself. In Daesoon Thought, the practice of Sangsaeng ethics based on Mujagi is expressed as Haewon Sangsaeng (解冤相生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working for the betterment of others. Therefore, when the relational and communal perspectives of Daesoon Truth and Sangsaeng are reinforced, the argument for developing the practical ethics of Haewon Sangsaeng based on Mujagi into the transformation of the human spirit expressed as unconditional hospitality was found to be sound.

초국적 이주시대를 맞아 이주현상을 회피할 수 없는 글로벌 한국사회에서 종교의 시대적 징표를 인식하고, 평화를 지향하는 종교와 종교인의 실천적 테제로 환대를 조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순사상의 '양심(良心)'을 조망하게 된다. 대순사상의 양심은 천성 그대로의 본심이며, 인성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초국적 이주 현상에 대한 환대의 종교사상을 탐색하기 위하여 배타적 인식, 포용적 인식, 다원적 인식의 세 가지 분석틀을 통해 조망하고 환대의 관점에서 비평하였다. 나아가 환대를 타자를 대함에 있어 '자아의 확장'을 시도하는 태도로 보고, 종교적으로 자아의 확장은 공생의 관계를 넘어 상생의 관계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타자화를 극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대순사상의 '양심'을 중심으로 이주민과 함께하는 무조건적 환대의 종교사상을 탐색하였다. 대순사상에서 마음은 천지의 근원이 되고 또한 인간존재의 본질이되고 있다. 이러한 마음은 인간에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바로 '양심' 과 '사심'이다. 대순사상에서 양심은 인간의 잠재적 가능성을 가능하게 하고 그 잠재적 가능성의 발현을 근원으로의 회귀를 지향한다. 즉 마음을 속이지 않는 무자기(無自欺)를 통해 사심을 버리고 인성의 본질인 천성을 되찾는 것이다. 대순사상에서 인간완성을 목적으로 무자기에 기반한 상생 윤리의 실천은 척을 짓지 않고 남을 잘되게 하려는 해원상생(解冤相生)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상생이념을 지닌 대순진리의 관계적, 인륜공동체의 관점이 보강될 때 무자기에 기반한 해원상생의 실천윤리가 무조건적인 환대라는 정신개벽으로 발전할 수 있는 논거를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2.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3.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4. 김광기, 「이방인의 사회학」, 파주: 글항아리, 2014.
  5. 김대현, 「대순사상과 하이데거의 '양심' 개념에 대한 비교연구: 근원을 향한 '양심'의 회귀적 특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8,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8.0.243
  6. 김애령, 「이방인과 환대의 윤리」, 「철학과 현상학 연구」 39, 2008. http://uci.or.kr/G704-001226.2008..39.001
  7. 김의성, 「대순사상에 나타난 인식 문제에 관한 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68, 2016. http://uci.or.kr/G704-002009.2016..68.005
  8. 김의성, 「선민의식과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순사상」, 「신종교연구」 42, 2020. https://doi.org/10.22245/jkanr.2020.42.42.57
  9. 김정현, 「외국인이라는 문제, 그리고 환대: 폴 리쾨르의 견해를 중심으로」, 「코기토」 78, 2015. http://uci.or.kr/G704-SER000011366.2015.78..004
  10. 모춘흥, 「'프레카리아트'와의 상생을 위한 환대의 정치: 탈북민 문제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147
  11. 박종수, 「한국 다문화사회와 종교」,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9.
  12. 석창훈, 「다문화사회에서 종교기념일의 이해와 종교간 대화 탐색」, 「다문화콘텐츠연구」 38, 2021. https://doi.org/10.15400/mccs.2021.12.38.151
  13. 윤재근, 「다문화사회에 있어 상생을 위한 대순사상의 제언」, 「종교교육학연구」 36, 2011. http://uci.or.kr/G704-000911.2011.36..002
  14. 이경원, 「대순진리회 교리론」, 서울: 문사철, 2013.
  15. 이진구, 「다문화시대 한국 개신교의 이슬람 인식: 이슬람포비아를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 19, 2011. http://uci.or.kr/G704-001825.2011.19.19.012
  16. 조용기.윤기봉, 「신한류와 다문화 현상에 대한 대순사상의 문화적 접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6, 2016. https://doi.org/10.21184/jkeia.2016.12.10.6.151
  17. 정지윤, 「대순진리회의 사회사업 실천 방향성에 관한 연구: 대만 자제공덕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종교연구」 35, 2016. https://doi.org/10.22245/jkanr.2016.35.35.111
  18. 조일준, 「이주하는 인간, 호모 미그란스: 인류의 이주 역사와 국제 이주의 흐름」, 서울: 푸른역사, 2016.
  19. 지오반나 보라도리, 「테러 시대의 철학: 하버마스, 데리다와의 대화」, 손철성 외 옮김,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4.
  20. 차선근, 「대순진리회 마음관 연구 서설: 해원과 감응을 중심으로」, 「신종교연구」 36, 2017. https://doi.org/10.22245/jkanr.2017.36.36.111
  21. 최병두, 「초국적 이주와 환대의 지리학」, 서울: 푸른길, 2018.
  22. 최진우, 「환대의 윤리와 평화」, 「오토피아」 32-1, 2017. https://doi.org/10.32355/OUGHTOPIA.2017.05.32.1.5
  23. Hans Kung, Global Responsibility: In Search of a New World Ethic, New York: Crossroad, 1991.
  24. Thomas E. Reynolds, "Toward a Wider Hospitality: Rethinking Love of Neighbour in Religions of the Book," Irish Theological Quarterly, 75:2, 2010. https://doi.org/10.1177/0021140009360497
  25. 박찬인, 「자국민 성직자 통한 이주민 사목 배려 절실해」, 《가톨릭평화방송》2021. 9. 27.
  26.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홈페이지》 https://www.immigration.go.kr
  27. 《IOM 한국대표부 홈페이지》 http://iom.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