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jugated linoleic acid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초

Purification and Amino Acid Sequence of the Linoleate Isomerase Produced from Butyrivibrio fibrisolvens A-38

  • Park, Sook-Jahr;Park, Kyung-Ah;Park, Cjerl-Woo;Park, Won-Seck;Kim, Jeong-Ok;Ha, Yeong-L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2호
    • /
    • pp.244-251
    • /
    • 1996
  • Molecular weight and partial amino acid sequence of the cis, 9-cis, 12-octadecadienoate isomerase(linoleate isomerase) of Butyrivibrio fibrisovens A-38 were determined. Linoleate isomerase was isolated from the bac-teria cultured anaerobically and purified by ultracentrifugation in conjunction with Sepharose 6B column chro-matography, Phenyl sepharose 4B column chromatography and fast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EPLC). The isomerase was single polypeptide with 19KD of molecular weight, when determined by SDS-PAGE. Fourteen amino acids sequence of N-terminal of the linoleate isomerase was N-GEIDKYPRIIKQQ determined by Edman method.

  • PDF

여러 수분활성도에서 저장된 밀가루의 지질 조성 및 산화 (Lipid Composition and Oxidation of Wheat Flour Stored at Various Water Activities)

  • 이유성;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98호
    • /
    • pp.180-186
    • /
    • 2007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water activities (Aw: 0.3, 0.5, and 0.8) on the lipid composition and oxidation of wheat flour after 28 days of storage in the dark at $60^{\circ}$C. The lipid content of the flour was 2.7%, and had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t the end of the storage period. Decrease in monoacylglycerol and increase in free fatty acids were observed, however, phosphatidic acid, phosphatidylglycerol, and phosphatidylinositiol were not detected after storage. Phosphatidylehtanolamine was more stable than phosphatidylcholine during the dark storage of flour. The flour lipids consisted of palmitic (18%), stearic (1%), oleic (14%), linoleic (63%), and linolenic (4%) acids, and the relative content of linolenic acid decreased after 28 days of storage. The conjugated dienoic acid content of the flour lipid had increased due to lipid oxidation during dark storage. Hydrolysis of neutral lipids and glycolipids, and lipid oxidation, were higher in the flour stored at Aw 0.8 than in the flour stored at Aw 0.3 or 0.5.

폐계가슴살 회수단백질을 활용한 돈육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영향하는 동충하초, 누에고치 및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첨가 효과 (Effect of Cordyceps ochraceostromat, Silkworm Cocoon,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Sausage Manufactured with Protein Recovered from Breast of Spent Laying Hen)

  • 진상근;김일석;강석남;최승연;허인철;이중근;양한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131-140
    • /
    • 2010
  • 기능성 물질의 첨가가 노폐계육단백질을 활용한 돈육 소시지의 저장 중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햄육만을 사용한 대조구에 40% 기계발골육 회수단백질을 활용한 T1, 40% 회수단백질에 0.1%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한 T2, 0.1% 누에고치 분말을 첨가한 T3, 0.1% CLA를 첨가한 T4 및 0.05%씩 동충하초, 누에고치 및 CLA를 각각 첨가하여 T5, T6 및 T7으로 분류하여 4주간 저장하였다. 저장 말기 T4를 제외하곤 수분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며, 단백질 함량 결과,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이며, 지방 함량 또한40% 회수단백질 대체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40% 회수단백질을 대체하여도 제품내 수분 함량의 변화가 없으며, 물리적 특성인 보수력과 가열감량 또한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소시지 제품 내 수분결합력 및 수분손실률인 loss 값의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능성 물질첨가에 따른 차이보다는 40% 회수단백질 대체는 높은 명도 및 pH 값을, 경도, 응집성 및 씹힘성을 떨어뜨려 연한 조직감을 형성하였다. 저장성 실험 결과, 총균수는 대조구에서 오히려 낮게 나타났으며, 지방산패도 값은 40% 회수단백질의 대체에 따른 차이보다는 저장 4주차의 T4, T5 및 T6에서 낮게 나타나 동충하초 및 누에고치 0.1% 첨가보단 0.1% CLA 및 동충하초, 누에고치 및 CLA 혼합 첨가구에서 지방산패도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 회수 단백질 및 기능성 물질 또한 VBN 값에 영향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관능평가 결과, 기존의 축육 소시지와 비교하여 40% 회수단백질 및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 제품과의 기호도 차이를 보이지 않아 노폐계육의 산업적 활용도뿐만 아니라 동충하초, 누에고치 및 CLA첨가를 통한 기능성 제품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onjugated Linoleic Acid-Triglyceride 첨가가 프레스햄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Triglyceride Additiv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ed Ham)

  • 이정일;하영주;이제룡;주영국;곽석준;도창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15
    • /
    • 2007
  •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으며, CLA-TG는 sodium methoxide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시험구는 프레스햄에 첨가되는 CLA-TG의 양에 따라 5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CLA-TG를 첨가하지 않고 총 구성분 중 10%량 만큼 등지방을 첨가하였다. 처리구 1은 프레스햄 제조시 첨가되는 돈지방 함량 중 5%를 CLA-TG로 대체시켰으며, 처리구 2는 첨가되는 지방의 10%를 CLA-TG로 대체, 처리구 3은 15%를 CLA-TG로 대체, 처리구 4는 20%를 CLA-TG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프레스햄은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 7, 14, 21 및 28일간 저장하면서 CLA-TG 첨가된 프레스햄의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분석(pH, 육색), 조직적 특성분석을 조사하였다. 함유수분,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와 CLA-TG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가 CLA-TG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대조구가 CLA-TG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pH를 보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pH 변화는 전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색 변화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CLA-TG 대체 수준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황색도 값은 증가하고 반면에 적색도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조직감의 변화에서 대조구와 CLA-TG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CLA-TG의 첨가는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CLA를 축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고기능성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기계발골계육 회수단백질을 활용한 돈육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성 향상을 위한 동충하초, 누에고치 및 Conjugated Linoleic Acid의 첨가 효과 (Effect of Cordyceps ochraceostromat, Silkworm Cocoon,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he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Pork Sausage Manufactured by MDCM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Recovered Protein)

  • 진상근;김일석;강석남;허인철;최승연;강상하;양한술;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3-251
    • /
    • 2010
  • 기능성 물질의 첨가가 기계발골계육 회수단백질을 활용한 돈육 소시지의 저장 중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햄부위 육만을 사용한 대조구와 대비 40% 기계발골계육 회수단백질을 활용한 T1, 40% 기계발골육에 0.1%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한 T2, 0.1% CLAT3 및 0.1% 누에고치 분말을 첨가한 T4로 나눠 실험에 공시하였다. 저장 0일차와 4주차에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T1에서 가장 낮은 수분함량이 나타났으며, T2, T3 및 T4에서 T1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 함량의 경우, 저장 초기에는 대조구에서 낮은 값을, T2, T3 및 T4에서 높은 지방 함량을 보였으며, 저장 후기 즉, 4주차에는 40% 기계발골계육 회수단백질을 대체한 처리구들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명도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나며, 적색도 또한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전 저장기간에 걸쳐 높게 나타났다(p<0.05). 보수력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보다는 처리구들간의 비교 시 0일차와 2주차에서 대조구에 비해 T1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저장 2주차의 T1에 비해 T2에서 높은 값을 보이며(p<0.05),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T3 및 T4 또한 높게 나타나 40% 기계발골계육 회수단백질을 활용한 돈육 소시지의 낮은 보수력을 동충하초, CLA 및 누에고치 분말 첨가를 통해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도는 대조구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응집성, 검성 및 씹힘성 또한 경도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TBARS 측정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2주째까지는 감소하다가 4주째에 모든 처리구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또한 대조구에 비해 40% 회수단백질 첨가시 높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기능성 물질 첨가가 TBARS 값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VBN 값은 저장기간이 길어 질수록 증가하며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다. 미생물 수 측정 결과, 저장기간 별 비교에서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총균수가 증가하였다(p<0.05). 또한 저장 2주째까지는 대조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저장 4주째에는 T2와 T3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40% 회수단백질의 활용은 돈육 제품의 명도 값을 낮추는 등 밝은 육색을 나타내며, 경도 등 조직 특성을 변화시켜 연한 조직감을 형성하였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동충하초, CLA 및 누에고치 분말의 첨가는 VBN 값을 낮추었다. 그러나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동충하초, CLA 및 누에고치 등의 첨가를 통해 제품의 총균수 값을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며, 40% 회수단백질의 높은 TBARS 값은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돈육 제품의 품질 특성에 부합하는 적절한 회수단백질 첨가수준이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ntitumor Components from Naematoloma fasciculare

  • Ding, Yan;Bao, Hai Ying;Bau, Tolgor;Li, Yu;Kim, You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0호
    • /
    • pp.1135-1138
    • /
    • 2009
  • The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MeOH extract from Naematoloma fasciculare afforded a petroleum ether fraction (NFPF) and four known compounds, which showed good antitumor activities to inhibit MCF-7 cell line proliferation in vitro and tumor growth in $H_{22}$ implanted mice in vivo. In addition, a number of unsaturated aliphatic acids were identified in NFPF by GC analysis. These results showed that NFPF inhibits tumor growth through the activity of unsaturated aliphatic acids together with two active compounds, ergosterol peroxide (1: 62.17 mg/g in NFPF) and ergosterol (2: 3.13 mg/g in NFPF), and indicate the potential utility of NFPF as an antitumor drug.

우유의 생리활성 물질 (Bioactive Components in Milk)

  • 김근배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43-52
    • /
    • 2010
  • In addition to the nutritional values, milk has a wide range of bioactive compounds which have been found to be increasingly important for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functions on human metabolism and health. Bioactive components in milk comprise specific proteins, peptides, lipids and carbohydrates. Especially, milk proteins are known to exert a wide range of nutritional, functional, and biological activities. And milk proteins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bioactive peptides, including antihypertensive, antithrombotic, antimicrobial, antioxidative, immunomodulatory, and opioid peptides. Many ingredients containing specific bioactive peptides derived from milk protein hydrolysates have been launched on the market and are currently under development. In future studies more emphasis should be given to the health-promoting effect in the well-defined human clinical studies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function foods based on the milk-derived bioactive components.

  • PDF

유지식품의 조리 중 기능성분의 변화 (Changes of Functional Components Present in Lipid Foods during Cooking)

  • 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42-758
    • /
    • 2005
  • Lipid-based functional components present in foods undergo chemical changes during cooking. Useful n-3 and n-6 fatty acids, phytosterol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are degraded by thermal cooking such as frying, resulting in loss of their physiological functions. However,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diacylglycerols can be formed during heating, which would be beneficial to the health. Degree of degradation and formation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depends on the cooking method, cooking temperature and time, lipid matrix containing the components, and the presence of other materials. Although it is clear that the content of each functional component varies during long-heating in a model system consisting of small numbers of components, the real foods cooked in a small scale for a limited cooking time do not show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components contents from raw food materials.

Prepar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Derivatives with Glucose

  • Jang, Wook-Jin;Kim, Young-Suk;Jung, Kwan-Ju;Jo, Mi-Jeong;Kim, Min-Suck;Kim, Jeong-Ok;Kim, Hong-Chul;Lee, Eun-Ju;Ha, Yeong-Lae
    • 한국생명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명과학회 2005년도 국제학술심포지움 The 44th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Life Science
    • /
    • pp.219-219
    • /
    • 2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