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genital chylothorax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3초

Chylothorax after Surgery for Congenital Cardiac Disease: A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tocol

  • Shin, Yu Rim;Lee, Ha;Park, Young-Hwan;Park, Han 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2호
    • /
    • pp.41-48
    • /
    • 2020
  • Background: Chylothorax after congenital heart surgery is not an uncommon complication, and it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orbidity. However, consensus treatment guidelines are lacking. To improve the treatment outcomes of patients with postoperative chylothorax, we implemented a standardized management protocol at Severance Hospital in September 2014.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patients treated at a single center was done. All corrective and palliative operations for congenital heart disease performed at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2008 and April 2018 were reviewed. The incidence and treatment outcomes of postoperative chylothorax were analyzed. Results: The incidence of chylothorax was 1.9%. Sixty-one percent of the patients could be managed with a low-fat diet, while 28% of the patients required complete restriction of enteral feeding. Thoracic duct embolization was performed in 2 patients and chest tube drainage decreased immediately after the procedure. No patient required thoracic duct ligation or pleurodesis. After implementation of the institutional management protocol, the number of chest tube drainage days decreased (median, 24 vs. 14 days; p=0.45). Conclusion: Implementing a strategy to reduce postoperative chylothorax resulted in an acceptable incidence of postoperative chylothorax. Instituting a clinical practice protocol helped to curtail the treatment duration and to decrease the requirement for surgical treatment. Image-guided embolization of the thoracic duct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postoperative chylothorax.

흉관결찰로 치유한 선천성 유미흉치험 1례 보고 (Congenital Chylothorax Treated by Ligation of the Thoracic Duct [Report of A Case])

  • 방종경;한승세;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1호
    • /
    • pp.191-195
    • /
    • 1988
  • Chylothorax in the neonatal period is a rare cause of respiratory distress. Surgical ligation of the thoracic duct is rarely necessary in congenital chylothorax. A 3 day-old newborn delivered by the cesarean section showed signs of respiratory distress suddenly and diagnosed as chylothorax on the right hemithorax. Conservative management such as multiple thoracenteses and tube thoracostomy drainage with nutritional support failed to close the leakage. At age of 60 days, we performed a supradiaphragmatic mass ligature of the thoracic duct visualized after injection of methylene blue into the thigh subcutaneously. Postoperatively, chylous effusion occurred in the left hemithorax and successfully treated with chest tube drainage for several days.

  • PDF

선천성 유미흉의 임상적 고찰과 옥트레오타이드 치료 (A clinical study of congenital chylothorax and octreotide therapy)

  • 오웅건;최경은;김경아;고선영;이연경;신손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1호
    • /
    • pp.1172-1178
    • /
    • 2008
  • 목 적: 선천성 유미흉은 림프관의 발달이상이나 분만시 외상으로 림프관에 손상이 가해져 유미가 흉관에 새어 나와 흉강 내에 고이는 것으로 설명되지 않는 태아수종의 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전 진단된 태아수종 중 원인질환이 유미흉으로 밝혀진 6예에 대해서 주산기내력, 임상양상, 진단, 치료 및 결과에 관하여 살펴보고, 장간막 혈류를 줄이는 효과를 갖고 있는 somatostatin 유사체인 octreotide의 사용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3년 6개월간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에서 출생한 27,907명의 신생아 중 태아수종을 동반한 선천성 유미흉으로 진단된 6명의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모유 또는 조제분유 수유전과 후의 흉강천자액을 분석하여 유미흉으로 확진하였고 금식, MCT milk, 인공환기기, 흉관삽입 등의 보존적 치료로 완치되었던 3예와 유미흉이 지속되어 octreotide를 사용했던 3예의 분만 형태, 진단시 검사 소견, 치료 방법, 합병증 및 임상경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선천성 유미흉은 0.021%의 발생률을 보였으며, 6예 모두 산전검사에서 양수 과다, 흉막 삼출 및 복수가 관찰되어 태아수종으로 진단되었다. 재태 연령은 33주에서 36주 4일이었고 평균체중은 $3,057{\pm}557g$ (2,200-3,805 g), 아프가 점수 1분 $3.0{\pm}1.1$점(1-4점), 5분 $5.7{\pm}2.0$점(5-7점)으로 모두 제왕절개로 분만하였으며, 흉막삼출은 양측성이 6예, 여아에서 4예가 관찰되었다. 흉강천자액의 분석에서 6예 모두 림프구는 92% 이상이었고, TG는 출생직후 삼출액에서 경관수유 후 유미액으로 바뀌면서 200 mg/dL 이상으로 상승되었다. 인공호흡기, 보존적 치료와 흉관삽입으로 치료하여 이중 3예(50%)가 $26.3{\pm}6.4$일(19-30일) 동안 치료받고 퇴원하였고, 나머지 3예(50%)는 유미흉이 지속되어 octreotide로 치료하였으며 평균 입원기간은 $57.7{\pm}16.2$일(39-68일)이었다. Octreotide는 평균 $18{\pm}9$일 동안 1-10 mcg/kg/hr 주입속도로 정맥내 주사하였으며, 3명 모두 완치 후 퇴원하였다. 외과적 치료가 필요하였던 환아는 없었으며, 치료 중 기흉 1명, 저알부민혈증 2명이 관찰되었고, octreotide 사용시에 1예에서 경한 구토증상만 보였지만 다른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결과와 같이 octreotide는 보존적 치료에 잘 치료되지 않는 선천성 유미흉에 대해서 좋은 치료약제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octreotide 치료의 주입방법, 용량, 치료시작 및 사용기간 등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며, 또한 octreotide의 좀 더 빠른 치료시작시기가 치료결과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hemical Pleurodesis Using a Viscum album Extract in an Infant with Postoperative Chylothorax: A Case Report

  • Yun, Taeyoung;Kwon, Hye Won;Park, Samina;Kim, Woong-H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1호
    • /
    • pp.91-94
    • /
    • 2022
  • Chylothorax after thoracic surgery is a rare complication, and treatment for refractory chylothorax is challenging. We report a case of chylothorax after cardiothoracic surgery in an infant after failure of conservative management and thoracic duct ligation. The patient underwent chemical pleurodesis with a Viscum album extract. The treatment was successful and chylothorax did not recur.

유미흉 및 유미심낭의 치료 (Management of Chylothorax and Chylopericardium)

  • 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5호
    • /
    • pp.731-738
    • /
    • 1989
  • The development of chylothorax and chylopericardium are serious and often life-threatening clinical entity. The ideal treatment of these problems is not well established to date. We reviewed our experiences with chylothorax or chylopericardium in 16 patients [17 cases] from July 1979 to May 1989. Ages ranged from 20 days to 41 years. The etiologies were traumatic in 10, congenital or idiopathic in 5, and tuberculous lymphadenopathy in one. In 8 patients, the chylothorax or chylopericardium occurred as a complication of cardiothoracic surgery. Eleven patients were treated nonoperatively with either repeated thoracenteses or chest tube drainage. Five patients underwent operative treatment: transthoracic thoracic duct ligation [three patients], thoracic duct ligation combined with decortication [one], and oversewn the defect of mediastinal pleura[one]. Duration of preoperative therapy ranged from 18 to 38 days. One of eleven [9.1 %] patients treated nonoperatively died. Of the surgically treated group, there were no deaths. All patients except one dead cured or improved either treated nonoperatively or operatively. Our experience suggests that surgical management of the chylothorax or chylopericardium is not always required, and each patient must be judged individually according to disease process.

  • PDF

보존요법과 함께 octreotide 주입을 이용한 수술후 유미흉 치험 2례 (Two cases of postoperative chylothorax treated with parenteral octreotide and conservative therapy)

  • 최은진;이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3호
    • /
    • pp.298-301
    • /
    • 2007
  • 선천성 심장병의 수술후 발생되는 유미흉은 드문 합병증이다. 이는 수분, 전해질 및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감염에 취약함을 보이기도 한다. 지금까지의 보존요법에 대해 비교적 치료성적이 좋으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중재가 불가피하다. 저자들은 보존요법과 octreotide 주입을 병행하여 수술적 중재를 피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한 수술후 발생된 유미흉 2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미만성 폐림프관종증과 동반된 양측성유미흉 -수술치험 1례 보고- (Bilateral chylothorax with diffuse pulmonary Iymphangiomatosis)

  • 김경렬;최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360-364
    • /
    • 1996
  • 유미흉이란 유미액이 유출되는 현상이다. 그리고 드물게 미만성 폐림프관종증도유미흥을유발하나 이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교실에서는 유미흥을 동반한미만성 폐림프관종증을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바이다. 환자는 3세된 여자로 기 침과 발열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단순 흉부 될영상 양측성 흥막 유출 소견과 간질성 침윤 소견을 보였다. 검사실 소견상흥막 유출은유미액으로밝혀 졌으며,폐쇄식 흥강내 삽관술로조절되지않아흥관결찰술을시행하였다. 병리 조직 검사상흥막과 소엽간중격에서 림프관을따라내퍼세포들이 연결되어 있었으며 림프관이 증식된간질부위에평활근조직을관찰할수있었다. 술후, 수차례의 화학적 홍막 유착술을 시행하여 유미흥을 치료하였으며 환자는 퇴원후 10개월동안 특별한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다.

  • PDF

산전 진찰에서 발견된 흉막액을 동반한 폐격리증 1례 (A Case of Pulmonary Sequestration with Pleural Effusion)

  • 구혜진;박지애;박수은;김영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221-223
    • /
    • 2005
  • 선천성 흉막액을 동반한 외엽형 폐격리증은 매우 드문 선천성 폐기형으로 아직까지 국내에서의 보고는 없다. 저자들은 재태 기간 27주에 시행한 산전 초음파상 좌측 흉막액이 발견되었고, 출생 후 시행한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및 전산화 단층 혈관 촬영술상 선천성 흉막액을 동반한 외엽형 폐격리증으로 진단하였으며, 생후 80일경 수술 후 특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여 현재 외래 추적 관찰 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Bronchopulmonary Sequestration: 1례 보고 (Bronchopulmonary Sequestration: Report of One Case)

  • 이홍균;홍기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6권2호
    • /
    • pp.159-164
    • /
    • 1973
  • Bronchopulmonary sequestration is a congenital malformation characterized by a cystic portion of the lung that derives its arterial blood supply through anomalous aberrant vessel directly of the systemic circulation. An aberrant systemic vessel supplying the lung was reported by Huber in 1777. Although this lesion is uncommon disorder, there are several reports on operative death caused by exanguinating hemorrhage from the aberrant arteries to the bronchopulmonary sequestration to that it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Two type of bronchopulmonary sequestration have been identified: In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is usually contained within the visceral pleura of a pulmonary lobe and its venous drainage to the pulmonary venous system. Extrapulmonary sequestration is usually within the pleural sheath its own and its vasculature drains into the azygos or hemiazygos system. we presented one case of in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which led to motor paralysis, chylothorax and hemorrhage that are consequent on postoperative complication.

  • PDF

선천성 낭성 폐질환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Congenital Cystic Lung Disease)

  • 위진홍;이양행;한일용;윤영철;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35-342
    • /
    • 2008
  • 배경: 선천성 낭성 페질환은 드문 질환군으로 발생학적 특징 및 임상적 특징이 유사하나 때로는 그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에 종종 감별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대부분의 경우 외과적인 처치를 요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흉부외과 교실에서 선천성 낭성 폐질환로 수술 받은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병상 기록을 통하여 임상양상, 수술 방법, 병리학적 소견, 술 후 이환율 및 사망률 등을 후향적 조사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2:2:16였고, 생후 1개월부터 51세까지로 평균 20.8세였다. 주 증상은 감염에 의한 발열, 기침, 객담이 19예, 호흡곤란이 7예, 가슴불편감이 8예, 객혈이 4예 등이었고, 증상이 없었던 경우가 8예였다. 전례에서 진단을 위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수술을 계획하였으며, 외과적 절제를 시행하였다. 28예의 환자에서 폐엽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8예에서 단순 병변절제술을, 2예에서 폐구역 혹은 페쐐기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폐격리증은 10예, 선천성 낭종 유선종 기형이 15예, 기관지성 낭종이 11예였으며, 선천성 엽기종이 2예였다. 전례에서 병리학적 검사로 확진하였다. 합병증으로는 상처부위 감염 6예, 유미흉 2예, 척골신경병증 1예가 발생하였으나, 모두 특별한 문제없이 치유되었다. 결론: 본 저자는 선천성 낭성 폐질환을 진단 즉시에 수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