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ditions of teacher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5초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육목표에 대한 필요평가 (Needs Assessment of the Purposes of Korea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채정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9-98
    • /
    • 199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determine the rank of purposes of Korea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related to three systems of action: technical, communicative, and emancipatory action by home economics(HE) teachers and HE teacher educators, (2)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HE teachers and HE teacher educators concer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the purposes of current Korean secondary school HE education.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225 HE teachers and 35 HE teacher educators. The survey method was used in this descriptive study. To determine the rank,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o promote a good life and the full development of human beings, to develop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to make morally defensible judgments, and to develop self-esteem were needed purposes for Korean secondary school HE education. Overall, the most high ranked purpose needs for both groups related to emancipatory actio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degree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family and social conditions, acquiring the skills needed as a wage earner and a homemaker, developing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and demonstrating proficiency of homemaking work. Th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degree of the achievement of making morally defensible judgments, understand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aking care of each other.

  • PDF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교육의 일반적 성격에 관한 인식과 관련변인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o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1ts Related Variables)

  • 이종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1-45
    • /
    • 1997
  • The theoretical rationale and basic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cognition on home economics teacher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For this study, review of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performed. As the results, the following may be suggested. 1. There teachers more experienced and non-majored the home economics or those who finished professional course should be reeducated adequately for new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and new curriculum. 2. The development of qualification for home economics teacher and the educational system and program for training preliminary should be try to find a solution to improve the new and positive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3.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pay and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to satisfy home economics teacher with new view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with their duties. 4. The systematic and concrete teaching programs for contents of improving new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and for promoting positive self-recognition as home economics teacher, and for training the abilities of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and guiding practical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 PDF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성화 방안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STEAM and Activation Measures for STEAM)

  • 김민아;김승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5-91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STEAM and suggest activation measures for STEAM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Method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pilot study, and then did survey research for 5 week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523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STEAM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age, experience, and academic background. The higher their age, experience, and academic background were, the more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further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In particular,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activation measures we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workplace. These results come from the fact that the conditions in conducting STEAM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workplace. Conclusion/Implications: In order to activate STEAM, a teacher training program including practical contents and methods should be conducted. Also,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organize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ir workpla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suggesting activation measures for STEAM by showing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about STEAM and what they demand.

유아교사의 역할놀이 유능성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A Pre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Pretend Play Competence)

  • 한찬희;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9-124
    • /
    • 2015
  • This study developed a teacher training program aimed at promoting preschool teachers' competence in relation to pretend play and examined its effects on the teachers' knowledge, efficacy and interaction in pretend play. Regarding the learner's job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a small group session of 90 minutes per week was conducted for 8 w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on the teachers' knowledge and the efficacy by means of questionnaires and the teachers' interaction by observa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The fourteen child care cent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both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in which 38 teachers were included. In conclusion, the pretend play competence training program for preschool teacher was obser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knowledge, efficacy and interactions in pretend play.

초등 교사의 방과후 돌봄 교사와의 의사소통과 협력에 대한 의미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 of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After-school Teachers)

  • 우진경;서영숙
    • 아동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5-110
    • /
    • 2015
  • In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vels of cooperation was conducted. This was done from the assumption that it is essential for goo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o exist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fter-school care teachers to provide the most reliable after-school care environment possible. Individual interviews with 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for clos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was clearly established, due to the obvious advantages obtained from cooperation on supporting children and improving the teacher's levels of expertise. However, contrary to thi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fact did not have very good communication between themselves and the after-school care teachers. Second, the problems in cooperation revealed a degree of disapproval regarding the perceived independence of after-school care teacher's duties, a sense of burden arising from interaction with a large number of teachers, the lack of communication time due to the workload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lack of material resources. Third, teachers further stated that although they were generally interested in after-school care classes, and showed approval of the role of after-school care teachers, regular meetings, and an expansion of the current messenger systems of communication with after-school teachers are clearly needed.

교원을 위한 단계별 AI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Steps AI Digital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 신수범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97-603
    • /
    • 2023
  • 본 연구는 교원의 AI디지털역량을 평가하고 연수에 활용할 수 있는 교원의 AI디지털 역량에 대한 단계별 프레임워크 개발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AI디지털역량에 대해 활용과 소양의 관점을 테크놀로지컬교수내용지식(TPACK)의 관점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단계별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선행연구 사례로 영국교육훈련재단의 3단계 역량, 유네스코 ICT 교사 역량 프레임워크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국내의 여건을 고려하여 교원의 AI디지털 역량을 진입, 적응, 선도의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최초 진입단계는 2차에 델파이 조사를 통과하였으며 그 외 2개 단계는 1차에서 통과하였다. 최종 진입단계는 AI디지털에 대해 이해는 하였지만, 실천에 어려움을 겪는 단계, 적응단계는 표준교육과정에 적용하는 수준, 선도단계는 심화과정에 AI디지털 적용과 타 교사에게 모델이 되는 수준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총괄 AI디지털 역량을 통하여 세부적인 역량 개발이 가능하며 평가문항개발의 참고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개정 학교도서관진흥법 시행 이후 사서교사 배치 및 양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Teacher Librarians' Placement after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School Libraries Promotion Act)

  • 강봉숙;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39-259
    • /
    • 2019
  • 본 연구 목적은 학교도서관진흥법시행령 개정 이후 사서교사 배치 양상을 고찰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사서교사 배치에 대한 법규, 정책, 현황을 분석했다. 교육부는 제3차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에서 2030년까지 학교도서관 수 대비 사서교사 배치율을 50% 수준으로 확보한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에 신규 사서교사 수요를 추산한 결과, 매년 323명의 신규 사서교사 수요를 예측할 수 있었다. 경기도 등은 정원외 기간제 사서교사 800여 명을 전면 배치하여 학교도서관 전담인력 배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질문지를 통해 2019년 기간제 사서교사 채용자를 대상으로 소지 교사 자격을 조사한 결과, 사서교사 자격증 소지자는 설문 참여 인원 122명 중 69명으로 56.6%에 그쳤다. 한편, 사서교사 양성 현황 분석 결과, 2019년 한 해 사서교사 자격증을 신규로 취득한 인원은 146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 자격증 소지자에 대한 현장 수요는 폭증하는 데 비해, 사서교사 양성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사서교사 양성 중 장기 계획 수립, 교육대학원 증설 등 사서교사 배치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Utilizing Mean Teacher Semi-Supervised Learning for Robust Pothole Image Classification

  • Inki Kim;Beomjun Kim;Jeonghwan Gwa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7-28
    • /
    • 2023
  • 포장도로에서 발생하는 포트홀은 고속 주행 차량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망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도로상의 장애물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작업자가 직접 포트홀을 탐지하는 방식을 사용해왔으나, 이는 작업자의 안전 문제와 예측하기 어려운 범주에서 발생하는 모든 포트홀을 인력으로 탐지하는 것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또한, 도로 환경과 관련된 지반 환경이 포트홀 생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완벽한 포트홀 방지는 어렵다. 데이터셋 구축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지도하에 라벨링 작업이 필요하지만, 이는 매우 시간과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ean Teacher 기법을 사용하여 라벨링된 데이터의 샘플 수가 적더라도 지도학습보다 더욱 강인한 포트홀 이미지 분류 성능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성능지표와 GradCAM을 통해 입증되었으며, 준지도학습을 사용할 때 15개의 사전 학습된 CNN 모델이 평균 90.41%의 정확도를 달성하며, 지도학습과 비교하여 2%에서 9%의 차이로 강인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팬터지를 이용한 독서지도에 관한 연구: 학생들의 창의력 제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ading Guidance for Creativity Enhancement by Using Fantasy Literature)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7-143
    • /
    • 2002
  • 필자는 팬터지 문학작품을 이용하는 것이 학생들의 창의력 함양에 도움이 되는 이유를 밝히고 있다. 창의성이란 정보를 통합하는 두뇌활동 중에 생산되는 것인데 팬터지 작품은 등장인물이나 배경을 통하여 이질적인 현실세계와 비현실의 있을 수 없는 정보들을 하나의 이야기로 엮음으로써 이질적인 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시킨다. 팬터지를 읽는 독자의 두뇌는 매우 이질적 정보들이 시스템(이야기)화 하는 즉 정보 통합의 예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독서지도에서 팬터지 작품을 많이 이용하면 학생들의 두뇌활동 중에 정보를 통합하는 기회가 많아 질 것이고 학생들은 자연히 창의성 함양의 기회를 많이 가질 수 있다.

청각 환경이 교사의 음성 파라미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uditory Condition on Voice Parameter of Teacher)

  • 이주영;백광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07-212
    • /
    • 2006
  • 본 연구는 교사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음성과 청각 조건 ( 소음, 음악 )에서의 음성 파라미터들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교사는 일반인의 음성 보다 높은 주파수 변동률(%)과 진폭 변동률(%)을 보여 정상 음성에 비해 높이와 강도에 변화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청각 조건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의 음성 파라미터는 청각 조건이 주어지지 않은 일반 음성에 비해 소음 환경에서 높은 기본 주파수 (Hz)를 나타내었고 소음과 음악 환경간에는 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일반인의 음성 파라미터 청각 조건이 주어지지 않은 일반 음성에 비해 소음 환경에서 높은 기본 주파수를 나타내었으며 음악과 소음 환경간에도 기본 주파수의 차이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