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rete pavement

검색결과 918건 처리시간 0.028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하중전달 성능 실험 (Joint Stiffness Tests for Precast Concrete Pavement)

  • 양성철;김성민;유태석;한승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29-239
    • /
    • 2008
  • 콘크리트 슬래브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도로포장의 신설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공법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하중전달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내실험을 통해 다웰바 연결 부분의 그라우팅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이러한 실험을 위해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을 수행한 결과 그리우팅을 한 다웰바의 전단강도는 콘크리트와 일체식으로 된 다웰바의 전단강도에 비해 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울러 현장에서의 시험시공을 통해 설치된 보수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에 대해서도 FWD 시험을 실시하여 하중전달 성능을 평가하였다. 현장 실험 결과 기존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슬래브 중앙부에서의 처짐은 다소 크게 나타나나, 줄눈부에서의 하중전달율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생물토양시트를 충진한 도로포장용 다공성 콘크리트의 제조 및 수질정화특성 (Preparation a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of Permeable Concrete Pavement Filled with Microbial-Soil Sheet)

  • 강영현;황필기;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27-733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like compressive strength, permeability, porosity and the water quality removal characteristics of permeable concrete pavement filled with microbial-soil sheet to remove SS,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in artificial rainfall. As a result, it can show the removal efficiency is SS 90~95%, COD 85~93%, BOD 80~83%, T-N 61~75%, T-P 71~78% on WAPS I(W1) and WAPS II(W2). Therefore, permeable concrete pavement filled with microbial-soil sheet shows higher removal efficiency(SS 10%,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30%) than a conventional porous concrete(W3). By filling microbial-soil sheet to permeable concrete pavement, we confirm that the function and efficiency are improved significantly and that a naturally-friendly facility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reat non-point sources.

플라이애쉬를 혼입한 콘크리트포장의 배합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ix Properties of Concrete Pavement Incorporating Fly-Ash)

  • 이주형;최성용;윤경구;정영화
    • 산업기술연구
    • /
    • 제17권
    • /
    • pp.313-322
    • /
    • 1997
  • As the weight of trucks increases, the need for concrete pavement also increases. Therefore, the addition of fly-ash may improve the properties of pavement concrete as well as recycle fly-ash. A full factorial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the primary variables, such as water-cement ratio, fly-ash substitution ratio, and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as a preliminary study for optimum mixture design for pavement concrete. The results of preliminary study indicates that the addition of fly-as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concrete strength, followed by the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and water-cement ratio. It, also, shows the relative importance of fly-ash substitution ratio, compared to the water-cement ratio,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primary variables. Optimum mixture designs for pavement concrete incorporating fly-ash, that satisfied the target responses, were proposed in terms of fly-ash substitution ratio, water cement ratio and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 PDF

신속개방형 콘크리트 도로포장재의 설계를 위한 실험실적 평가 연구 (A Study on Design of High Early Strength Cement and Concrete for Road Way Pavements)

  • 임채용;엄태선;신국재;이종열;엄주용;조윤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5-300
    • /
    • 2001
  • In road pavements, it is known that cement concrete pavement has superior durability, safety in compared with asphalt concrete pavement. But in reparing pavement cement concrete pavement is not usually applied because of the length of time while the road is interrupted when using Ordinary and Rapid-hardening Portland Cement. And Super High Early Strength Cement and Ultra Super High Early Strength Cement are not favorable for ready mixied concrete because of rapid setting time, high slump loss and other restrictions. We aim to develope specific cement and concrete developing 1 day strength of over 300 kg/$cm^{2}$ to open the road within one day and workable time is maintained over 1 hour that can be used as ready mixed concrete. In this study, we Produced cement using rapid-hardening cement, Hauyne clinker, anhydride gypsum and accelerator and studied on its properties. The concrete strength was over 300 kg/$cm^{2}$ at 1 day and 550 kg/$cm^{2}$ at 28 day and workable time was maintained for over 1 hour.

  • PDF

셀룰로오스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사용한 기계화경작로 확·포장공사의 현장사례 연구 (Field Case Study of Mechanized Form Roads Pavement Construction using Cellulose Fiber Reinforced Concrete)

  • 박종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7권2호
    • /
    • pp.47-56
    • /
    • 2015
  • At the present, the mechanized form roads pavement was constructed with plain concrete. Mostly, it was used by welded wire mesh for preventing crack. Cellulose fibers for the reinforcement of concrete offer relatively high levels of elastic modulus, fiber count (per unit weight), specific surface, and bond strength to cement-based materials.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pavement confirmed that cellulose fiber reinforced concrete was applicable to mechanized form roads pavement. In the study, cellulose fibers were used here at 0.08 % volume fraction, which is equivalent to a fiber content of $1.2kg/m^3$. Cellulose fiber reinforced concrete were compared with plain concrete. Field test results indicated that cellulose fiber reinforced concrete showed slightly to increase of 28 days compressive strength and improved the initial strength. it tended to increase of splitting tensile strength.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lump and air content tend to decreased. but, the variation of air contends is very little. Also, construction cost of cellulose fiber reinforced concrete is less than about 25.7 % the case of welded wire mesh previously used. Therefore, The cost reduction is expected to be possible in construction site by mechanized form roads pavement.

미국 LTPP Data를 활용한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Life of Bonded Concrete Overlay Pavement using the LTPP Data of U.S.A)

  • 이승우;손현장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D호
    • /
    • pp.555-564
    • /
    • 2011
  • 국내 고속도로의 60% 이상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으로 건설되었으며, 그 중 공용년수가 20년이 넘어선 구간이 절반이상에 달하고 있다. 노후화 된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 보강은 국내의 교통여건상 우회도로가 준비되기 어렵기 때문에 조기교통개방이 요구되며 현재까지는 주로 아스팔트 덧씌우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은 보수 후 수년만에 발생하는 조기 파손이 빈번하여 많은 유지보수비용이 지출될 뿐 아니라 도로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최근 들어 노후화 된 콘크리트 포장의 효율적인 보강공법으로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 공법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인자가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지 고찰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는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의 공용 중 파손상태에 대한 자료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 수명과 영향인자간의 상관성을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파손자료를 구축하고 있는 미국의 LTPP data를 이용하여 각 구간의 포장단면, 교통량 및 환경특성을 고려하여 포장의 연도별 파손에 대한 database를 구축하였다. 또한 각 구간의 포장수명을 산정 후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 구간의 수명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Soilcrete의 포장재로서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Soilcrete as Pavement Materials)

  • 천병식;김진춘;최현석;하상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33-538
    • /
    • 1999
  • Nowadays, as the traffic volume is higher, the more pavement are expanded and constructed. In korea, the most of the pavement system were covered with an asphaltic concrete or portland cement concrete, so it need the new system of pavement to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soilcrete using FGC soil stabilizer and then to evaluate the benefits to be gained by soilcrete pavement, when a pavement system of existing are replaced by soilcrete. for example, environmental advantages, cost savings, ultimately.

  • PDF

알칼리-골재반응에 의한 콘크리트 포장 팽창과 그에 따른 교량손상 감소방안 (Concrete Pavement Expansion due to Alkali-Aggregate Reaction and Damage Prevention of Bridges)

  • 우정원;임성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67-73
    • /
    • 2017
  • 고속도로에서 콘크리트 포장의 알칼리-골재반응 발생 구간이 증가하고 있다. 알칼리-골재반응이 발생한 콘크리트 포장은 팽창하면서 인접 교량에 교대 변위를 발생시켜 다수의 손상을 발생시키고 있다. 현장 조사 결과 콘크리트 포장의 팽창량은 온도 신축에 의한 팽창률을 상회하면서 교량에 치명적인 하중으로 작용하고 있어 손상 방지를 위한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알칼리-골재 반응에 의한 팽창 정도는알칼리-골재반응의 상태, 포장의 길이 및 도로구조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교량의 손상 방지를 위해선 콘크리트 포장의 팽창력을 이완시켜 주는 방안이 효과적이며 콘크리트 포장의 길이가 긴 구간은 아스팔트 치환공법이 유리할 것이다.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굳지 않은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roperties of Steel Fiber Reinforced Fresh Concrete Using Waste concrete)

  • 구봉근;김창운;박재성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학회창립 10주년 기념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5-248
    • /
    • 1999
  • In our standard specification, the specific provision of steel fiber pavement concrete didn't describe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sents criteria of recycled aggregate steel fiber pavement concrete including standard crushed stone steel fiber pavement concrete. This study examined a lot of factors which influence consistency of SFRC(Steel Fibre Reinforced Concrete) including crush stone and recycled aggregate. According to this examination, this study decided optimum S/α and W which are essential to pavement concrete mix proportion. Come to the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effect economically in recycling of resources and bring to affirmative result in aspect of environment.

  • PDF

폴리머 콘크리트 박막 교면포장 적용을 위한 실제 교량 정적 해석 (Static Analysis of Actual Bridges for Application of Thin Polymer Concrete Deck Pavements)

  • 정영도;김준형;이석홍;정진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421-43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폴리머 콘크리트 박막 교면포장의 적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SMA(Stone Mastic Asphalt) 교면포장으로 시공된 실제 교량 및 이와 동일한 조건에서 교면포장을 박막의 폴리머 콘크리트로 대체한 가상의 교량에 대해 정적 해석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교량형식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SMA 교면포장으로 시공된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교, 강박스 거더교, PSC 박스 거더교, RC(Reinforced Concrete) 라멘교를 해석하고 비교하였다. 바닥판과 교면포장은 완전히 접착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시공 중 발생한 응력과 처짐은 무시하고 교면포장의 자중과 차량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된 응력과 처짐을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가벼운 단위중량과 얇은 두께로 포장자중이 더 작았던 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한 교량의 응력과 처짐은 SMA를 사용한 교량보다 작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차량하중으로 인해 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한 교량에 발생한 응력과 처짐은 얇은 포장 두께로 인한 단면이차모멘트의 감소 때문에 SMA를 사용한 교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포장의 자중과 차량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자중 감소효과가 지배적으로 작용하여 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한 교량의 응력과 처짐이 더 작게 나타났다. 향후 교면포장의 공용성 조사와 경제성 분석을 통한 비교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