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cept learning

검색결과 1,723건 처리시간 0.028초

Artificial Neural Network: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s without Mathematics

  • Han, Su-Hyun;Kim, Ko Woon;Kim, SangYun;Youn, Young Chul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3-89
    • /
    • 2018
  • Machine learning is where a machine (i.e., computer) determines for itself how input data is processed and predicts outcomes when provided with new data.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based on the concept of a human neuron.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explain the fundamental concept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R-러닝 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Learning Environments)

  • 이연승;임수진;변선주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79-8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pt of r-learning based on existing studies of r-learning. It also aimed to analyze r-learning environments in an effort to determine prerequisites for the successful entrenchment of r-learning in material(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human(young children and teacher) and institutional(law and policy) aspects.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r-learning. In conclusion, the position of r-learning and its interrelationship with related systems in the eco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accurately be grasped to accelerate the integration of r-learning into kindergarten education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convergence of the two. Intensive efforts should be made from diverse angles to expedite the spread and enrichment of r-learning.

중등학교 지역학습의 구성원리와 내용 선정 (The Construction Principle and the Content Selection of the Regional Learning in the Secondary School)

  • 이희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52-766
    • /
    • 2008
  • 지리학습의 기본단위인 지역에 대한 학습이 교육현장에서 충실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은 실제 수업에 적용 가능하면서도 지리적 기본개념까지 발전할 수 있도록 개발된 지역학습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학습을 위한 자료개발의 선행단계로서 지역학습의 구성원리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지역학습의 내용을 선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즉 인간-환경, 입지, 지역, 상호작용, 변화, 스케일에 의거하여 지역학습의 구성원리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지역학습의 내용을 선정하기 위하여 지리학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지역이해의 필요성과 방법, 자연환경과 주민생활, 자원과 산업활동. 생활공간의 형성과 변화, 변화하는 세계와 지역 등 5개 대주제를 선정한 후, 대주제별로 학습자의 필요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지리학의 연구성과와 학습자의 일상생활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주제와 소주제를 세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들 주제들은 지역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최상의 지역학습이 되도록 교수자 또는 학습자가 주제 계층의 한 부분 또는 일부분들을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 PDF

포화 용액 개념 학습에서 비유 표현 방식과 언어적 학습 양식에 따른 비유 사용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Instructions Using Analogies in Learning the Concept of Saturated Solution by Analogy Presentation Types and Verbal Learning Styles)

  • 강훈식;서지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02-41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포화 용액 개념 학습에서 비유 표현방식과 언어적 학습 양식에 따른 비유 사용 수업의 효과를 대응 관계 이해도, 대응 오류, 수업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조사했다. 1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3명을 선정하여 VA 집단(n=63)과 VPA 집단(n=60)으로 배치했다. 사전 검사로 언어적 학습 양식 검사를 실시했다. VA 집단의 학생들은 글로만 표현된 비유로 목표 개념을 학습했고, VPA 집단의 학생들은 글과 그림으로 표현된 비유로 목표 개념을 학습했다. 목표 개념 학습 후, 대응 관계 이해도 검사를 실시했다. VPA 집단 학생들에게는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도 실시했으며,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언어적 학습 선호 학생들의 경우 VPA 집단의 점수가 VA 집단의 점수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반면, 언어적 학습 비선호 학생들의 경우에는 두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대응 불이행, 부적절한 대응, 무분별한 대응, 불가능한 대응, 표면적 속성 대응의 다섯 가지 대응 오류 유형이 나타났다. 언어적 학습양식에 따라 두 집단의 대응 오류 유형별 발생 빈도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언어적 학습 양식에 관계없이 VPA 집단의 많은 학생들이 글과 그림으로 표현된 비유를 통해 학습하는 것에 대해 다양한 인지적 동기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했으나, 일부 학생들은 몇 가지 어려움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했다.

관찰학습에서의 반두라 대리강화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함의 (The Implication of Bandura's Vicarious Reinforcement in Observational Learning for Christian Education)

  • 이종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81-107
    • /
    • 2020
  • 이 논문은 관찰학습에서 나타나고 있는 반두라의 대리강화에 대한 이론과 효과들을 살펴보고, 그 개념을 기독교교육에서 행해지고 있는 영적 롤 모델링 전략에 적용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반두라가 소개하고 있는 대리강화란 무엇이며, 관찰학습에서 대리강화가 어떻게 발생하는가 그리고 대리강화가 관찰자의 행동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별히 반두라는 관찰학습과 모방 혹은 반모방 행동 안에서 일어나는 학습과정에 대하여 개념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반두라는 관찰학습에서 일어나는 대리강화의 과정을 4단계(집중, 기억, 행동재생, 그리고 동기화)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그뿐만이 아니라. 대리강화의 효과에 대해 3가지(관찰학습효과, 억제-탈억제효과, 유발효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반두라의 대리강화 이론과 그 효과를 바탕으로 하여 기독교교육에서 논의되고 있는 예수님 닮아가기 혹은 제자훈련 안에서의 영적 롤 모델링 전략을 재평가했다. 특별히 성경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방에 대한 개념을 반두라의 대리강화 이론과 비교하면서 재해석하였고, 사도 바울이 제시하고 있는 영적 롤 모델의 역할을 대리강화의 효과라는 차원에서 재점검했다. 그 결과 2가지 차원에서의 영적 롤 모델 전략을 발견하였다. 즉 바울의 영적 롤 모델 역할은 긍정적인 차원에서 대리강화로써 신자로 하여금 기대되는 행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하나의 본보기가 된다. 반면에 바울의 명령은 신자들에게 명확한 탈억제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부정적인 차원에서의 대리강화로 사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관찰학습에 대한 연구들과 성경적 영적 롤 모델링 전략을 서로 연관시킴으로써 반두라의 대리강화가 기독교교육에 미칠 가능성을 함의하였다.

Enhancing Quality Teaching in Operations Management: An Action Learning Approach

  • YAM Richard C.M.;PUN Kit Fai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6권1호
    • /
    • pp.43-57
    • /
    • 2005
  • Action learning motivates students to solve open-ended problems by 'developing skills through doing'.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action learning and discusses the adoption of action learning approach to teach operations management at universities. It presents the design and delivery of an action-learning course at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The course incorporates classroom lectures, tutorials and an action-learning workshop. The experience gained proves that action learning facilitates student participation and teamwork and provides a venue of accelerating learning where enables students to handle dynamic problem situations more effectively. The paper concludes that adopting action-learning approach can help lecturers to enhance quality teaching in operations management courses, and provide an alternate means of effective paradigm other than traditional classroom teaching and/or computer-based training at universities.

개방·공유·참여의 대학 교육환경 구축 사례 (A Framework for Open, Flexible and Distributed Learning Environment for Higher Education)

  • 강명희;유지원
    • 지식경영연구
    • /
    • 제9권4호
    • /
    • pp.17-33
    • /
    • 2008
  • This study proposes University 2.0 as a model case of open, flexible, and distributed learning environment for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erspectives. As web 2.0 technologies emerge into the field of education, ways of generating and dissemina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have been drastically changed. Professors are no longer the only source of knowledge. Students using internet often become prosumers of knowledge who search and access information through the web as well as publish their own knowledge using the web. A concept and framework of University 2.0 is introduced for implementing the new interactive learning paradigm with an open, flexible and distributed learning environment for higher education. University 2.0 incorporates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with various educational media. Furthermore, it employs various learning strategies and integrates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through learning communities.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in University 2.0 environment are expected to be active knowledge generators as well as creative designers of their own learning and teaching.

  • PDF

Deep Learning in Dental Radiographic Imaging

  • Hyuntae Kim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10
    • /
    • 2024
  • Deep learning algorithms are becoming more prevalent in dental research because they are utilized in everyday activities. However, dental researchers and clinicians find it challenging to interpret deep learning studies. This review aimed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general concept of deep learning and current deep learning research in dental radiographic image analysis. In additio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deep learning research is described. Deep-learning-based algorithmic models perform well in classification, object detection, and segmentation tasks, making it possible to automatically diagnose oral lesions and anatomical structures. The deep learning model can enhance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researchers and clinicians. This review may be useful to dental researchers who are currently evaluating and assessing deep learning studies in the field of dentistry.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Instrument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econdary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 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29-259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 도구를 문헌연구와 심리측정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 수학 문제해결 신념,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 수학적 자아개념의 4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하여 중학생용은 총 37문항으로, 고등학생용은 총 4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단위 표집 검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이 학교급별, 성별, 성취수준에 따라 어떤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 고등학교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이 유용하다고 믿는 신념, 수학에서 과정보다 정답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 신념, 많은 수의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고 믿는 신념 등이 강하게 나타났고,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급하면서 수학적 자아개념 중 '감정' 요인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여학생은 중 고등학교 모두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 중 '교사의 수업활동' 요인만이 남학생보다 강하였다. 성취수준이 '기초이하' 집단 학생들이 수학은 암기해야 하는 공식과 절차라거나 창의적 활동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고정관념'이 가장 강하였다. 그 외요인에서는 '우수' 집단 학생들의 신념이 강하였다.

  • PDF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7-가] 단계의 변수 개념 지도에 관한 교수학적 논의 (A Didactical Discussion on the teaching of variable concept in the [7-first] stage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67-87
    • /
    • 2001
  • Variable concept plays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not only algebra itself but also school mathematics which is algebra-oriented. It solves as an essential means in applying mathematics to the real world because il enables us to describe varying phenomena in the real world. In this study, we examined some matters related to the learning of variable concept in school mathematics. In Particular, we discussed on the teaching of variable concept in the [7-first] stage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We analysed the textbooks in the [7-first] stage and attempted to explain concretely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variable concept which be taught in school mathematics. After reconsidering the practices on variable concept teaching, we pointed out the problems of formalistic teaching method and then proposed the direction in which variable concept teaching should g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