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6초

초·중학생의 컴퓨터 활용 및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이 ICT 리터러시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mputer Use and Information(Computer) Educational Experiences on their ICT Literacy Levels)

  • 남창우;안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8-3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및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에 따른 ICT 리러터시 수준을 측정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도 초등학교 300개 학교의 4~6학년, 중학교 300개 학교의 1~3학년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의 내용에는 능력요소와 내용요소이라는 두 가지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 중학교 모두에서 가정 내 컴퓨터 이용 정도 및 학교 밖 컴퓨터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대체로 ICT 리터러시 수준이 높아지지만, 과도한 컴퓨터 활용은 오히려 ICT 리터러시 수준을 낮추는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초 중학교 모두에서 정보(컴퓨터) 교육 경험 시간이 많을수록, ICT 리터러시 수준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 전성균;박상욱;이은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20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컴퓨터 정보 소양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및 교육 요구를 조사하여 컴퓨터 정보 소양 교육이 관련 교과와 융합하여 다양한 교육 맥락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의 일반 현황, 컴퓨터 정보 소양 관련 융합 교육 인식 및 현황, 컴퓨터 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대한 요구를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16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 정보 교육을 전공하거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경험이 있는 경우 컴퓨터 정보 소양 관련 융합 수업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융합 교육을 수행할 때 수업 내용의 구성이 어렵고, 기존 교과 수업 진도에 대한 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환경에 있어서는 교육용 소프트웨어 교구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방향, 교원 양성, 교육 프로그램, 학습 교구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ization Model for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67-30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리터러시 및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의하여 이들 리터러시의 개념적 차이를 통한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동시대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이며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컴퓨터 리터러시가 등장하였으며, 이후 컴퓨터 리터러시는 IT와 ICT 리터러시로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로 변화되어 왔다. 연구결과로, 매체의 기술적 변화에 따라 용어가 변화되어 온 이들 리터러시를 매체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였고, 텍스트나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고 평가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둔 독서 리터러시와 정보 리터러시를 과정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여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도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는 매체에서 드러난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평가하는 핵심적인 역량으로 독자들의 독서 및 정보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cdot}$중등교원 정보기술소양의 현수준과 기대수준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Present Level and Expectation Level of IT Literacy in Korean School Teachers)

  • 신호균;한일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2권2호
    • /
    • pp.189-20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in Korean teachers and to give some suggestions for the prepar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in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on- and off-line surveys containing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survey items were categorized into 11 groups such as operation capability, computer use and communication, word processing, ethics, computer fundamentals,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IT, information instruments use, application s/w use, work processing with computer, and internet use capability.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Female teachers rated their IT literacy level higher than male teachers. (2) Teachers with longer teaching experience rated their IT literacy level lower than those of shorter experience. (3) There were no signigicant differences among sex, school, job grade of teachers at the present level of literac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ex, age, carreer, job grade, and subject matter at the expectation level except for school grade.

  • PDF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Liberal Education for Improving Computer Literacy

  • Koo, GeumSeo;Sim, Gab-Si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43-149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efficient management method of liberal education for improving computer literacy. We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and factors affecting education and reflected the analysis results in educ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is 'Practice Excel', and tested achievement based on computer literacy. In order to evaluate objectively, we conducted CBT(Computer Based Test) based on Computer Specialist in Spreadsheet & Database Level-2.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use of the popular statistical program, IBM SPSS 24 trial, and frequency, ANOVA, t-test, crossover analysis, and correlation. Evaluation result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educational performance was active participation. It also proved to be very helpful for understanding excel functions & expression.

컴퓨터소양의 관점에서 본 컴퓨터교육의 의미와 과제 (The Meaning and Theme of Computer Education for Aspects of Computer Literacy)

  • 한병래;이철현;송기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03-111
    • /
    • 2000
  • 컴퓨터가 사회 전반에 침투함으로써 컴퓨터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되었다. 그리고 컴퓨터 교육이 사회의 각 층에서 일어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컴퓨터 교육 현상을 중심으로 컴퓨터 교육의 의미와 과제를 컴퓨터 소양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컴퓨터 교육현상에 따라 컴퓨터 소양의 의미를 탐색해 보았고, 각 현상에 따른 내용을 실 예를 들어 제시하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 소양의 관점에 있어서의 교육방법에 대한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

The Study on Test Standard for Measuring AI Literacy

  • Mi-Young Ryu;Seon-Kwan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39-46
    • /
    • 2023
  • 본 연구는 인공지능 소양 능력의 측정을 위한 검사 기준의 설계와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와 전문가 FGI를 통해 AI 소양의 핵심 영역을 선정하고 세부 기준을 설계하였다. 검사 기준의 영역은 AI의 개념, 실제와 영향 3가지로 구분하고 세부 항목은 AI의 개념 33문항, AI의 실제 13문항, AI의 영향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검사 기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2번에 걸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기준을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 AI소양 검사 기준은 총 3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AI소양 검사 기준은 AI소양 능력 측정을 위한 자기 체크리스트나 AI역량 검사 문항을 개발하는 중요한 도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초등 영재의 정보과학교과 수행능력과 영재성 간의 관계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Computer Science Literacy to Giftedness in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심재권;김자미;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65-373
    • /
    • 2011
  • 지식산업사회에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영재에 대한 선발이 최근에는 기초 능력평가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기초 능력은 창의력, 사고력과 관련된 능력에 관한 것으로 한정하고 있으며, 지식산업사회를 살아가는데 누구에게나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정보과학에 대한 내용은 배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과학 수행능력과 실제 영재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등 영재 61명을 대상으로 정보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6주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영재성 정도에 따라 정보과학 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었고, 정보과학 수행능력과 영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보사회에서 모든 분야의 기초가 될 것으로 고려되는 정보과학의 내용을 영재성 검사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ariables Affec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 박남진;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5-232
    • /
    • 2006
  • 본 연구는 수강생의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정보활용교육의 교육효과를 분석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정보활용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정보활용교육 수강 전후의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관련지식. 도서관이용빈도 및 정보활용능력의 평균값 차이를 비교하였다. 정보활용교육 수강생의 사전교육경험과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이용지식 및 자료이용빈도가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수강생의 수업만족도와 수강 후 견해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 콘텐츠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구성과 활용 (A Study on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elements Using Open Contents)

  • 홍명희;이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11-721
    • /
    • 2018
  • 인공 지능 기술의 발달과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의 변화로 누구나 접근 가능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다양한 오픈 콘텐츠 속에서 어떻게 접근, 이해, 활용하고, 또한 새로운 오픈 콘텐츠를 어떻게 만들고 공유하는지에 대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은 디지털 리터러시를 데이터, 도구, 장치 요소에 대한 각각 하위의 리터러시 개념인 컴퓨터 리터러시, ICT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로 계층화하고 인지적 능력과 비인지적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오픈 콘텐츠는 OER(Open Educational Resource)과 Open Access 운동과 같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로 정의하고, 두 정의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요소 활용 방안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3단계 전략을 마련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오픈 콘텐츠를 선정하고, 다음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활동을 실시하는 교육 프레임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