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er Literacy Skill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7초

초.중학생의 영재분야에 따른 ICT 리터러시 능력 수준 분석 (Analysis of ICT literacy level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kill sets)

  • 이승진;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9-78
    • /
    • 2013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핵심역량으로 ICT 리터러시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2007년부터 학생들의 ICT 리터러시 측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의 수월성 관점에서 영재분야에 따라 ICT 리터러시 능력이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목적 달성을 위해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 167명, 중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영재분야에 따른 ICT 리터러시 능력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은 영재분야에 따라 내용요소 중 '컴퓨터와 네트워크', '정보사회와 윤리', 능력요소 중 '문제의 인식', '정보의 소통'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중학생은 영재분야에 따라 '정보사회와 윤리', '정보의 조직 및 창출' 요소에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일반학생들과는 달리 정보, 과학, 수학영재를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고, 교육에 대해 제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ariables Affec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 박남진;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5-232
    • /
    • 2006
  • 본 연구는 수강생의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정보활용교육의 교육효과를 분석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정보활용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정보활용교육 수강 전후의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관련지식. 도서관이용빈도 및 정보활용능력의 평균값 차이를 비교하였다. 정보활용교육 수강생의 사전교육경험과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이용지식 및 자료이용빈도가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수강생의 수업만족도와 수강 후 견해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Computational Literacy 교육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학습자 특성에 관한 연구 -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Programming Skill in Computational Literacy Education - Focus on learning style and multiple intelligence -)

  • 김수환;한선관;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5-23
    • /
    • 2010
  • Computational literacy 교육은 정보화 사회가 성숙되어 가면서 그 중요성이 점차 더 부각되고 있으나 이를 위한 교육전략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전통적인 교육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이고 있으며, 이를 computational literacy 교육에 적용하려면 해당 영역에서 학습자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mputational literacy의 핵심영역인 프로그래밍을 가르친 후, 이때 나타난 학습자의 특성을 Felder의 학습스타일, 다중지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생 194명을 대상으로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인 스크래치를 교육한 후,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성취도와 학습양식, 다중지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프로그래밍 전문가 집단과 일반 학생들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e for Digital Literacy of an Elementary School Pupils)

  • 김선태;남영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1-161
    • /
    • 2008
  • ICT 활용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학생들에게 창의성, 팀워크, 비판적 사고, 독립적 학습 및 학습 동기 개발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제공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조사 분석하고, 서울시 초등학생들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은 사회 문화 리터러시 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정보 기술 리터러시 역량이 가장 낮았다. 경상남도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서울시 초등학생들의 역량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uter Literacy Skills as a Determinant of Electronic Reference Sources Utilization among Selecte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Ado-Odo Ota Local Government, Ogun State, Nigeria

  • Elizabeth Bukunola Lateef;Opene Sunday Ozonuwe;Adesanmi Mathew Farukuoy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81-97
    • /
    • 2024
  • The study investigated computer literacy skills as a determinant of electronic reference sources utilization among selecte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Ado-Odo Ota Local Government, Ogun State, Nigeria. Four specific objectives with conforming research questions guided the study.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esign was adopted for the study. The population of the study comprises of SSS3 students of the three selected Community Secondary Schools in Ado Odo Ota. A sample size of 150 was used for the study. The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self-developed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s.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majorit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not aware of the availability of electronic reference sources. It also revealed that the level of their computer literacy skills was below average. Majority of them have never used computer before and the few of them that have used computer before used it in their homes, their friend's homes or in the cyber café. It was found that lack of formal training on the use of electronic reference sources, lack of access to computer, lack of awareness of availability of electronic reference sources, lack of funds for internet subscriptions, over dependency on printed reference sources and lack of motivation to use electronic reference sources were the major hindrances to the use of electronic reference sources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school librarians and teachers sh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wareness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availability of online/ electronic reference sources among others.

Influence of Financial Literacy and Educational Skills on Entrepreneurial Intent: Empirical Evidence from Young Entrepreneurs of Pakistan

  • BILAL, Muhammad Ahmed;KHAN, Hadi Hassan;IRFAN, Muhammad;Ul HAQ, S.M. Nabeel;ALI, Manzoor;KAKAR, Ali;AHMED, Wahab;RAUF, Abdu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호
    • /
    • pp.697-710
    • /
    • 2021
  •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impact of Financial Literacy on Youth Entrepreneurial Intent in Pakistan. A closed-ended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covering financial literacy, computer knowledge, financial attitude, and financial knowledge with Entrepreneurial Intent was collected from young entrepreneurs. The research trie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level with computer skill to inspect the effect of financial literateness on young generation Entrepreneurial Intent in the context of Pakistan.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using PLS-SEM and authenticating a measurement model through the advanced methodology and their association with Entrepreneurial Intent. Results revealed that financial literacy and its two parts (financial attitude and financial knowledge) have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 The size of the joint impact of financial literacy and its components on Entrepreneurial Intent was assessed to be adequate. Entrepreneurial Intent is essential for creating new firms to maintain economic development. Furthermore, it is determined in this research that if youth has better financial knowledge and financial attitude, the probability of Entrepreneurial Intent increases. This suggests that if the youth in Pakistan desire to attain a higher limit of Entrepreneurial Intent, they must implement financial literacy models for enhancing and promoting their current Entrepreneurial Intent.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보학습자들의 행동 및 사고과정 분석 (Analysis of Programming Processes Through Novices' Thinking Aloud in Computational Literacy Education)

  • 김수환;한선관;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3-2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CL(Computatioanl Literacy) 교육에서 중요한 교육 내용인 프로그래밍 문제해결 과정을 규명하는데 있다. 프로그래밍 초보학습자들의 인지적 사고과정 분석을 통해 프로그래밍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 특성을 조망하는 분석틀을 제시하고, 실제 CL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초보학습자들의 사고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고발성법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상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사고 특성을 추출하는 분석코드와 프로그래밍 과정 코드를 이용한 코딩조직를 개발하였고,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Nvivo를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력의 활용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사고 특성과 흐름을 이해하는데 기여하며 프로그래밍에서의 사고 과정을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준거를 제시한다.

  • PDF

프랑스의 소프트웨어 교육 체제 분석을 통한 시사점 고찰 (A Study on the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Policy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France)

  • 배영권;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85-394
    • /
    • 2019
  • 1960년대부터 시작된 프랑스의 컴퓨터교육은 2018년이 되어 초중등을 아우르는 교육시스템이 완성되었다. 프랑스가 산업화된 이후 지금까지 약 60년을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핵심역량으로서의 컴퓨터교육에 대한 교수 학습방법과 체제 구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크게 네가지의 시사점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학교 급별 위계를 토대로 달성해야할 각각의 성취목표를 설정하였다. 둘째, 프랑스의 컴퓨터교육의 전격적인 도입 및 확산을 위하여 교육과정이 발표된지 3년만에 컴퓨터교육의 도입이 완성되었다. 셋째, 컴퓨터 소양과 컴퓨터과학의 개념에 대한 균형을 토대로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 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넷째, 컴퓨터교육의 융합에 대한 내용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다루도록 하고 학년 및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컴퓨터소양 및 컴퓨터과학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래밍의 심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시되어 있다.

Educational Contents for Concepts and Algorithm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Han, Sun G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37-44
    • /
    • 2021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소양을 신장하기 위한 교육 콘텐츠의 설계와 개발에 관한 것이다. 우선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를 설계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콘텐츠는 8개의 인공지능 영역에서 총 15차시로 구성되었다. 콘텐츠는 지식-기능-태도의 내용을 함께 담고 있으며 학습단계는 5단계로 구성하였다. 콘텐츠의 개발은 온라인 자료의 형태로 구성하고 시뮬레이션과 워크시트를 포함하였다. 또한 교수학습방법을 제공하고 각 콘텐츠별로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콘텐츠의 적합성을 살펴보기 위해 전문가 대상으로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계 내용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사 결과 전체 평균은 .71이상을 나타냈고, 개발된 콘텐츠의 수업 적합도의 CVI값은 .82로 타당성이 높게 나왔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콘텐츠들이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공지능 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정간호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Education Needs for Home Care Nurse)

  • 김조자;강규숙;백희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8-239
    • /
    • 1999
  • In 1990 Home Care Education Programs started when legislation established certification for Home Care Nurse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oposed a home care education curriculum which has 352 class hours and 248 hours of 'family nursing and practice'. Though Home Care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offered in 11 home care educational institutes, there has been no formal revision for the home care education programs. Also a first and second home care demonstrat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outcomes for home care education as applied in home care practi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important content areas for home care nursing as perceived by home care nurses, and to identify their clinical competence in each of these areas, and from these to identify the education needs. The sample was 107 home care nurses who were working in home care demonstration hospitals and community-based institutions which have been offering home care services. Responses were received from 88 nurses, comprising a 82.2% return rate, and 86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instrument used was a modification of the instrument developed by Caie-Lawrence et(1995) and Moon's(1991) instrument on home care knowledge. The instrument's Cronbach's coefficient was 0.982. Among the respondents, 64% were working at home care demonstration hospitals and 36% were working at community-based institutions. Their home care experiences were from one month to six years, with a mean of 20.6 months. The importance rating for home care education content was 3.42 0.325, which means importance was rated relatively high. Technical aspects of home care were identified the most important. Five items 'education skill', 'counseling skill', 'interview skill', 'wound care skill', 'bed sore care skill' received 100% importance ratings. The competency rating was 2.87 0.367 and 'technical aspects of home care' was the highest, and 'application to home care skill' was the lowest. Home care nurses' education needs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to the importance ratings and competency ratings. Eleven items were identified as the highest in the importance areas and eleven items were in the lowest competency areas. High importance ratings matched with low competency ratings determined training needs, but there was no matching items in this study. In the lowest competency areas four items were excluded, because of not being applicable in current home care practice. Therefore total eighteen items were identified as home care education needs. These items are 'bed sore care skill', 'malpractice', 'wound care skill', 'general infection control', 'change and management of tracheostomy tubes', 'CVA patient care', 'Hospice care', 'pain management', 'urinary catheterization and management', 'L-tube insertion and managements', 'Respirator use and management skill', 'infant care', 'prevention to burnout', 'child assessment', 'CAPD', 'infant assessment', 'computer literacy', and 'psychiatry patient ca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