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er Literacy Instruc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4초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프로그램이 컴퓨터와 과학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I(Computer-Assisted Instruction)Programs On Learner's Attitudes toward Computer and Science)

  • 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60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snts' attitudes toward computers and science subject using CAI(Computer-Assisted Instruction) as an instructional strategy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of science and computer literacy course. The influence of CAI programs on learner's attitudes toward computers and science vari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l)sex (2)experience by computer learning, (3)learner's attitudes toward computers and science. Eighty nine samples were divided into the two groups.One group(48 studesnts)which i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a science instruction using CAI programs and computer literacy course, another group which is in the control group took only a science instruction using CAI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and compare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indicate as follows:(l) studesnts took science instruction using the CAI programs appeared a positive attitudes toward science. (2) the science attitudes of science instruction using the CAI programs was more effective in the lower group than in the upper group. (3) computer literacy course produced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computers regardless of the experience by computer learning. (4) students using CAI programs with computer literacy course were more effective than students using CAI program only. (5) science instruction using the CAI programs was not found a meaningful difference by sex.

  • PDF

아동의 컴퓨터 선개념이 컴퓨터 보조 과학 수업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uter Assisted Science Instruction on Children's Preconceptions about Computer)

  • 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0-246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uter-naive children's preconceptions of computer concept, anxieties for computer, the changes in preconceptions and anxieties by computer literacy teaching, and the effect of CASI(Computer Assisted Science Instruction) on the science achievement. For this study, 42 5th graders were sample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male:10, female:11) and control group(male:12, female:9). Each group was randomly assigned in the elementary school. Preconceptions about computer were examined by individual interview. Computer anxiety score was measured by questionaires. The questionaires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otal 21 items measured by Chronbach ${\alpha}$ (0.93) and Total Item Correlationtp(p=0.01, r = $0.40{\sim}0.72$). Computer literacy curriculum based on children's preconceptions was developed and then was treated for experimental group as a computer literacy course. Preconceptions of computer, computer anxiety, and CASI achievements were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pre and pos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s preconceptions of computer showed various non-scientific concepts as animism and obvious visiual thinking. 2) children's misconceptions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learning experience of computer. 3) computer literacy had an effect on eliminating children's misconception about computer. 4) computer literacy had an effect on diminishing children's computer anxiety. 5) children's misconceptions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showed significant inter-correlation. 6) children's misconceptions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were appeared negative effect on CASI achievements. As the results, children's misconception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had an effect on CASI acheivements. Therefore before performing CASI, more systematic computer literacy might be taught in formal education.

  • PDF

모바일 기기 기반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A Research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Methodlogies based on Mobile Devices)

  • 홍명희;이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07-115
    • /
    • 2020
  •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컴퓨팅 환경이 모바일 기기 기반으로 급속히 바뀌어가고 있다. 지금까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데스크 탑 PC 기반의 교육이 이루어졌으나 이를 모바일 환경에 맞는 리터러시 교육으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가진 모바일 기반 디지털 리터러시 MoDL(Mobile Device Digital Literacy) 교육 체재를 제안한다. MoDL을 3단계로 구축하여 모바일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는 MoDE(Mobile Based Digital Environment)와 이를 교육에 활용할 때에는 BYOD(Bring Your Own Devices) 수업 방식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디지털 리터러시를 학습하는 MoDLI(MoDL Instruction)을 단계별로 제시한다. 제시된 MoDL 교육 체재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8인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내용 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n: CVR)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MoDLI의 현장 적용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내용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컴퓨터 및 정보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피지컬 컴퓨팅 교육 교재 분석 (Analysis of Instruction Materials for Physical Comput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 정하나;전영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73-489
    • /
    • 2018
  •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는 21C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주요 핵심 역량 중 하나이다. 미국, 영국 등 세계 여러 나라는 학생들의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를 신장시키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내용을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조하였다. 위와 같은 교육적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많은 책자 형태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재들이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를 신장시키기에 적합한지 알아보는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기관의 주도로 온라인 상에 보급된 네 권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재가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를 신장시키기에 적합한 지 평가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에게 피지컬 컴퓨팅을 지도하기 위한 교재로 한정하였다. 우선, 교육부에서 제공한 '검 인정 교과서 평가 기준'과 '2018 ICILS 평가 틀'을 참고하여 교재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전문성을 갖춘 12명의 현장 교사를 선정하였고, 개발된 평가 틀을 이용하여 교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가 끝난 후, 평가 위원들이 매긴 점수를 평균 내어 3.5 이상을 우수한 교재로, 3.5 미만은 미흡한 교재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우수한 교재의 특징과 미흡한 교재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를 길러 줄 수 있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 교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환경소양의 정의와 관련연구에 관한 분석 (Investigation into the Defini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the related studies)

  • 박진희;장남기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83-101
    • /
    • 1998
  • ‘Environmental Literacy’ is defined as ‘one's individual status to be accomplished or to be acquired by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 has the same meaning as ‘the Goals of E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analyse the related studies. Much of the work in EE has followed the path outlined by the Belgrade Charter, the Tbilisi Declaration, and later in Agenda 21. Over the years, scholars such as Hungerford et al., Iozzi et al., Roth, the Wisconsin Center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Literacy Consortium have examined and proposed a framework of ‘Environmental Literacy’. Recently, the influential framework developed by the NAAEE(the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National Project for Excellence in EE included seven categories: affect, ecological knowledge, socio-political knowledge, knowledge of environmental issues, skills, additional determinants of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s. According to the analysed results, 37.7% of the American studies and 32.5% of Korean ones measured aspects of the attitude. Especially, the measure of this variable in America, however, led to the most inconclusive and least positive outcomes. The studies included related to cognitive skills were very few but 100% reported positive impacts of instructions in two countries. In America, using a television documentary, a journal and the field trip were very useful and effective. But using a computer simulation/game was less effective and the supplemental instruction did't led to the positive effect. In Korea, instruction, the supplemental instruction and EE program led to positive outcomes generally. The lack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was pointed out as a common problem and the development of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nation-wide assessment is urgently needed.

  • PDF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규 교과목 정보이용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n Information Liter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 최은주;박남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58호
    • /
    • pp.153-172
    • /
    • 2005
  • 본 연구는 정규 과목으로서 정보이용교육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컴퓨터활용능력과 도서관 관련 지식이 이용빈도와 정보활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 이용빈도와 정보활용능력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보다 나은 정보이용교육의 수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경기지역 소재 7개 대학의 8개 수업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가설검증을 통해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정보이용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대학당국의 인식과 더불어 향후의 정보이용교육은 도서관자료를 이용한 학술정보활용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맞춤 e-learning을 위한 컴퓨터 적응 진단 및 수업 체제 개발 연구 (A study for developing a system of computer adaptive diagnosis and instruction(CADI) for tailored learning under e-learning environment.)

  • 이중권;김성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3호
    • /
    • pp.291-307
    • /
    • 2004
  •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ing a system of computer adaptive diagnosis and instruction(CADI). This system is a conceptual model that connected learning with assesment by using new media such as computers, multimedia, and new technologies. In this conceptual model, adaptive diagnosis means tailored or customized diagnostic evaluation, and adaptive instruction implies tailored or customized instruction. The connection between learning and assesment suggests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determine following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methods. CADI's expected effect are 1) it can contribute to real learning of core concept, 2) it can enlarge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3) it can help students study by student himself and learn media literacy, 4) information for evaluation functions more essential roles, 5) it is possible to work cooperatively with any other school subject.

  • PDF

급우 관계에 의한 짝 구성 동료 교수법이 컴퓨터 실기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riendship-Based Peer Tutoring on the Achievement of Computer Literacy Instruction)

  • 박재득;김민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1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실기 교과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동료교수법을 도입하였다. 중학교 3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여 동료 교수법이 강의식 교수법에 비하여 학업성취도에 차이를 가져오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급우 관계에 의해 학생들이 희망하는 짝을 동료로 구성하는 방식이 기존의 성적 위주의 동료 구성 방식과 비교할 때 학업성취도 효과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실기 위주의 컴퓨터 소양 교육에서 동료 교수법은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동료 교수법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급우 관계에 의한 짝 구성 방식은 실험 처치 초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학업성취도 차이를 보였으나, 처치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동료 간 친밀도가 갖는 효과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ariables Affecting the Information Literacy)

  • 박남진;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5-232
    • /
    • 2006
  • 본 연구는 수강생의 정보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정보활용교육의 교육효과를 분석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정보활용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정보활용교육 수강 전후의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관련지식. 도서관이용빈도 및 정보활용능력의 평균값 차이를 비교하였다. 정보활용교육 수강생의 사전교육경험과 컴퓨터조작기술, 도서관이용지식 및 자료이용빈도가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수강생의 수업만족도와 수강 후 견해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정보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Information Literacy: Identification of Factors Affecting Undergraduate Students)

  • 오의경;장혜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07-231
    • /
    • 2005
  •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정보리터러시 관련 교육에 대한 노출, 각종 정보원에 대한 경험, 정보 이용 관련 교수진의 조언, 개인적 배경 등을 정보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정보리터러시 태도와 실제 능력을 종속 변인으로 추출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측정도구를 고안하여 조사를 수행한 후, 관련 요인의 현황과 요인간 관계 및 영향력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정보리터러시의 개인별 집단별 차이, 낮은 도서관이용교육 노출과 교수진의 조언 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으며, 컴퓨터와 인터넷 교육, 각종 정보원 이용 경험 성별과 전공계열 등이 정보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입증되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정보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사회의 인식전환, 이용교육의 실질적 변화, 고등교육기관 및 관련 협회의 유기적 협력과 노력 등이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