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ed tomography imaging

검색결과 1,779건 처리시간 0.026초

난치성 측두엽간질의 발작간 뇌혈류 SPECT, MRI와 수술성과 비교 (Interictal rCBF SPECT, MRI and Surgical Outcome of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 전석길;주양구;이상도;손은익;이영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7-312
    • /
    • 1994
  • Interict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SPECT) in 18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patients(8 male and 10 female patients: average 23.5 years old) were compared with 2.0 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surgical outcome was analysed with the findings, symptom duration and lateralization of temporal lobe. Preoperatively rCBF SPECT was done in all 18 patients with intravenous injection of 740 MBq 99mTc-HMPAO. MRI was also done preoperatively in 13 patients. Surgical outcome was classified by Engel's outcome classification(four-part classification recommended at the first Palm Desert conference). rCBF SPECT detected correctly lateralising abnormality of temporal lobe hypoperfusion in 13/18(72.2%), contralateral temporal lobe hypoperfusion in 2/18(11.1%) and showed no def-inite abnormality in 3/18(16.7%).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unilateral temporal lobe hypoperfusion was 87%. MRI detected correct localising abnormality in 8/13(61.5%), such as hippocampal atrophy(7/13), asymmetric temporal horn(6/13), anterior temporal lobe atrophy(1/13), increased signal intensity from hippocampus(1/13) and calcific density(1/13), and no abnormal finding was noted in 5/13(38.5%). There was no false positive findings and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MRI was 100%. Only 2 cases showed same lateralization findings in rCBF SPECT and MRI.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ymptom duration and no abnormal findings on SPECT or MRI. Surgical outcome showed class I in 15/18(83.3%), and class II in 2/18(11.1%). One case of no abnormal finding in both SPECT and MRI showed class III surgical outcome. No class IV surgical outcome was noted. Surgical outcome, lateralization of epileptic focus in temporal lobe and abnormal findings in rCBR SPECT or MRI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 PDF

병렬 연산을 이용한 방출 단층 영상의 재구성 속도향상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Enhancement of Reconstruction Speed for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Using Parallel Processing)

  • 박민재;이재성;김수미;강지연;이동수;박광석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5호
    • /
    • pp.443-450
    • /
    • 2009
  • 목적: 기존의 영상 재구성은 간소화된 투사 물리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3D 재구성과 같은 실제적인 물리 모델은 시간이 많이 걸려서 임상에서 모든 데이터에 적용하기 힘들고, 복잡한 물리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큰 메모리를 사용하면 한대의 일반적인 재구성 머신으로는 불가능하다. 개인 컴퓨터들에서도 큰 규모의 기술을 가능하게 하기위해, 병렬 연산을 이용한 빠른 재구성의 현실적인 분산메모리 모델을 제시한다. 대상 및 방법: 실제로 구현하는 가능성을 보기 위해 가상 컴퓨터들을 이용하여 선행 연구를 진행하였고, 다양한 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상용서비스를 하고 있는 슈퍼컴퓨터(Tachyon)에서 성능 테스트를 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2D 투사 영상과 실제적인 물리 모델인 3D 응답라인을 이용한 기댓값 최대화 알고리즘을 테스트하였다. 스터디 중 특정 반복횟수 이후에 속도가 최대 6배까지 느려지는 현상이 발견되어 컴파일러 최적화를 통해 병렬 효율의 극대화를 꾀하였다. 결과: Linux에서 MPICH와 NFS를 이용하여, 여러 컴퓨터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분산 연산이 가능하였다. 병렬 연산을 했을 때 동일한 반복 연산에서 재구성된 영상간의 차이가 실수의 유효숫자(6bit)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2배의 연상장치를 사용했을 때 1.96배의 좋은 병렬화 효율을 보여주었다. 반복 연산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느려지는 현상은 SSE를 이용한 Vectorization 방법을 사용했을 때 해결할 수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일반 컴퓨터들을 이용한 현실적인 병렬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여, 작은 메모리의 단일 일반 컴퓨터로는 불가능한 간단화 할 수 없는 복잡한 물리 과정도 영상 재구성 방법에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Outcomes and Patency of Complex Configurations of Composite Grafts Using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 Shih, Beatrice Chia-Hui;Chung, Suryeun;Kim, Hakju;Chang, Hyoung Woo;Kim, Dong Jung;Lim, Cheong;Park, Kay-Hyun;Kim, Jun S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2호
    • /
    • pp.64-72
    • /
    • 2020
  • Background: It is generally agreed that using a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y (BITA) composite graft improves long-term survival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Although the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LITA)-based Y-composite graft is widely adopted, technical or anatomical difficulties necessitate complex configurations.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BITA configuration impacts survival or patency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revascularization. Methods: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17, 1,161 patients underwent CAB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where the standard technique is a LITA-based Y-composite graft with the right internal thoracic artery (RITA) sequentially anastomosed to non-left anterior descending (LAD) targets. Total of 160 patients underwent CABG using BITA with modifications. Their medical records and imaging data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o investigate technical details, clinical outcomes, and graft patency. Results: Modifications of the typical Y-graft (group 1, n=90), LITA-based I-graft (group 2, n=39), and RITA-based composite graft (group 3, n=31) were used due to insufficient RITA length (47%), problems using LITA (28%), and target vessel anatomy (25%). The overall 30-day mortality rate was 1.9%. Among 116 patients who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or conventional angiography at a mean interval of 29.9±33.1 months postoperatively, the graft patency rates were 98.7%, 95.3%, and 83.6% for the LAD, left circumflex artery, and right coronary artery territories, respectively. Patency rates for the inflow, secondary, and tertiary grafts were 98.2%, 90.5%, and 80.4%, respectively. The RITA-based graft (group 3) had the lowest patency rate of the various configurations (p<0.011). Conclusion: LITA-based Y composite graft, showed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and patency whereas modifications of RITA- based composite graft had the lowest patency and 5-year survival rates. Therefore, when using RITA-based composite graft, other option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roceeding atypical configurations.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근위 상완골 골절 - 1예 보고 -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nd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Neurofibromatosis Type I - A Case Report -)

  • 황태혁;조형래;왕태현;양희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35-140
    • /
    • 2013
  •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동반된 근위 상완골 골절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으로 진단된 20세 남자로 가벼운 외상 후 발생한 우측 견관절의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로 내원하였다. 수상측 주관절부에는 큰 망상형 신경 섬유종들이 있었으며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 병변이었다. 단순 방사선과 컴퓨터 단층 촬영 소견 상 상완골과 견갑골의 골성 변형을 보였고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상 삼각근과 회전근 개에 다발성 신경 섬유종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관혈적 정복술 및 관절막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근위 상완골 골절은 재건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골유합과 만족스런 기능 회복을 보였으며 수술 후 7개월 추시 상 견관절 탈구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견관절 재발성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은 드문 합병증이나 질환의 정형외과적 접근 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 요막관 기형 (Urachal Anomalies in Children)

  • 강은영;이철구;박관현;서정민;이석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150-156
    • /
    • 2005
  • Failure of the urachus to regress completely results in anomalies that may be classified as patent urachus, urachal sinus, urachal cyst and bladder diverticula. The presenting symptoms of children with urachal anomalies are variable and uniform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are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ur experience and develop conclusions regarding the present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urachal anomalie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32 patients who were admitted for urachal anomalies from March 1995 to February 2005. The age distribution of these patients at presentation ranged from 1 day to 14 years old (median age 1 month). There were 20 boys and 12 girls. The 32 cases comprised 13 cases of urachal sinus (40.6 %), 10 urachal cyst (31.3 %), and 9 patent urchus (28.1 %). In 30 patients ultrasonography was used for diagnosis and 2 patients with patent urachus were explored without using a diagnostic method. Twenty-three patients were confirmed by ultrasonography alone and 7 patients were examined using additional modalities, namely, computed tomography for 2 patients with an urachal cyst,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1 patient with an urachal cyst, and fistulography for 3 patients with an urachal sinus. The presenting symptoms were umbilical discharge (14 patients), umbilical granuloma (8), abdominal pain and fever (3), fever (3), abdominal pain (2), and a low abdominal mass (2). Excision was performed in 29 patients, and 3 patients were conservatively managed. Urachal anomalies in children most frequently presented in neonates, and the most common complaint was umbilical discharge with infection. Urachal anomalies can be diagnosed by a physical examination and an appropriate radiographic test. Ultrasound was the most useful diagnostic method. Complete surgical excision of an urachal anomaly is recommended to avoid recurrence, and the rare development of carcinoma.

  • PDF

상악구개측 미니스크류 식립위치 및 조건 (Miniscrew Installation Area and Condition on Maxillary Palatal Side)

  • 이기연;이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1호
    • /
    • pp.61-71
    • /
    • 2009
  • 교정치료에 있어서 고정원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최대고정원을 얻기 위해서 미니스크류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인접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미니스크류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치근이나 상악동, 절치관, 비강, 대구개신경 등의 구조물의 해부학적 위치를 이해하면서 식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니스크류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보면 상악골은 하악골에 비하여 골질이 단단하지 않고 탈락율이 높으며, 특히 협측골은 치근사이의 거리가 가깝고, 안정성이 높지 않다. 따라서 좀더 강한 고정원의 확보를 위하여 시술의 접근성이나 시야확보는 불리하지만 충분한 골 두께를 가지고 있는 상악구치부 구개측 치조부와 단단한 골을 가지고 있는 정중구개부위가 미니스크류 식립부위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악 구개측 치근 사이의 거리와 정중 구개봉합부위의 골의 두께를 계측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개측 치근사이의 거리의 비교시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사이,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의 순서로 유의하게 큰 치근 사이의 거리를 보였다. 2. 정중 구개부 골은 후방부위와 측방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구개측 치근 사이는 소구치와 대구치 사이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부위이며 정중구개부에서는 봉합부위에 가까울수록 안전하게 미니스크류를 식립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골골종의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he Treatment of Osteoid osteoma)

  • 서재곤;정광훈;양일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83-89
    • /
    • 2002
  • 목적: 유골골종의 진단 후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기능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인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9년 7월부터 2001년 1월 사이에 임상소견 및 방사선 소견상 유골골종으로 진단 받고 저자들이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최소 8개월에서 최장 2년 1개월로 평균 15.5개월이었다. 술 전 방사선학적 검사로는 단순방사선촬영,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이 진단 및 병소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술 후에는 정기적인 단순방사선 사진 및 자기공명영상으로 추적관찰 하였다. 결과: 술 후 환자의 증상 소실은 7례의 환자에서 3일 이내에 완전 소실이 이루어 졌으며 평균 입원 기간은 1례의 화상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하고는 평균 2.4일 이었고 퇴원의 기준은 환자의 동통이 완전 소실된 이후로 하였다. 술 후 야간통 및 주간통 점수는 각각 평균 1.8점과 1.3점으로 이었다. 직업 활동 및 여가 활동의 점수도 각각 평균 1점과 0.6점이었다. 결론: 유골골종에 대하여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로 비교적 만족할 만한 기능적 결과를 얻었다. 이 시술은 기존의 고식적 방법으로 인한 입원기간의 증가, 술 후 골절 방지를 위한 내고정술 및 뼈 이식의 필요, 그리고 장기간의 고정으로 인한 관절운동의 장애 등의 합병증 없이 유골골종의 제거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MC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Aft-Multiple-Silt 시스템의 산란선 제거 효과 평가 (Evaluation of Scatter Reduction Effect of the Aft-Multiple-Slit (AMS) System Using MC Simulation)

  • 장지나;서태석;장도윤;장홍석;김시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224-230
    • /
    • 201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콘빔 CT에서 산란선 제거를 위한 aft-multple-slit (AMS)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예비 연구로서 본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MC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가상 시뮬레이션은 산란선과 산란선+일차선을 계산할 수 있는 MCNPX의 radiography tally 5를 이용하였다. AMS는 빔의 발산성을 고려한 각이 동일한 아크 형태이고, 길이 방향에서의 산란선을 막는다. AMS의 효용성을 위한 평가는 AMS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일차선과 산란선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되었다. 2D projection 영상을 얻기 위해 전체의 AMS는 한번의 캔트리 회전 후 AMS에 의해 가려진 부분의 영상 획득을 위해 다시 한 번 회전하는 구조이다. 결과: 일차선의 2D projection 영상은 모든 AMS의 폭에서 그리고 AMS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도 동일하였으나 일차선+산란선의 2D projection 영상은 slit의 폭에 따라 결과가 변했다. Slit의 폭을 5 mm, 10 mm, 15 mm, 20 mm로 하였을 때 평균 산란성 제거율은 29%, 15%, 9%, 8%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AMS를 이용한 콘빔 CT의 산란선 제거 효과를 평가하였다. MC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본 시스템의 사전 연구에서는 상당한 산란선 제거 효과를 보여주었다.

비인강암에서의 AJCC의 새로운 병기 분류법과 기존 병기 분류법의 비교 (Comparison of New AJCC Staging System with OId AJCC Staging System in Nasopharyngeal Carcinoma)

  • 홍세미;우홍균;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21-225
    • /
    • 2000
  • 목적 : 본 연구는 1997년에 개정된 비인강암에 대한 AJCC병기 분류법을 1992년의 분류법과 비교하여 새로운 병기 분류법의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 1983년부터 1996년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치료방사선과에 방사선 치료를 위해 내원한 185명의 조직학적으로 확진되고 원격전이의 증거가 없는 비인강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들에 대하여 의무 기록과 전산화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을 검토하여 1992년 병기 분류법과 1997년 병기 분류법에 따라 병기를 분류하였고 각 병기 분류법에 따라 생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 1992년 분류법과 1997년 분류법에 따른 5년 생존율은 병기 I에서 각각 100$\%$; 병기 II에서는 100$\%$ 와 68.8$\%$; 병기 III에서는 61.4$\%$ 와 63.8$\%$; 병기 IV에서는 61.1$\%$ 와 63.2$\%$ 였다. 각각의 분류법으로 산출한 5년 생존율은 각각의 병기분류법 내에서 병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양 분류법 간에는 병기 II를 제외하고는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새로운 비인강암의 AJCC 병기분류법은 이전의 1992년 분류법과 비교하여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요추간판탈출증으로 보존적 치료후 호전되지 않는 환자 6 례 보고 (Case Report of 6 Patients Not Improved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of Herniated Lumbar Intervertebral Disc)

  • 이삼로;김현중;변재영;안수기;이종덕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265-276
    • /
    • 2000
  • 1997년 11월 1일부터 2000년 6월30일까지 원광대 부속 광주 한방병원 침구과에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받고 다른 합병증이 발견되지 않은 311례의 입원치료한 환자를 대상으로 보존적 치료를 하였으나, 전혀 호전되지 않았거나 통증만 약간 감소하였던 환자 6례를 분석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례에서 large herination이고 2례에서 medium herniation으로 대부분 탈출량이 많았다. 2. 6례 모두에서 하지직거상검사의 각도가 낮았으며 퇴원시까지 호전되지 않았다. 3. X-ray상, 6례 모두에서 straightening되어 있었고, 6례중 3례에서 disc space가 좁아져 있었다. 4. 통증이 심한 4례중 3례에서 측만증이 동반되었다. 발병일이 최소 30일부터 최고 7년까지로 오래되었다. 6. 환자들은 10대에서 30대까지로 연령층이 젊은 편이었다. 7. 입원기간이 최소 32일부터 최대 105일까지로 긴 편이었다. 총괄하면, 상기 6례는 디스크 탈출량이 많았고, 하지직거상검사상 각도가 낮았으며, 연령층이 젊었고, x-ray상 straightening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