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ational study

검색결과 9,283건 처리시간 0.033초

전투차량 흡기시스템의 압력손실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Computational Study on the Pressure Loss of Intake System for the Combat Vehicle)

  • 문성목;안수홍;이경훈;우관제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25-31
    • /
    • 2012
  • A computation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essure loss of intake system, which is located at engine manifold of the combat vehicle, has been conducted using a finite-volume-based,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RANS) solver. The computational result of the pressure loss through the air cleaner is in good agreement with equivalent experimental data. A parametric study was done for improving of the pressure loss of intake system over the baseline case. The effects of five primary parameters such as the height of inlet, the width of interconnection pipe, the shape of drain chamber and the diameter of filter housing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Consequently, this computational investigation can contribute to finding an optimal guideline for the idea of improvement in the pressure loss of intake system.

교량 확폭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및 해석 (A Computational Analysis and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Concrete Shrinkage and Creep in Bridge Widening)

  • 장동일;조병완;홍성욱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4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3-170
    • /
    • 1994
  • The widening of bridges under traffic condition brings to many problems. One of these is the internal stresses caused by different creep and shrinkage behavior of the existing bridge and that of the widened Brid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creep and shrinkage behaviors between concre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mparing the computational analysis results with the experimental study, it is shown that finite element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as well accorded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considering the shrinkage effects in widened bridges, joining-construction using the expanding concrete between the existing and widened bridge after at least three months from the day of completion of new bridge, is recommended.

  • PDF

이해중심 SW기초교육 프로그램의 컴퓨팅사고 효과성 검증 연구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Effectiveness of Understanding-Oriented SW Basic Education Program)

  • 오경선;권정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23-35
    • /
    • 2019
  • 많은 대학교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컴퓨팅사고로 문제해결력을 지닌 인재양성을 위해 SW교육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전공대상의 컴퓨팅사고 향상을 위한 이해중심의 SW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를 실현하는 구체적 개입으로 이해중심의 SW기초교육을 소개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백워드설계모형을 적용한 활동중심 컴퓨팅사고 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을 하나의 이해중심의 SW기초교육 프로세스로 설계하였다. 이후 15주 수업에 적용하고, 3차례에 걸쳐 검사를 실시하여 비전공자들에 대한 컴퓨팅사고의 정의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활동중심의 SW기초교육의 컴퓨팅사고효능감과 컴퓨팅사고인식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대학의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다소 무리가 있으나, 교육 현장에서 백워드설계모형을 적용한 이해중심의 SW기초교육이 컴퓨팅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컴퓨팅 사고 교육 게임 데이터를 사용한 게임 점수 예측 모델 성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Game-Score Prediction Models Using Compuational Thinking Education Game Data)

  • 양영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11호
    • /
    • pp.529-534
    • /
    • 2021
  • 컴퓨팅 사고는 21세기에 필요한 중요한 소양 중 하나로 여겨지면서 여러 국가에서 컴퓨팅 사고 교육 과정을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컴퓨팅 사고 교육 방법 중 교육용 게임 기반 방법은 학생들의 참여와 동기를 증대시키고 컴퓨팅 사고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준다. Autothinking은 학습자들에게 컴퓨팅 사고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한 교육용 게임으로 학습자들에게 동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 능력에 따라서 난이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적응적 시스템이다. 하지만 규칙기반으로 게임을 디자인하여 지능적으로 학습자들의 컴퓨팅 사고를 고려하거나 피드백을 주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Autothikning을 통해 수집한 게임 데이터를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해당 게임의 적응성을 높이기 위해 컴퓨팅 사고를 반영하는 게임 점수의 예측을 수행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귀 문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선형 회귀, 결정 트리, 렌덤 포레스트, 서포트 벡터 머신 알고리즘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결과 선형회귀 방법이 게임 점수 예측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신생아 보육기의 공기유동에 관한 유동가시화, hot-wire 속도계측 및 전산유동 해석 (Air Flow in a Neonate Incubator: Flow Visualizations, Hot-Wire Velocity Measurements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김영호;권치호;유성출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E
    • /
    • pp.162-168
    • /
    • 2001
  • In the present study, flow visualizations, hot-wire velocity measurements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were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complicated air flow characteristics in a neonate incubator. In this study,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1) The flow visualization technique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revealed an enough qualitative information for the flow field in the neonate incubator. Flow structures in a neonate incubator with a realistic three-dimensional shape was successfully visualized the present study. (2) Results from the flow visualization were relatively in good agreements with those obtained from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3) Velocities very near the neonate measured by the hot-wire anemometer were relevant to those obtained from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4) Temperatures were higher at the neck region and the medial aspect of both thighs, but lower in both extremities. (5) Small vortices between the neonate and the mattress might interfere with convective and evaporative heat transfers on the neonate's surface. In the fluid dynamic aspect, it is important to eliminate the formation of these small vortices for the design of incubator chamber.

  • PDF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구성요소 간의 경로 분석 연구 (A Study on Path Analysi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Components)

  • 이재호;장준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39-146
    • /
    • 2020
  • 불확실한 미래를 살아가야 하는 미래 세대들이 배양해야 할 핵심역량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미래 사회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작동되는 소프트웨어 중심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 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계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더불어 컴퓨팅 사고력은 무엇이며, 어떤 역량들로 구성되는 가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컴퓨팅 사고력을 구성하는 역량 요소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컴퓨팅 사고력의 5가지 역량 요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컴퓨팅 사고력의 역량 요소 간 관계성을 분석할 수 있는 경로 도형을 설정하였다. 셋째, 컴퓨팅 사고력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선정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생 801명을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컴퓨팅 사고력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의 분석을 실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Computational Thinking 증진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의 효과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Learner-Centered Learning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 김수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23-33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SW 교육의 목표인 Computational Thinking(CT)의 증진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컴퓨터 비전공자들이 CT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쉽고 재미있는 교육내용과 함께 적절한 교수학습 전략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비전공자를 위한 CT 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인 협력, 공유, 자기주도학습 등의 요소를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CT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은 컴퓨터 비전공 학습자들의 재미와 흥미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후속 학습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은 CT 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컴퓨팅 사고를 반영한 교사연수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탐색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of Computational Thinking Embedded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 황규진;박영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44-364
    • /
    • 2021
  • 이 연구는 두 명의 초등교사가 컴퓨팅 사고를 어떻게 인식하고 이를 교육과정 재구성에 어떻게 반영하고 수업을 하게 되는지를 장기간의 걸친 교사연수과정을 통해 탐색한 것이다. 컴퓨팅 사고는 과학교육에 연계하는 새로운 교육정책 방향이기에 초등부터 나타나는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교사와의 9번의 교사회의를 가졌으며 이는 매회 2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그 시기에 교수하게 될 한 단원을 각자 인식아래 재구성을 하여 11차시의 수업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자료수집은 9개월간에 걸쳐서 인터뷰, 교사회의, 수업과정안에서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는 수업 전후의 교사회의를 통한 논의, 수업과정안 등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컴퓨팅 사고를 인식하면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컴퓨팅 사고의 인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 번째,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학적 소양의 정의가 확장되었음을 볼 수 있다. 즉 문제인식에서부터 창의적인 문제해결자를 양성하는 것이 과학적 소양이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 과학적 사고가 강조된 개념형성단계와 컴퓨팅 사고가 강조된 개념활용단계로 수업차시를 구분하였다. 세 번째, 컴퓨팅 사고는 인지적 사고과정이며, ICT는 기능적 도구라고 인식하였다. 네 번째, 컴퓨팅 사고 요소는 중복되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순차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컴퓨팅 사고의 활용을 통해 STEAM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의 실천은 STEAM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교사연수를 통해 컴퓨팅 사고 전문역량 강화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심장 부정맥 시 vortex breakup 현상에 대한 수치적 연구 (Computational analysis of vortex breakup in arrhythmias)

  • 심은보;권순성;최승윤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96-497
    • /
    • 2008
  •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computational analysis of cardiac arrhythmias that is the major cause of human sudden cardiac death. First, electric excitation and condution in one dimensional cardiac tissue model is solved and the results on condution block are represented. In two dimensional model, vortex daynamics in cardiac tissue is analyzed to delineate the breakup phenomenon inducing ventricular fibrillation. We also simulated a three dimenional heart model to see the vortex breakup and explained the mechanism in physiological asp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