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nent Repository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1초

게임엔진 개발 공정의 정형화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저장소의 설계 (Design of a Component Repository Formalizing Game Engin Development Proceses)

  • 김정종;송의철;박운재;송호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461-464
    • /
    • 2002
  • 컴퓨터 게임은 소프트웨어 분야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발전되어가고 있으나 개발의 공정과 방법론에 있어서는 경험중심의 개발 방법을 고수하고 있으며 높은 자유도와 사용자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빠른 패치의 개발에는 적합하지 못할 뿐 아니라 개발공정의 정형화 미비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지원할 수 있는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한 게임엔진 개발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 저장소의 설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 PDF

Hybrid Pattern Recognition Using a Combination of Different Features

  • Choi, Sang-I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9-16
    • /
    • 2015
  • We propose a hybrid pattern recognition method that effectively combines two different features for improving data classification. We first extract the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LDA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features, both of which are widely used in pattern recognition, to construct a set of basic features, and then evaluate the separability of each basic fea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valuation, we select only the basic features that contain a large amount of discriminative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of the combined features.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various data sets in the UCI machine learning repository show that using the proposed combined features give better recognition rates than when solely using the PCA or LDA features.

비즈니스 이벤트 스트리밍 대한 연속 질의 처리 (Continuous Query over Business Event Streams in EPCIS Middleware)

  • 박영욱;홍봉희;박재관;김기홍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18-720
    • /
    • 2008
  • In this paper, the study focus on continuous query in EPC Information Services(EPCIS) middleware which is a component of RFID system. We can consider EPCIS as a data stream system with a repository. In our work continuous query is implemented in two query execution model. One is standing query model another is traditional query execution model in which continuous query run over database periodically. Furthermore a balance strategy is presented. It is used to determine which continuous query implementation model is suitable for the query. Finally we conclude our work and issue some research topic for future work.

동적 컨텐츠 캐싱을 지원하는 XML 기반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현 (An XML-based Content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Dynamic Content Caching)

  • 구흥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794-79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동적 컨텐츠 출판을 지원하는 XML 기반 웹 컨텐츠 관리 시스템인 EasyCM을 설계하였다. EasyCM은 효율적인 동적 웹 컨텐츠 출판을 지원하기 위해 XML 기반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출판에서 필요한 컨텐츠저장소로부터 XDL 객체의 추출과 XSLT를 이용한 HTML 변환의 추가적인 처리과정을 전처리하여 컨텐츠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사용자 요청시 컨텐츠 컴포넌트를 최종 웹 페이지로 조립하여 출판함으로써 컨텐츠의 재사용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EasyCM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반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 컴포넌트간의 종속정보를 Dependency Map으로 유지하여 동적 컨텐츠 캐싱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서 EasyCM은 XML 출판 프레임워크인 Cocoon2를 기반으로 하고, 동적 컨텐츠 캐싱이 가능하도록 Cocoon2의 캐싱 구조를 화장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확장된 캐싱 시스템은 캐싱된 컨텐츠의 효율적인 갱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동적 컨텐츠의 특성에 따른 두 가지 갱신 유형, 즉 즉시갱신과 지연갱신을 지원한다.

고준위폐기물처분장 공학적방벽의 갭채움재 기술현황 (R&D Review on the Gap Fill of an Engineered Barrier for an HLW Repository)

  • 이재완;최영철;김진섭;최희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6호
    • /
    • pp.405-417
    • /
    • 2014
  • 고준위폐기물처분장에서 갭채움재는 완충재와 뒷채움재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공학적방벽의 구성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갭채움재에 대한 해외 기술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갭채움재의 개념, 제조기술, 성형특성, 설치기술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정리하였다. 갭채움재 개념은 처분방식과 처분개념에 따라서 나라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었다. 갭채움재 물질로는 대부분 벤토나이트를 사용하였고, 충전제로 점토를 사용하였다. 갭채움재는 펠렛, 과립상, 또는 펠렛-과립상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되었다. 갭채움재 펠렛 제조에는 정압축, 롤러압축, 압출-컷팅 방법 등이 사용되었으며, 이 중, 실험과 실제 현장에서의 펠렛 소요량을 감안하여 많은 나라들이 롤러압축방법과 압출-컷팅방법에 대한 기술 확보에 집중하였다. 펠렛 성형특성 실험결과, 펠렛의 건조밀도와 건전성은 수분함량, 구성물질, 제조방법, 펠렛 크기에 민감하였고, 제작 시 압축하중에는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였다. 갭채움재의 설치방법으로는 수직처분공 완충재 갭에서는 부어넣기(pouring) 방법, 붓고 다지기(pouring and tamping) 방법, 진동을 주며 부어넣기(pouring with vibration) 방법 등이 시도되었으며, 수평처분공 완충재와 처분터널의 뒷채움재 갭에서는 숏크리트 기술을 이용한 불어넣기(blowing by use of shotcrete technology) 방법과 오거를 이용한 정치 및 다지기(auger placement and compaction) 방법 등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아직 기술적으로 초기단계에 있어 앞으로도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ebXML 적용을 위한 항만물류산업 비즈니스 프로세스 설계 (Business Process Design to Apply ebXML Framework to the Port and Logistics Distribution Industry)

  • 최형림;박남규;임호섭;이현철;이창섭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209-222
    • /
    • 2002
  •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는 빠른 정보 제공, 문서 작업 감소, 원활한 정보교환, 고객 서비스 향상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어 수년간 기업 활동을 지원하는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인터넷을 통해 e-비즈니스 환경이 구현됨에 따라 EDI는 e-비즈니스를 수행하는 문서양식과 서식, 문서내용, 비즈니스 프로세스, 문서 처리방법 및 표현방법 등을 포함하는 정보활동의 총체적 개념인 ebXML(electronic business eXtensibleMarkup Language) 프레임워크(Framework)로 변화해 가고 있다. 이러한 ebXML 프레임워크를 산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BP)나 핵심 컴포넌트(CC), 협력규약 프로필(CPP), 협력규약 합의(CPA)를 등록하는 등록저장소, 메세징 시스템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EDI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항만물류산업을 대상으로 EDI 시스템의 현황 및 문제점과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 ebXML프레임워크의 핵심요소인 등록저장소에 등록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UN/CEFACT 모델링 방법론(UN/CEFACT Modeling Methodology)을 사용하여 정의하고 모델링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bXML 프레임워크를 항만물류산업에 적용하기 위해 UN/CEFACT 모델링 방법론에 따라 협업(Business Collaborations), 트랜잭션(Business Transactions), 문서흐름(Business Document Flows), 구성법(Choreography), 패턴(Pattem) 등을 UML(Unified Modeling Lanfuage)로 표현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ebXML 프레임워크를 타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메타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항만물류산업에 속한 개별기업에서 실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설계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재사용성과 확장성 있는 HL7 인코딩/디코딩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usable and Extensible HL7 Encoding/Decoding Framework)

  • 김정선;박승훈;나연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1호
    • /
    • pp.96-106
    • /
    • 2002
  • HL7 (Health Level 7)은 Healthcare 환경의 이질적 시스템간에 임상 및 관리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서 표준 인코딩 규칙에 따른 다양한 HL7 메시지 양식을 정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시지 객체 모델(Message Object Model)과 메시지 정의 저장소(Message Definition Repository)를 이용하여 유연성, 재사용성, 확장성이 탁월한 HL7 인코딩/디코딩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을 제시한다. 메시지 객체 모델은 HL7 메시지를 구성하는 객체들과 그들 간의 다양한 관계를 나타내는 추상적 HL7 메시지 양식으로서, 세그먼트, 필드, 컴포넌트 등과 같은 HL7 메시지의 표준 구성요소들 간의 논리적 관계를 반영하는 동시에 표준안에 의해 규정된 구조적 제약사항을 만족하도록 하여 준다. 메시지 객체 모델은 플랫폼 종속적인 데이터 양식과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HL7 인코더와 디코더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주기 때문에 최소의 노력으로 임의의 이질적 병원 정보 시스템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HL7 메시지들을 정의하고 있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인 메시지 정의 저장소는 표준 HL7 메시지 양식이 수정되더라도 인코더와 디코더의 구현이 영향을 받지 않게 하여 준다. 게다가, 메시지 정의 저장소는 인코더와 디코더 각각의 입력(즉, 메시지 객체 모델로 표현된 HL7 메시지 객체와 인코딩된 HL7 메시지 문자열)에 대하여 합법성 여부를 조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토타입 HL7 인코더와 디코더의 구현을 위해 JAVA를 이용하였지만, 제시된 인코딩/디코딩 프레임워크는 인코더와 디코더를 ActiveX, JAVABEAN 또는 CORBA 객체 등과 같이 독립된 표준 컴포넌트로서 쉽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기능적/비기능적 요소를 고려한 GIS 컴포넌트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IS Component Classification considering Functional/Non-Functional Elements)

  • 조윤원;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77-86
    • /
    • 2002
  • 최근 지리정보시스템은 국가단위의 대규모 응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뿐만 아니라 시설물관리시스템과 같은 소규모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가 다양하다. 또한 그 활용 분야도 경영정보시스템에서부터 카네비게이션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일상 생활에 다양한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지리정보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GIS 컴포넌트의 개발방법론 뿐만 아니라,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는 GIS 컴포넌트의 관리측면에 대한 고려가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현재 많은 GIS 컴포넌트가 그 상호운용성 및 질적면에서 탁월한 결과를 가지고 있지만, 저장소 내에서 검색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재사용성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GIS 컴포넌트가 저장소 내에 위치하기 전에 이들의 기능적 및 비기능적 요소를 반영하여 컴포넌트를 분류하고자 하였다. 특히 비기능적 요소를 정의함에 있어서 컴포넌트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GIS content-dependent metadata'와 'GIS content-independent metadata'를 식별하였다. 그리고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웹기반 GIS 컴포넌트의 등록 및 검색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향후 GIS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웹기반 GIS 컴포넌트 저장소 내에 등록된 컴포넌트와 그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목적에 부합하는 새로운 컴포넌트를 쉽게 재구성하고 수정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결국 GIS 컴포넌트의 재사용성과 상호운용성을 높여 새로운 지리정보시스템 개발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 예산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다변량통계기법을 이용한 지하저장시설 주변의 지하수질 변동에 관한 연구 (Use of Multivariate Statistical Approaches for Decoding Chemical Evolution of Groundwater near Underground Storage Caverns)

  • 이정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25-236
    • /
    • 2014
  • 다변량통계기법은 수리지구화학 자료의 분석 및 해석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 대응분석과 주성분분석을 동시에 사용하여 인위적인 활동에 의한 지하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NETPATH 프로그램 속의 WATEQ4F를 이용하여 지하수 화학성분의 분화를 계산하고 이를 다변량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지구화학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연구지역은 한반도의 남동쪽에 위치한 울산의 LPG 저장시설이다. 본 연구지역에서는 다른 저장시설에서 관찰되는 초염기성의 조성을 가지는 지하수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인위적인 영향에 의한 높은 pH를 가지는 지하수로 인해 Al의 분화특징과 탄산염의 침전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에 지하수에 영향을 주는 두 인위적인 요소(세정작용와 시멘트영향)에 의해서 수리지구화학적인 특징과 상이 어떻게 변하는 가에 초점을 두었다. 이전 연구결과와 두 통계분석을 통해 제시된 결과를 비교하여 지구화학적인 정보를 이용한 주성분분석과 대응분석인 수리지구화학 연구에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원인자 기반 스케줄링 프레임워크 (Resource Scheduling Framework based on Resource Parameter Graph)

  • 배재환;권성호;김덕수;이강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9-31
    • /
    • 2003
  • 대규모 환경의 고성능 그리드 구현을 위해서는 기존 그리드 자원 스케줄링 파라다임이 갖 성능 확장성 측면의 제한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자원 스케줄링 프레임워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 스케줄링 성능 최적화를 목표로 자원인자 그래프(Resource Parameter Graph), 자원인자 인덱스 트리(Resource Parameter Index Tree), 그리고 정적 자원 정보 리포지터리로 구성되는 자원인자 스케줄링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자원인자 그래프는 자원간의 관계 및 자원의 계층적 구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자원표현기법이며 이러한 표현을 기술하기 위한 XML 기반 자원정보 및 자원요청 기술 스키마를 설계하였다. 또한 자원인자 인덱스 트리는 자원 스케줄링의 자원탐색 및 자원할당, 상태정보 공지 등의 알고리즘의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메모리 기반 인덱스의 데이터 구조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자원인자 스케줄링 프레임워크의 구성 내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