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lementing The Shap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눈썹화장이 얼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Eyebrow Make-up on Facial Image)

  • 강은주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1-38
    • /
    • 2005
  • Make-up changes facial images. In particular, eyebrow make-up is a part of changing expression most easily and effectively. While color make-up is helpful to produce women's desired image with their favorite colors, eyebrow make-up is hidden actor to give a clear impression to others. Therefore, this study connected facial typ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deciding facial image with eyebrow, examined image of eyebrow make-up and that changed by facial types and aimed to be helpful in producing more effective facial image with eyebrow make-up considering one's facial type.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eyebrow make-up was a great factor in making better facial impression and image and complementing the weakness of facial type. h strong impression of facial type can be changed into soft shape or foolish shape in worse case depending on the types of eyebrow make-up. Eyebrow make-up shows charming image as angle of eyebrow is steep, heavy image as eyebrow is horizontal, cold image as eyebrow tail rises and simple and dull image as it lowers. Therefore, it is known that image of eyebrow make-up can be govern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angle and direction of eyebrow. Consequently, it is thought that most effective eyebrow make-up considers individual facial types, images of their eyes, noses and mouths and factors deciding angle, direction and colors of eyebrow.

  • PDF

펠릭스 누스바움 박물관의 건축 개념 구현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bodiment of Architectural Concept in Felix Nussbaum Museum)

  • 정태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49-5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y of embodying architectural concept in Nussbaum Museum for complementing present abstract and generalized research.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certain concept and Nussbaum museum through analyzing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searching its principles by concrete application of concept. The Architectural concept "Museum without exit", which Libeskind applied to Nussbaum Museum, is based on the dramatic life of Jewish painter Felix Nussbaum with relation to Holocaust, physical background of site and features of program, Libeskind Applied his architectural concept from the beginning to the most parts of the museum. His new museum subverts notions and logic of general features of existing museums. Libeskind's architectural concepts are especially applied to site plan, massing, circulation and spatial configuration. "Museum without exit" creates labyrinth like circulation based on stories including Nussbaum's life, his painting tendency and circumstances of those days. It also realize sensuous space through spatial shape and light control. Although some critics criticize that this museum is not suitable for paint collection because of overwhelming strength of architectural space. However, considering this museum's function of a kind of Holocaust museum beyond personal art gallery, Libeskind's 'museum without exit' shows effective realization of architectural concept for Jewish painter Felix Nussbaum's museum.

최적구조설계를 이용한 교정브라켓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Correction Bracket Performance Using Optimal Structural Design)

  • 이정화;권현규;권동재;박상준;전유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7-32
    • /
    • 2022
  • There has always been a demand for orthodontic treatment. Orthodontic treatment allows tooth to be arranged by flexible arch wire fixed with tooth-attached brackets. Arch wire generate constant pressure to tooth brackets which moves the teeth to proper place. When the bracket transmits force, the braced wing of the bracket may deform. Deformed tie wing will lead to lost tension of elastic ligature. Then, lacking grip between tie wing and ligature might delay the tooth movement. Furthermore, tooth brackets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make contact with in direct oral surface and this cause feeling of irritation that comes from height of tooth braces. This study suggests an optimal teethe bracket design to make up for inconvenience by shorten the height of bracket and complement the shape of bracket to reduce strain rate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As a result, new optimal design of teethe bracket indicates lower strain rate of the bracket wing and takes good effects of shorten body height in terms of convenience.

증강현실을 활용한 모바일 위치기반 응용서비스 앱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Location Based Service App Using Augmented Reality)

  • 김재필;이동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481-148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하여, 증강현실 기술 적용에 적합한 스마트폰용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으로 골프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골프는 목적지나 장애물까지의 정확한 거리와 모양 등을 정확히 알아야 하는 스포츠로서 증강현실기술 적용에 적합한 스포츠이다. 골프 스포츠의 대중화로 골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출시된 골프관련 스마트폰용 앱들은 2D 이미지와 GPS기반으로만 구축되어 현장감 사실감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골프장의 실제 환경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 시스템으로 증강현실용 오픈소스인 Mixare를 골프스포츠에 유용하게 수정 보완하여 골프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제 골프장에의 적용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40~50대 중년 여성의 패션 애플리케이션 활용 실태 및 스타일링 고려사항 연구 (Study of Fashion Application Usage Pattern and Styling Considerations of Middle-aged Women in thier 40s and 50s)

  • 이정은;김동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9-288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need for middle-aged women to consider using fashion product applications, styling, and personalized styling services. To analyze the fashion styling considerations of middle-aged women, 200 women in their 40s and 50s were surveyed. Middle-aged women usually tend to shop through home shopping, department stores, fashion soho (Small office home office) malls, and open market-type applications, and purchase fashion products more than two or three times a month, spending an average of less than 50,000 won per month. Middle-aged women consider choosing appropriate clothing based on the occasion and place, complementing the flaws of the changed body type as well as taking into account the weather in the styling process, and seek to showcase a sophisticated, luxurious, and youthful image through styling. However, they are confused and face difficulties in fashion styling, with regard to not only overall body shape but also partial body changes, such as increasing waistline, flabby thighs and arms, and decreasing hip volume. In addition, middle-aged women were looking for expert advice on styling to help them look the best. They also wanted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making a right choice amid the overflowing information related to fash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 to identifying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middle-aged women and help develop detailed consumer-tailored marketing strategies, thereby improving sales of fashion products.

17세기 전식(全湜, 1563~1642)의 조복 유물 고찰 (A Study on Jeon Sik(1563~1642)'s Jobok Relics from the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 이은주;김미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146-165
    • /
    • 2022
  • 이 연구는 2021년 경북 유형문화재 <상주 전식 조복 및 공예품 일괄>로 지정된 유물 중 전식(全湜, 1563~1642)의 조복 구성물인 3점(의·상·대대)의 유물을 17~18세기 5건(신경유, 권우, 화산군 이연, 밀창군 이직, 이익정)의 출토 조복 구성물과 문헌자료를 비교하면서 유물의 조형적 특징과 제도와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전식의 조복 구성물 3점은 색상을 확인할 수 있는 최고(最古)의 조복 유물이라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붉은 색 능직물로 제작한 상의(上衣)는 아쉽게도 가선이 소실된 상태이지만 흔적이 남아 있는 부분에 대해 기록이나 초상화 등의 자료에 근거하여 흑색 가선[黑緣]을 추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흑선과 바탕 옷감 사이에 끼우는 흰 장식선은 아직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하상(下裳)은 전3폭 후4폭 중 전3폭과 후1폭만 남은 상태이다. 그러나 후4폭의 형태를 유추할 수는 있었다. 주름 흔적으로 볼 때 허리 부분에만 주름을 잡았음을 알 수 있었다. 18세기의 밀창군, 이익정 묘 조복 상은 허리말기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으나 신경유, 권우, 화산군 이연 묘 조복 상 등 17세기 조복 상은 전상 아래로 후상이 겹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전식의 조복 상 역시 전상 아래에 5cm 전후로 후상을 겹쳐 연결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화산군 이연(李渷, 1647~1702) 이후 흑선과 바탕과의 사이에 백색 장식선을 끼운 뒤 허리부분에서 밑단까지 주름을 잡은 형태였다. 대대는(大帶)는 '경(冂)' 모양인데 소색(素色)의 주(紬)에 녹색 문사(紋紗) 선을 둘러 긴 띠를 만든 후 모서리를 접어 요(腰)와 신(紳)을 만들었다. 18세기 밀창군과 이익정, 정휘량의 조복본 초상화에서 볼 수 있는 대대의 색상과 일치하였다. 18세기 초 화산군 이연 묘 대대 이후는 요와 신 부분을 따로 재단하여 이은 형태였으나 전식의 대대를 포함한 17세기 신경유 묘, 권우 묘의 대대는 긴 띠를 접어 요와 신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허리에 매기 위해 양 끝에 가는 끈을 달았다. 전식의 조복 유물은 색상이나 형태면에서 17세기 조복제도를 구체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국조오례의 서례』·『경국대전』조복제도의간략하거나부정확한기록을보완해주는사료로서의중요한가치를지니고있다고하겠다.

다중 축 강성을 위한 축상 스프링 최적설계 연구 (A Study on Design Optimization of an Axle Spring for Multi-axis Stiffness)

  • 황인경;허현무;김명준;박태원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11-319
    • /
    • 2017
  • 철도차량의 1차 현가장치는 윤축과 대차를 구속하는 장치로써 각 방향의 강성에 따라 차량의 동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동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 방향 강성을 다르게 요구하는데 일반적인 현가장치의 형상으로는 각 방향의 강성을 다르게 설계하기란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코니칼 러버 스프링(Conical rubber spring)을 이용하여 각 방향의 강성을 다르게 설계할 수 있도록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목표값과 해석값의 RMS(Root Mean Square) 값을 이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고 최적형상을 토대로 모델의 취약부의 형상을 보완하여 최종 모델을 제안한다. 실제 모델을 개발하여 정하중 시험을 통해 목표 강성값과 약 7.7%의 편차평균을 나타내 최적화 모델의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최종 강성값을 다물체 동역학 모델에 적용하여 안정성과 곡선 주행성능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적용모델의 임계속도는 대상 모델의 주행 최고속도인 110km/h 보다 높은 190km/h이며 차륜의 마모지수는 기존대비 34% 감소하여 조향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