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Jeon Sik(1563~1642)'s Jobok Relics from the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17세기 전식(全湜, 1563~1642)의 조복 유물 고찰

  • LEE, Eunjoo (Dept. of Contents Converg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Migyung (Research Center for Cultural Industry,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이은주 (국립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 김미경 (국립안동대학교 문화산업연구소)
  • Received : 2022.03.27
  • Accepted : 2022.05.1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ystem of Jobok by comparing the three relics Ui, Sang, and Daedae, which comprised Jeon-Sik's Jobok, with the data in the literature and five excavated Jobok relics, Sin Kyung-yu, Kwon-Woo, Hwasan-Gun, Milchang-Gun, and Lee Ik-jeong, from the 17th and 18th centuries. Jeon-Sik'sJobok was designated as a Gyeongbuk tangible cultural heritage, Sangju JeonSik Jobok and Crafts, in 2021. The three components of Jeon-Sik's Jobok are valuable as historical data since they are the oldest relics confirming colors. Regrettably, the edging fabric of the Ui made of red twill was mostly lost, with only traces remaining. Based on records, it was presumed that the edging fabric was black. It was confirmed that white decorative lines were yet to be used. In Jeon Sik's Sang, only the three front widths and one rear width remain, but the shape of the four rear widths can be inferred, and the creases were held only at the waist. Eighteenth-century Sang was connected at intervals at the end of the waist. Seventeenth-century Sang was connected with a slight overlapping of the rear Sang below the front Sang;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Jeon Sik's Sang was also connected by overlapping the rear by more or less than 5cm below the front. After Hwasan-gun, the Sang was first made using black lines, then white lines were inserted, and, finally, it was pleated from the waist to the hem. The Daedae made the Yo and the Sin by folding the corners to form a 冂 shape with a single long band. The white Ju(紬) and the green yumunsa were used for the Daedae and the edges. This matches the color of the Daedae seen in the Jobok portraits of Milchang-gun, Lee Ik-jeong, and Jeong Hwi-ryang from the 18th century. In the 17th century, the Daedae made the Yo and the Sin by folding a long band like the Daedae of Jeon-Sik. After the 18th century, the Yo and the Sin were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To tie the Daedae to the waist, thin straps were attached at both ends. The relics of Jeon-Sik can be evaluated as reflecting the 17th-century Jobok system in terms of color and shape.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important historical data complementing the insufficient or inaccurate records of the Gukjoolyeui-seolye and Gyeongguk-daejeon.

이 연구는 2021년 경북 유형문화재 <상주 전식 조복 및 공예품 일괄>로 지정된 유물 중 전식(全湜, 1563~1642)의 조복 구성물인 3점(의·상·대대)의 유물을 17~18세기 5건(신경유, 권우, 화산군 이연, 밀창군 이직, 이익정)의 출토 조복 구성물과 문헌자료를 비교하면서 유물의 조형적 특징과 제도와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전식의 조복 구성물 3점은 색상을 확인할 수 있는 최고(最古)의 조복 유물이라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붉은 색 능직물로 제작한 상의(上衣)는 아쉽게도 가선이 소실된 상태이지만 흔적이 남아 있는 부분에 대해 기록이나 초상화 등의 자료에 근거하여 흑색 가선[黑緣]을 추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흑선과 바탕 옷감 사이에 끼우는 흰 장식선은 아직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하상(下裳)은 전3폭 후4폭 중 전3폭과 후1폭만 남은 상태이다. 그러나 후4폭의 형태를 유추할 수는 있었다. 주름 흔적으로 볼 때 허리 부분에만 주름을 잡았음을 알 수 있었다. 18세기의 밀창군, 이익정 묘 조복 상은 허리말기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으나 신경유, 권우, 화산군 이연 묘 조복 상 등 17세기 조복 상은 전상 아래로 후상이 겹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전식의 조복 상 역시 전상 아래에 5cm 전후로 후상을 겹쳐 연결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화산군 이연(李渷, 1647~1702) 이후 흑선과 바탕과의 사이에 백색 장식선을 끼운 뒤 허리부분에서 밑단까지 주름을 잡은 형태였다. 대대는(大帶)는 '경(冂)' 모양인데 소색(素色)의 주(紬)에 녹색 문사(紋紗) 선을 둘러 긴 띠를 만든 후 모서리를 접어 요(腰)와 신(紳)을 만들었다. 18세기 밀창군과 이익정, 정휘량의 조복본 초상화에서 볼 수 있는 대대의 색상과 일치하였다. 18세기 초 화산군 이연 묘 대대 이후는 요와 신 부분을 따로 재단하여 이은 형태였으나 전식의 대대를 포함한 17세기 신경유 묘, 권우 묘의 대대는 긴 띠를 접어 요와 신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허리에 매기 위해 양 끝에 가는 끈을 달았다. 전식의 조복 유물은 색상이나 형태면에서 17세기 조복제도를 구체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국조오례의 서례』·『경국대전』조복제도의간략하거나부정확한기록을보완해주는사료로서의중요한가치를지니고있다고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종실록(高宗實錄)」
  2. 「광해군일기중초본(光海君日記[中草本])」
  3.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4. 「대명회전(大明會典)」
  5. 「사서집(沙西集)」
  6. 「선조실록(宣祖實錄)」
  7. 「성종실록(成宗實錄)」
  8. 「세종실록(世宗實錄)」
  9. 「숙종실록(肅宗實錄)」
  10. 「영조실록(英祖實錄)」
  11. 「원종예장도감의궤([元宗]禮葬都監儀軌)」
  12. 「인조실록(仁祖實錄)」
  13. 「일성록(日省錄)」
  14. 「정조실록(正祖實錄)」
  15. 「정종실록(定宗實錄)」
  16. 「중종실록(中宗實錄)」
  17. 「태조실록(太祖實錄)」
  18. 「태종실록(太宗實錄)」
  19. 「효종실록(孝宗實錄)」
  20. 경기도박물관, 2016, 「의문衣紋의 조선 옷」, pp.9~12.
  21.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 益炡(1699~1782) 유물연구」, 「韓國服飾」 19, pp.85~148.
  22. 국립중앙박물관, 2009,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 특별전」, pp.183~184.
  23. 김동욱.고복남, 1979, 「重要民俗資料 調査報告書」 75, 文化財管理局, pp.224~225.
  24. 김미경, 2021, 「조선시대 공신초상을 통한 관복제도 연구」, 안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237.
  25. 단국대학교 石宙善紀念博物館, 2008, 「정사공신 신경유(1581~1633)公 墓 출토 복식」, 단국대학교 출판부, p.22.
  26. 단국대학교 石宙善紀念博物館, 2004, 「明選 中」, pp.78~79.
  27. 柳喜卿, 1984, 「後綬小考: 全昌君 柳廷亮의 遺物에 붙여서」, 「服飾」 8, pp.5, 11~12.
  28. 박성실, 2004, 「서울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 密昌君 服飾 考察」, 「韓國服飾」 22, pp.86~114.
  29. 박성실, 2008, 「경기도 광주출토 정사공신 신경유(1581~1633) 복식 고찰」, 「韓國服飾」 26, pp.142~143,
  30. 박성실.장정윤, 2016, 「조선시대 문무백관 조복제도 고찰: 가선대부 권우 출토 조복을 중심으로」, 「의문衣紋의 조선 옷」, 경기도박물관, pp.192~195.
  31. 山东博物館, 2012, 「孔府舊藏服飾」, 山東: 山东博物馆, p.17.
  32. 山东博物馆.孔子博物馆, 2020, 「衣冠大成」, 济南: 山东美术出版社, pp.14~15.
  33. 심연옥, 2002, 「한국직물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p.93, 123.
  34. 옥천전씨 판서공파 노동종중, 2022, 「충간공 사서 전식 종가 유물 탐구」, pp.111, 130~131.
  35. 여주박물관, 2017, 「여주박물관 전시도록」, p.124.
  36. 이은주, 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142.
  37. 장정윤, 2003,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3.
  38. 최연우, 2015, 「조선후기 관원 조복(朝服)의 구성과 형태 연구」, 「韓服文化」 18(3), pp.131~148.
  39. 최연우, 2015, 「면복」, 문학동네, p.43.
  40. 허수진, 2020, 「김이교(1764~1832) 조복 재현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0.
  41.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사이트, https://www.heritage.go.kr/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