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 based Curriculum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3초

산림교육전문가를 위한 심리학 기반 자연탐구역량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the Psychology-based Curriculum for Enhancing Naturalistic Competency in the Forest Education-related Experts)

  • 김근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17-42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산림교육전문가들이 자연(숲)과 사람(방문객)을 매개하는 연결자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심리학 기반 자연탐구역량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자연에서 자신의 감각과 정서를 자각하고 명명하며 자연 관련 기억과 자연탐구지능을 발굴하여 자연에서 몰입하고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즐거운 생활, 슬기로운 생활, 의미있는 생활의 3개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고안하였다. 전문가 자문을 통해 보완한 교육과정에 따라 구성한 교육을 산림교육전문가의 직무교육으로 시행하고 참가자를 대상으로 이해도와 활용 가능성 등을 조사하여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자연탐구역량을 정서, 인지, 실천의 3개 영역의 심리학적 개념으로 구성한 교육과정을 완성하였다. 향후 지속적 평가를 통해 본 교육과정을 발전시켜 산림교육전문가들이 자연탐구역량을 강화하여 향상된 산림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정보보호 산업분야 신규 인력 양성을 위한 NCS 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CS based Curriculum for Educating Information Security Manpower)

  • 송정호;김황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37-544
    • /
    • 2016
  • 정보보호 산업 분야에서도 신규 인력의 양성과 재직자의 지속적인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의 도입이 필요하다. 특히 정보보호 전문 인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신규 인력 양성을 위한 NCS 교육과정의 도입은 중요하다. 그러나 현행 NCS는 정보보호 산업분야에 대한 세분류가 명확히 제시 되지 않아 교육훈련 기관에서 교육과정으로 도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별 인력유형에 따라 교육과정에 도입 가능한 능력단위를 선정하였다. 능력단위 선정을 위해 우선 선행 연구들에서 제시한 필요 지식 및 기술을 고려하였고, 추가적으로 공공기관, 공기업 및 일반 기업에서 시행하고 있는 NCS 기반 채용 기준을 포함하였다. 선정된 능력단위는 직무의 중요도, 교육의 필요도에 따라 필수 능력단위와 선택 능력단위로 구분 하였고, NCS 정보통신(SW) 분야의 신 자격 경력 경로 모형에 적합한지에 대한 검증을 하였고, 최종적으로 정보보호 산업분야 신규 인력양성을 위한 NCS 교육과정 설계에 필요한 능력단위와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컴퓨터공학 교과과정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of Computer Engineering based on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권오영;장경식;민준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67-76
    • /
    • 2015
  •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은 근로자가 자신의 직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도출하여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이다. 4년제 대학의 경우 NCS를 활용한 교과과정 개편에 관한 가시적인 계획은 없는 상황이나 대학교 교과과정의 현장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고, NCS에 기반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도입등으로 4년제 대학교 교과과정에 NCS가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4년제 대학교 컴퓨터공학전공을 참조하여 NCS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NCS를 활용하여 교과과정을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ers' Job Competency Developmen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Vocational Key Competencies i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남기영;윤준상;임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30-141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는데 목적을 갖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4개 단위로 구분한 직업기초능력에 직무능력개발이 미치는 각각의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평생교육 학습자들의 교육환경의 외부적 영향을 감안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조사를 위해 서울에 소재중인 평생교육 기관의 학습자 480명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의 검증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수리능력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2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체계(F=3.021, p<.05)와 교육과정(F=6.684, p<.05)은 단일 차원에서 수리능력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3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과정(F=5.865, p<.05)만 단일차원에서 자원관리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4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의사소통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직무능력개발요인은 교수상호작용과 평생교육지원이 병행되는 과정에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이 조화되거나 혹은 교육체계, 교육과정, 평가관리 모두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었을 때, 의사소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교육과정 개발과 편성 사례 (Development of Premedical Curriculum in Inje University's College of Medicine)

  • 윤유상;윤보영;정도운;이종태;주현정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3호
    • /
    • pp.145-148
    • /
    • 2017
  • One important purpose of premedic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attain core competencies during the two-year premedical program. Since premedical curriculum is the foundation of medic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emedical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overarching curriculum of a medical school. Inje University's College of Medicine (IUCM) has attempted to integrat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nto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revised premedical curriculum aims to develop students' intrinsic competencies during premedical years. In an effort to do so, IUCM defined competencies for premedical education, analyzed and designed premedical courses according to the defined competencies, and suggested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methods.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revised premedical curriculum, students have reported both positiv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Based on the results, it will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the premedical curriculum as well as develop appropriate methods for evaluating student achievement of the defined competencies.

수학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정보처리 능력의 해석과 적용: 2015 개정 중학교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s mathematical competency: A case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김은현;김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389-403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정보처리 능력이 어떻게 해석, 적용되고 있는지 교과서 분석을 통해 탐구하였다. 중학교 1-3학년 10종 30권 교과서의 191개 과제를 정보처리 능력 하위요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하위요소별, 교과서별로 차이가 컸으며 공통적으로 '공학적 도구 및 교구 활용'에 매우 치우쳐 있었다. 과제 유형별로도 해석과 적용 방법의 다양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처리 능력 함양을 위한 개선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과학교과 역량의 다면적 이해와 쟁점의 탐색: 일반 핵심역량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Exploring Multi-faceted Understandings and Issues Regarding Science Subject Matter Competenc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General Core Competency)

  • 이경건;박정우;이선경;홍훈기;심한수;신명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94-118
    • /
    • 2019
  •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담론의 동향으로부터 과학과 핵심역량의 다면적 이해를 위한 쟁점을 탐색하고, 일반적 핵심역량과 과학 교과역량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는 행동주의, 인문주의, 그 포괄적 종합을 중심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후 OECD의 역량 관련 프로젝트(DeSeCo; OECD Education 2030),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GSS),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외에서 핵심역량 및 교과역량에 관하여 작성된 주요 문헌 15건이 제시하는 105개의 일반역량 및 45개의 과학역량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역량의 정의 및 범주화를 위한 쟁점에 관하여, 일관된 체계 내에서 제시되는 역량들이 일종의 포괄성을 지닌다고 할 때, 역량의 적절한 개수의 문제, 역량의 적절한 층위 문제, 개별 역량들이 얼마나 고유하고 독립적이어야 하는가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둘째, 문헌별 역량 요소들의 경향성으로서 역량 항목들이 개인적-미시적 차원, 공동체적-중시적 차원, 사회적-거시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제시됨을 확인하였으며, 일반역량과 교과역량 모두에서 중시적 차원이 강조되고 있음을 밝혔다. 셋째, 일반역량과 교과역량간 관계에 있어서 일반역량은 거시적 차원을 강조하고 교과역량은 미시적 차원을 강조하는 경향에서 간극이 발생함을 밝힘으로써, 양자가 서로 맞닿을 수 있는 부분은 중시적 차원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롯한 국가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이해 및 추후 개발을 위하여 적지 않은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의 성과바탕교육과정 개발실례 및 결과 소개 (Outcome-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t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종태;이병두;노혜린
    • 의학교육논단
    • /
    • 제15권1호
    • /
    • pp.31-38
    • /
    • 2013
  • This paper focuses on the outcome-based curriculum of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o describe our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Starting in 2006, we have revised the curriculum based on the competency-based clinical presentation curriculum. We stated clearly the learning outcomes from the social needs and educational goal of our university. We defined 8 exit outcomes and specified phase outcomes, course outcomes, lesson outcomes, and outcome objectives. By 2012, we identified 128 clinical presentations and 149 basic scientific concepts. Various evaluation and assessment methods an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ere assigned to each outcome. Problem-based learning, standardized patient practice, and learning portfolios are the main strategies of our curriculum. We have performed a progress test to assess the level of achievement of students' outcomes. We have also collected feedback from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about the curriculum, including every lesson, course, and the overall curriculum. To maintain this change of the curriculum, we reorganized the curriculum committee, educational faculty and teams, and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To fine tune this curriculum, we have held three 3-day workshops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weekly meetings. We believe this is just the beginning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Inje University. Further upgrades will be necessary to continue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교육훈련과정 설계방안 (A Study on Desig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with Key Competencies)

  • 구자길;이재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109-122
    • /
    • 2007
  • The original element for development in current society is recognized as knowledge, technology and information. It has been developed and improved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 through the occupational standards that closely connected system among work,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in every country. This study is for development of the occupation standards that was standardized the required competency element, performance criteria, range statement, assessment guideline in machinery industry, also developing the education training program based on competency to be able to apply department of relevant machinery industry in vocational high school. Occupational standards and key competencies were developed by expert in field engineer and verified about contents and level system by questionnaire and interviewing. Education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on SCID model, and the effectiveness and suitability of the training program was verified by teacher, professor and student belonging to training organization.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가정 교과서 활동과제의 민주시민역량 분석 (Analysis of the democratic civic competencies of activity tasks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ccording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한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9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활동과제에 나타난 민주시민역량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 6종(총 12권)의 활동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가지 민주시민역량군 중에서는 '시민성 역량군'의 내용이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민주시민역량은 '신뢰와 가치(F)' 역량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교육과정 영역별로는 '인간 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핵심 역량별로는 '관계'에서, 내용 요소별로는 '가족의 의사 소통과 갈등 관리'에서 민주시민역량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출판사별로는 'KH' 교과서의 민주시민역량 활동과제 빈도가 가장 높았다. 가정과교육과 민주시민역량 사이의 관련성으로 볼 때, 앞으로 가정교과를 통해 학생들이 가정의 삶에서 민주시민역량을 키울 수 있는 수업 실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