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ative

검색결과 19,352건 처리시간 0.042초

비교교육학과 교육철학: 비교교육철학을 지향하며 (Comparative Educ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Toward a Philosophical Comparative Education)

  • 유재봉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117-133
    • /
    • 2018
  • 이 논문은 교육철학과 비교교육학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상호 관련되어 있다는 점과 비교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교육철학과 비교교육학의 관계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교육철학과 비교교육이 어떻게 상호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서양과 한국의 비교교육학계에서 주요 교육철학적 접근의 동향을 고찰하며, 마지막으로 비교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교육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였다. 교육철학은 비교학적 차원이 필요하고, 비교교육학은 철학적 차원이 요청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서양에서 공통적으로 비교교육학 연구 분야에서 교육철학적 접근이 간과되어 왔다. 교육철학자의 관점에서 비교교육학과 교육철학의 상호발전을 위해서는 '비교교육철학'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철학자는 단순히 교육철학적이거나 비교교육학적인 성격을 띤 연구에서 벗어나서, 교육철학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비교교육학의 지평을 확대하고 외연을 넓힐 수 있는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세계적 동향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 대학의 비교교육학 교육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s of Comparative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Korea and World Wide)

  • 현경석;박애리
    • 비교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1-26
    • /
    • 2008
  • 이 연구는 비교교육학의 개념과 중요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비교교육학의 역사와 발전과정, 그리고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교교육학의 현황과 실태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비교교육학은 다른 교육학의 세부전공들과 비교하여 나름대로 독자적인 학문분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도 대학에서 독립적인 전공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는 않으나, 최근 국제화 추세와 더불어 외국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 예컨대 외국의 교육제도, 교육정책, 교육개혁 동향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중요성과 그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동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에 대한 전반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한국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둘째, 한국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을 조사하였다. 현황 조사는 다음과 같은 다섯 항목 1) 4년제 대학 중 비교교육 관련 강좌를 제공하는 대학(수), 2) 비교교육 관련 강좌의 수업목표, 3) 커리큘럼 및 강좌명, 4) 강의 방법과 교재현황, 5) 한국대학의 비교교육 강좌와 관련된 문제점 및 제언 등으로 나누어, 전국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 비교교육학의 실태에 대한 외국과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외국 대학들의 비교교육학 발전과정과 교육동향을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동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에 대한 첫 조사연구로서,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강좌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재확인과 함께 외국 대학의 비교교육학 발전현황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우리나라 비교교육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비교교육학과 교육사학: 비교교육학사 서설(敍說) (The Comparative Education and History of Education: An Introductory Approach to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 한용진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243-263
    • /
    • 2018
  •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학사적(學史的) 정리를 하는데 가장 적합한 학문적 방법론은 역사학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교육사학의 관점에서 비교교육학이라는 학문을 조명하며, 비교교육학사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접근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학문에는 그 학문의 역사를 정리하는 것이 이를 전공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도, 그리고 학문 자체의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비교교육학의 연구방법은 '비교연구'뿐만 아니라, 개별적 '지역연구'도 포함하는 것이지만, '비교교육학사'라는 시간계열에 의한 연구를 통해 학문적 깊이를 더 할 수 있다. 둘째, 비교교육학의 시기별 발전과정은 1단계 비교교육학 전사(前史), 2단계 '맹아기', 3단계 '성립기', 그리고 4단계 '발전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세계화 시대를 맞아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확장 가능성은 매우 높다는 점에서 추가적으로 '확장기'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보를 위해서도 '비교교육학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비교교육학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함께 향후 비교교육학의 전망과 과제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비교 광고의 효과와 규제에 대한 연구: '부당한 비교'의 정의와 적용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s and Regulations of Comparative Advertising: Focusing on the Definition and Application of Unfairly Comparative Advertising)

  • 조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70-27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교 광고'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법률적 차원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부당한 비교 광고'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비교 광고의 효과 연구들에 대해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부당하게 비교하는 광고'에 대한 현행 규제 법률인 '표시 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비교 표시 광고에 관한 심사 지침' 중 '부당하게 비교하는 표시 광고'의 규정 내용을 검토하여 그 법률적 정의를 분명히 하였다. 그리고 '부당하게 비교하는 광고'에 대한 과거의 규제 법률인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서는 비교 광고를 금지하였었다는 주장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현행 및 과거의 규정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과거의 규제 법률이 적용된 심결 사례 354건을 질적으로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당하게 비교하는 표시 광고에 대한 과거 및 현재의 두 법률상의 판단 기준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에서의 비교 광고 금지 여부에 대한 논쟁에 대해 비교 광고는 과거의 법률에서도 금지된 적이 없었으며 또한 과거 및 현행 법률상의 비교 광고의 의미와 부당한 비교 광고의 판단 기준에는 변화가 없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국내 교육과정 관련 비교교육 연구 동향: 「비교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rend in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 Curriculum in the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from Postcolonial Perspectives)

  • 소경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23-4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비교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국내 교육과정 관련 비교교육 연구의 동향을 검토하고, 그 특징을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995년부터 2016년까지 "비교교육연구"에 게재된 교육과정 관련 논문 61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 관련 비교교육 연구는 주로 과거 식민 지배를 받았던 일본뿐만 아니라 북미와 유럽 중심의 서구 국가들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관련 정책이나 내용을 벤치마킹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 많이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의 국적인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이 연구에서는 비교교육 연구 대상국의 확대, 비교교육의 식민성 극복, 비교교육 연구자의 존재론적인 성찰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한국 FTA 발효 후 무역집중과 비교우위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Trade Intensity and Comparative Advantage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Korea's FTA)

  • 안태건;김성룡
    • 무역상무연구
    • /
    • 제77권
    • /
    • pp.195-214
    • /
    • 2018
  •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rade with Korea and FTA partner countries, the Trade Intensity Index and the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using panel gravity model. In the case of trade, trade intensity index has been strengthened according to each FTA enforecement, and in some cases, trade inensity has been weakened.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advantage index, there was a case in which the comparative advantage was strengthened or the comparative advantag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according to each Chapter of HS code. This means that the Korea's FTA enforcement effect has not directly affected the increase of the trade intensity and the increase of the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The panel gravity model using the trade intensity and the comparative advantage index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trade volume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the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 PDF

세계 각국의 비교광고 규제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Comparative Advertising Regulation among Nations)

  • 리대룡;이현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6권
    • /
    • pp.209-257
    • /
    • 2004
  • 본 연구는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비교광고에 관한 다양한 규제들의 내용과 그 특성을 고찰하고 현재 한국의 비교광고 규제의 특성을 도출해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정확하게 도출해 내기 위해 현재 세계 각국의 비교광고 규제의 특성을 고찰하고 보드윈(Boddewyn)의 1978년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어려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각국의 비교광고에 대한 규제를 살펴보면, 점차적으로 비교광고에 대한 합법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과거의 규제와 비교하여 비교광고에 대한 허용범위와 가이드라인을 법적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현재 한국의 비교광고에 관한 법적 규제 내용에는 과거와 비교하여 좀 더 구체적인 기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고, 이는 유럽 국가들의 가이드라인의 수준과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항공레이저 측량 자료의 해상도에 따른 DEM 오차 비교평가 연구 (Comparison and Evaluation on DEM Error by the Resolution of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 이근상;고덕구;채효석;신영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3-42
    • /
    • 2003
  • 최근 높은 수직정확도를 갖는 항공레이저측량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이를 이용한 DEM(digital elevation model) 생성, 건물추출, 홍수위험지도 제작, 3차원 도시모델 구축 등의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레이저측량으로부터 취득한 원시자료로부터 생성한 해상도별 DEM의 표준편차를 계산하기 위해 점비교법, 등고선비교법 그리고 1/5,000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였다. 비교결과 점비교법이 등고선비교법보다 낮은 DEM 표준오차를 나타냈으며, 이것은 등고선비교법이 점비교법에 비해 조밀한 격자 연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1/5,000 수치지형도는 평균수평거리인 25.4m 이하에서는 점비교법과 등고선비교법에 비해 높은 오차를 보였으며, 25.4m 이상에서는 등고선비교법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Xylazole inhibits NO-cGMP pathway in fetal rat nerve cells

  • Wang, Xinyu;Wu, Yue;Liu, Lin;Bai, Hui;Zhang, Zhiheng;Zhao, Mingchao;Ma, Tianwen;Song, Xiaopeng;Jia, Lina;Lv, Liangyu;Yu, Yue;Xu, Xinyu;Chen, Hong;Gao, Li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16.1-16.13
    • /
    • 2022
  • Background: Xylazole (Xyl) is a veterinary anesthetic that is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similar to xylazine. However, the effects of Xyl in vitro remain unknown.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esthetic mechanism of Xyl using fetal rat nerve cells treated with Xyl. Methods: Fetal rat nerve cells cultured for seven days were treated with 10, 20, 30, and 40 ㎍/ mL Xyl for 0, 5, 10, 15, 20, 25, 30, 45, 60, 90, and 120 min. Variations of amino acid neurotransmitters (AANTs), Nitric oxide-Cyclic GMP (NO-cGMP) signaling pathway, and ATPase were evaluated. Results: Xyl decreased the levels of cGMP and NO in nerve cells. Furthermore, Xyl affected the AANT content and Na+-K+-ATPase and Ca2+-Mg2+-ATPase activity in nerve cell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Xyl inhibited the NO-cGMP signaling pathway in nerve cells in vitro.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new evidence that the anesthetic and analgesic effects of Xyl are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the NO-cGMP signaling pathway.

광고유형, 브랜드 전형성, 인지욕구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Advertisement Type, Brand Typicality and Need for Cognition on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Intention - Focused on Outdoor Apparel Brands -)

  • 정미연;황선진
    • 복식
    • /
    • 제66권8호
    • /
    • pp.1-1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mparative advertisement brand typicality and need for recognition in outdoor apparel market. This study was created with a mixed factorial design of 2 (Advertisement types: Comparative advertisement vs. General advertisement) X 2(Brand Typicality: High Brand vs. Low Brand) X 2 (Need for Cognition: High vs.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comparative advertisement had a greater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intentions in comparison to general advertisements. Second, while comparative advertisement wa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advertisement for outdoor apparel brands with low typicality. Third, consumers with higher need for cognition showed a preferre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tention when met with comparative advertising in contrast to general advertisement. Fourth, when consumers with higher needs for cognition were exposed to advertisement for brands of lower typicality, there was higher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 intention with comparative advertisement in comparison to general advertisement. This means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may be effective for the new garment brand or the garment brands having low typicality to secure the cognition quickly from the consumers having high need for co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