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2초

훈련자료 내 재배지역의 비율에 따른 딥러닝 모델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Deep Learning Model according to the Ratio of Cultivation Area in Training Data)

  • 성선경;최재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1호
    • /
    • pp.1007-1014
    • /
    • 2022
  • 차세대중형위성(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 CAS500)은 식생, 산림, 농업 등의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영역에 대한 빠른 위성영상의 취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차세대중형위성을 통하여 취득된 위성영상을 농업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위성영상 기반 작물재배지역 추출 기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들어 딥러닝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서, 작물재배지역 추출을 위한 딥러닝 모델의 개발 및 훈련자료 생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PlanetScope 위성영상과 팜맵을 이용하여 합천군 지역의 양파 및 마늘 재배지역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특히, 효과적인 모델의 학습을 위하여 작물재배지역의 비율에 따른 모델 성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딥러닝 모델은 Fully Convolutional Densely Connected Convolutional Network (FC-DenseNet)을 작물재배지역 분류의 목적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실험결과, 훈련자료 내 작물재배지역의 비율이 딥러닝 모델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토관측위성영상 처리 및 활용기술 연구개발 현황 (Current Research and Development Status for CAS 500-1/2 Image Processing and Utilization Technology)

  • 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2호
    • /
    • pp.861-866
    • /
    • 2020
  • 2021년에 발사예정인 국토관측위성의 처리와 활용을 위한 '국토위성정보 수집 및 활용기술개발' 과제가 2018년 7월부터 시작되어 2020년 12월에 종료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상기 과제를 수행하며 발표한 논문들과 본 특별호에 수록한 논문들을 소개하고 과제의 성과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하고자 한다.

Matching Performance Analysis of Upsampled Satellite Image and GCP Chip for Establishing Automatic Precision Sensor Orientation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 Hyeon-Gyeong Choi;Sung-Joo Yoon;Sunghyeon Kim;Taejung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03-114
    • /
    • 2024
  • The escalating demands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necessitate the dissemination of geospatial data with superior accuracy.Achieving precise positioning is imperative for mitigating geometric distortions inherent in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However, maintaining sub-pixel level accuracy poses significant challenges within the current technological landscape. This research introduces an approach wherein upsampling is employed on both the satellite image and ground control points (GCPs) chip, facilitating the establishment of a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precision sensor orientation. The ensuing analysis entails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matching performance.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1 (CAS500-1), boasting a resolution of 0.5 m, serves as th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Correspondingly, GCP chips with resolutions of 0.25 m and 0.5 m are utilized for the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regions, respectively. Results from the experiment reveal that concurrent upsampling of satellite imagery and GCP chips enhances matching performance by up to 50% in comparison to the original resolution. Furthermore, the position error only improved with 2x upsampling. However,with 3x upsampling, the position error tended to increase. This study affirms that meticulous upsampling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and GCP chips can yield sub-pixel-level positioning accuracy, thereby advancing the state-of-the-art in the field.

농림위성 활용 수종분류 가능성 평가를 위한 래피드아이 영상 기반 시험 분석 (A Study on Pre-evaluation of Tree Species Classification Possibility of CAS500-4 Using RapidEye Satellite Imageries)

  • 권수경;김경민;임중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91-304
    • /
    • 2021
  • 기후변화나 여러 환경문제들로부터 지속 가능한 산림자원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해 임상도의 지속적인 갱신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광역적인 산림 원격탐사의 필요성에 따라 차세대 중형위성 4호의 사업이 확정되어 2023년 발사 예정에 있다. 농림위성(차세대 중형위성 4호)는 5 m급 공간해상도와 Blue, Green, Red, Red Edge, Near Infra Red 총 5개 밴드를 가진다. 본 연구는 농림위성의 발사 및 활용에 앞서 농림위성과 유사한 사양을 가지는 RapidEye를 이용하여 위성 기반 수종분류의 가능성을 모의 평가하기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춘천 선도산림경영단지를 연구 대상지로 하였으며, RapidEye 위성 영상기반 모의 수종분류는 생육기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분광정보와 생육기와 비생육기의 NIR 밴드로부터 추출한 GLCM 질감특성 정보가 활용되었고, 이를 입력데이터로 하여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침엽수종 3종(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활엽수종 5종(신갈나무, 굴참나무, 자작나무, 밤나무, 기타활엽수), 침활혼효림 총 9종으로 임상을 분류하였다. 분류 정확도는 임상도와 분류 결과를 대조하여 산출하였으며, 분류 정확도는 분광정보만 사용한 경우 39.41%, 분광정보과 질감정보를 모두 사용한 경우 69.29%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다중시기 분광정보 및 질감정보의 활용을 통해 5 m 해상도의 위성영상으로부터 수종분류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반영한 추가 변수를 대입하여 농림위성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농림위성을 위한 기계학습을 활용한 복사전달모델기반 대기보정 모사 알고리즘 개발 및 검증: 식생 지역을 위주로 (Machine Learning-Based Atmospheric Correction Based on Radiative Transfer Modeling Using Sentinel-2 MSI Data and ItsValidation Focusing on Forest)

  • 강유진;김예진;임정호;임중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3호
    • /
    • pp.891-907
    • /
    • 2023
  • 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4 (CAS500-4) is scheduled to be launched to collect high spatial resolution data focusing on vegetation applications. To achieve this goal, accurate surface reflectance retrieval through atmospheric correction is crucial. Therefore, a machine learning-based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was developed to simulate atmospheric correction from a radiative transfer model using Sentinel-2 data that have similarspectral characteristics as CAS500-4. The algorithm was then evaluated mainly for forest areas. Utilizing the atmospheric correction parameters extracted from Sentinel-2 and GEOKOMPSAT-2A (GK-2A), the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was developed based on Random Forest and 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 (LGBM). Between the two machine learning techniques, LGBM performed better when considering both accuracy and efficiency. Except for one station, the results ha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more than 0.91 and well-reflected temporal variations of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i.e., vegetation phenology). GK-2A provides Aerosol Optical Depth (AOD) and water vapor, which are essential parameters for atmospheric correction, but additional processing should be required in the future to mitigate the problem caused by their many missing values. This study provided the basis for the atmospheric correction of CAS500-4 by developing a machine learning-based atmospheric correction simulation algorithm.

Science Objectives and Design of Ionospheric Monitoring Instrument Ionospheric Anomaly Monitoring by Magnetometer And Plasma-probe (IAMMAP) for the CAS500-3 Satellite

  • Ryu, Kwangsun;Lee, Seunguk;Woo, Chang Ho;Lee, Junchan;Jang, Eunjin;Hwang, Jaemin;Kim, Jin-Kyu;Cha, Wonho;Kim, Dong-guk;Koo, BonJu;Park, SeongOg;Choi, Dooyoung;Choi, Cheong Rim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9권3호
    • /
    • pp.117-126
    • /
    • 2022
  • The Ionospheric Anomaly Monitoring by Magnetometer And Plasma-probe (IAMMAP) is one of the scientific instruments for the 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3 (CAS 500-3) which is planned to be launched by Korean Space Launch Vehicle in 2024. The main scientific objective of IAMMAP is to understand the complicated correlation between the equatorial electro-jet (EEJ) and the equatorial ionization anomaly (EIA)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the dynamics of the ionospheric plasma in the dayside equator region. IAMMAP consists of an impedance probe (IP) for precise plasma measurement and magnetometers for EEJ current estimation. The designated sun-synchronous orbit along the quasi-meridional plane makes the instrument suitable for studying the EIA and EEJ. The newly-devised IP is expected to obtain the electron density of the ionosphere with unprecedented precision by measuring the upper-hybrid frequency (fUHR) of the ionospheric plasma,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satellite geometry, the spacecraft potential, or contamination unlike conventional Langmuir probes. A set of temperature-tolerant precision fluxgate magnetometers, called Adaptive In-phase MAGnetometer, is employed also for studying the complicated current system in the ionosphere and magnetosphere, which is particularly related with the EEJ caused by the potential difference along the zonal direction.

특징점 추출기법을 이용한 접근불능지역의 위성영상 GCP 칩 자동추출 (GCP Chip Automatic Extraction of Satellite Imagery Using Interest Point in North Korea)

  • 이계동;윤종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11-218
    • /
    • 2019
  • 국토교통부에서는 2019년과 2020년에 차세대 중형위성 1호 및 2호 기를 발사하여, 지구환경 모니터링 및 접근불능지역에 대한 수치지도 제작에 활용하고자 하고 있다. 차세대 중형 위성을 통해 수집된 위성영상정보는 지구환경 모니터링, 지형도 제작, 재난재해 예방을 위한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위성영상의 위치정확도 확보가 중요하며, 위성영상의 정밀기하수립을 위해 지표상의 정확한 지상기준점(GCP: Ground Control Point)을 사용하여 정밀 센서 모델을 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활용을 위해 정사영상 구축을 위한 단계별 자동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위성영상 GCP 칩의 DB (Data Base)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의 정밀기하수립을 위하여 GCP를 자동 추출하는 다양한 기법들을 분석하여 최적의 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농림위성 산림분야 식생지수 검보정 사이트 설계 (Design of Calibration and Validation Area for Forestry Vegetation Index from CAS500-4)

  • 임중빈;차성은;원명수;김준;박주한;류영렬;이우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1-326
    • /
    • 2022
  • 우리나라 산림의 효율적인 관리와 산림 모니터링을 위해 산림청은 농림위성을 개발 중이며 2025년 발사 예정이다. 농림위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36종의 농림위성 산림분야 활용산출물 개발을 진행 중이다. 원격탐사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된 산출물들은 지상검증이 요구되며 해당 산출물들에 대한 품질 모니터링 결과를 지속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국내 최초로 산림분야 활용 위성이 개발되는 상황이라 국내에는 공식적인 산림분야 활용 산출물 검보정 사이트가 부재하다. 이에 저자들은 국제기준에 맞춰 농림위성 산림분야 활용산출물 검보정을 위한 검보정 사이트를 설계하였다. 또한 전국적으로 검보정 사이트를 설치하기 위해 적정 센서를 선택하여 해당 센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지상 관측데이터와 Sentinel-2 영상과의 산림 산출물에 대한 오차가 ±5% 이내로 관측되어 해당 센서를 활용하여 전국적으로 확장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한국형발사체에 기반한 소형발사체의 스테이징 및 투입성능 분석 (Staging and Injection Performance Analysis of Small Launch Vehicle Based on KSLV-II)

  • 조민선;김재은;최정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5-16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발사체 2, 3단을 수정하여 500 kg 급 차세대 중형위성(CAS500)을 지구 저궤도(LEO)에 단독 발사할 수 있는 2단형 소형발사체를 설계하였다. 한국형발사체는 3단 발사체이므로 소형발사체로의 활용을 위해서는 단별 속도증분이 새롭게 분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설계 변수로는 단 질량비, 구조비와 1, 2단 엔진 옵션을 고려하였으며, 이에 대한 단 설계 및 궤적해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검토로부터 500 kg 급 위성의 LEO 단독 발사가 가능한 소형발사체 설계변수의 조합을 확인하였다.

발사환경에 대한 차세대 중형위성 전자광학 카메라 제어용 전장품의 구조건전성 평가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of Electro-Optical Camera Controller Box of CAS500 Satellite under Launch Environments)

  • 이명재;김현수;이덕규;오현웅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98-105
    • /
    • 2018
  • 위성에 탑재되는 전장품의 경우 발사 진동환경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인증모델 제작 전 박스 레벨에서 설계요구조건에 대한 해석적 검증이 요구된다. 또한, 위성 전장품에는 다양한 실장 형태의 고집적 소자가 적용되기 때문에 솔더 접합부(Solder Joint)의 구조건전성 분석을 통한 신뢰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중형위성 광학 탑재체 제어기의 일부인 CCB(Camera Controller Box)에 대한 구조 설계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박스 레벨에서 모드 해석 및 준정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CCB 주요 소자의 안전성 분석을 위해 피로파괴 예측 이론에 기반한 구조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소자 유한 요소 상세 모델 구축을 통한 랜덤 등가 정적 해석을 실시하여 전장품의 구조 건전성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