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ting time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19초

광역권 통근시간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방안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by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Commuting Hours in the Metropolitan Area)

  • 윤병조;김연규;임한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729-736
    • /
    • 2023
  • 연구목적:광역권 통근시간 만족도 향상요인 분석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방안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광역통근을 시행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광역통근시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권역별 광역통근시간에 대한 통근만족도의 경우, 수도권은 평균 통근시간이 높은 만큼 통근시간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비수도권은 평균 통근시간이 낮은 만큼 통근시간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향후 정부는 광역통근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급행철도 및 광역버스를 신설 또는 개선하고, 승용차의 이용시간 단축을 위한 도시고속도로 등을 건설하여 통근시간을 줄이는 양적지표도 중요하지만 통근시간의 만족도를 높이는 질적 지표가 더욱 중요하다. 즉, 통근시간이 길어도 그 시간이 만족스러우면 삶의 만족도 역시 높아지므로 삶의 질이 중요한 시대를 맞이하여 통근시간이라는 단순 지표보다는 통근시간 만족도까지 개선시킬 필요가 있어 통근시간에 대한 질적 및 양적 측면 모두 개선이 필요하다.

사업장 출.퇴근 재해의 산재보험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to an Commuting-Time Accident)

  • 김병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3-79
    • /
    • 2010
  • Currently, in Korea, an accident that takes place during a worker's commuting is generally not considered as work-related accident. However, there are several exceptions such as an accident that occurs in commuting while using transportation provided by an employer, an accident that happens during commuting time that can be regarded as part of a business activity (e.g. tending to work instructed by an employer on the way to or from work), and an accident that is caused by insufficient facility management by an employer. It is even more so as the workers' commuting distance increases with expanding scale of a city, and traffic accident occurs more frequent. Social risk of commuting-time accident is on the rise.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an important social issue to explore how to protect workers from commuting-time accident.

자율주행시대에 통근시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Commuting Time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 장재민;천승훈;이숭봉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72-185
    • /
    • 2021
  • 자율주행시대가 우리 삶에 다가오면서 삶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자율주행자동차가 등장하면 운전자의 부담을 줄임으로 차내에서 생산적 가치가 확장되는 만큼 이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개발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는 경기도 직장인 중 승용차를 이용하는 통근자를 대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가 통근시간 및 통근시간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통근시간 및 통근시간 만족도는 비선형 관계(V)가 도출되었다. 여기서, 자율주행시대에 영향받을 가능성이 높은 비선형 구간인 통근시간 70분 이상영역을 중심으로 이항로지스틱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율주행시대의 영향변수로는 건강도, 수면시간, 근무시간, 여가시간 등이 도출되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은 이러한 변수를 개선시킬 가능성이 높으므로 장거리 통근자의 통근시간 만족도는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

맞벌이 주말부부의 생활시간 분석 (Time Use Survey of Dual-Career Commuting Couples)

  • 문숙재;윤소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2호
    • /
    • pp.213-220
    • /
    • 2003
  • In this study, I analyzed dual-career commuting couples time use. Concretely, this study compared the husband with the wife on the becoming a commuter family, the living apart on weekdays. And it examined time use on weekdays and weekends by the time amount of each activities and the ratio of actor on each hour. The survey participants included 131 married people who were dual-career commuting couple and who were maintained separate residence and work plac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ekday separation of the dual-career commuting couples is largely due to career. This kind separation is mostly due to sociostructural labor market factor and individual factor to increasing working women. Second, 94.6%(53) of male participants were resident living apart from their family on weekdays. Third, the most wives mentioned some kind of emotional liberation such as freedom on weekdays. Finally, there was gender difference in the time spent on each activities when dual-career commuting couples are living together and they are apart. Especially the most gender difference on weekdays is household work time and leisure tim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Commuting Time and Workers' Anxiety and Insomnia

  • Seong-Uk Baek;Jin-Ha Yoon;Jong-Uk Wo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1호
    • /
    • pp.100-106
    • /
    • 2023
  • Background: Our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work-family conflict (WF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commutes and workers' anxiety and insomnia. Methods: Our study measured the two dimensions of WFC, time-related, and strain-related, which were considered multiple mediators. The mediating effect of WFC on anxiety and insomnia was investigated by decomposing the total effect into a direct effect (long commuting time → anxiety or insomnia) and an indirect effect (long commuting time → WFC → anxiety or insomnia). The combined indirect effect (joint indirect effect) of strain-related WFC and time-related WFC was estimated. The effects were presented as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Results: The direct effect of 120 min or longer of commuting time was 1.39 (95% CI: 1.17-1.65) times increase in the odds of anxiety and 1.64 (95% CI: 1.41-1.90) times increase in the odds of insomnia than those whose commuting time was less than 60 min. In the case of indirect effects, those whose commuting time was 120 min or longer had 1.13 times higher odds of anxiety (95% CI: 1.07-1.18) and 1.12 times higher odds of insomnia (95% CI: 1.07-1.17) via WFC. The joint indirect effects accounted for 26.4% and 18.5% of the total effect on anxiety and insomnia, respectively. The longer the commuting time, the stronger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Conclusions: Our findings highlight the mediating effect of WF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commuting times and workers' anxiety and insomnia.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통근시간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Analysis of Impact on Commuting Behavior in Urban and Rural Areas using Travel Diary Survey Data)

  • 전정배;박미정;김상민;김솔희;권성문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77-87
    • /
    • 2019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mmuting time and modes in urban and rural areas using household traffic survey data.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ommuting time using passenger car in rural areas was 1.6 times longer than those in urban areas. When citizen use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commuting time in urban and rural areas. Among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commuting time in rural areas (13 factors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that public transportation, managers and office workers, functional and device managers, and passenger car. In urban areas, the highly influential factors were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among the 16 affecting factors which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ommuting time in rural are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 types, but the commuting time of full-time workers decreased. This phenomenom means that occupation groups with the full-time system prefer residential areas in the densely populated town.

Virtual Go to School (VG2S): University Support Course System with Physical Time and Space Restrictions in a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 Fujita, Koj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137-142
    • /
    • 2021
  •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provide online course content. The main methods of providing class contents are on-demand and live-streaming. This means that students are not restricted by time or space. The advantage is that students can take the course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unlike commuting students, there is no commuting time to the campus, and there is no natural process required to take classes. However, despite this convenient situation, the attendance rate and graduation rate of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tend to be lower than that of commuting universities. Although the course environment is not the only factor, students cannot obtain a bachelor's degree unless they fulfill the graduation requirements. In both commuter and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taking classes is an important factor in earning credits. There are fewer time and space constraints for distance learning students than for commuting students. It is also easy for distance learning students to take classes at their own timing. There should be more ease of learning than for students who commute to school with restrictions. However, it is easier to take a course at a commuter university that conducts face-to-face classes. I thought that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commuting to school was a part of the process of taking classes for commuting students. Commuting to school was thought to increase the willingness and motivation to take classes. Therefore, I thought that the inconvenient constraints might encourage students to take the course. In this research, I focused on the act of commuting to school by students. These situations are also applied to the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ents have physical time constraints. To achieve this goal, I will implement a course restriction method that aims to promote the willingness and attitude of students. Therefore, in this paper, I have implemented a virtual school system called "virtual go to school (VG2S)" that reflects the actual route to school.

수도권 신도시 건설과 서울 거주자의 통근통행패턴 변화 (Emergence of New Towns and Changes in Commuting patterns of Seoul Residents)

  • 김현우;김호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37-4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인구집중 해소와 함께 자족기능을 갖춘 도시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도권 1기 신도시 건설계획이 수립된 이후 20여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그간 서울시 거주자의 통근통행패턴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통근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판별하기 위해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초과통근 실태를 분석하여 서울시의 직주 불일치 정도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통근자들은 소득이 높아질수록 통근시간이 늘어나다가 일정 수준에 다다르면 통근시간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서울시의 통근비용이 최소화되는 경우에 비해 상당한 수준의 초과통근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서울의 직주 불일치가 과거에 비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나나, 행정구별로는 여전히 직주 불일치도의 격차가 심하였다. 수도권 신도시 건설 이후 서울 거주자들의 통근패턴 변화와 현재의 직주불일치 정도를 파악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비효율적 통근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가능케 하는 정책이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도권 도심항공 모빌리티 수직이착륙장 위치 선정, 경로 설정 및 운행 소요시간 분석 (Selection of Vertiport Location, Route Setting and Operating Time Analysis of Urban Air Mobility in Metropolitan Area)

  • 오재석;황호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358-367
    • /
    • 2020
  • 수도권 지역 직장인들의 평균 출퇴근 시간이 증가하고 도로의 교통혼잡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교통수단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도심항공 모빌리티(UAM)가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구, 교통량, 출퇴근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UAM 수직 이착륙장 위치를 선정하고 운행 경로를 설정하였다.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의 유형을 분석해 UAM에 적합한 추력편향형과 멀티콥터형 eVTOL을 선정하여 설정된 경로를 운행하였을 때 소요시간을 계산하였다. 또한 타 교통수단을 이용하였을 때 소요시간을 UAM 이용 시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UAM을 이용한다면 출퇴근 시간이 대폭 줄어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 특성에 따른 소득별 직주불일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mismatch by incom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 이민주;박인권
    • 지역연구
    • /
    • 제32권1호
    • /
    • pp.67-82
    • /
    • 2016
  • '직주불일치(spatial mismatch)' 가설에 따르면 현대도시의 공간구조가 저소득층에게 불리하게 형성되어 직장과 주거지의 불일치는 저소득층일수록 심각한 역진적(regressive) 관계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서울시 통근자들의 통행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소득에 따른 직주 불일치 정도의 차이를분 석함으로써 직주불일치 가설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득을 비롯한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지가와 토지이용 등 통근목적지의 지역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직장이 위치한 지역 특성에 따라 개인의 소득이 통근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역특성을 통제할 경우 소득이 감소할수록 통근시간이 길어지고, 직장이 위치한 지역의 주택가격이 증가할수록 소득에 따른 통근시간 격차는 증대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저소득층의 경우 개인의 소득과 주택부담능력으로 인해 비교적 주택가격이 저렴한 지역에 거주하면서 장시간 통근을 감당해야 함을 의미하여, 서울시에서도 소득 및 주택부담능력으로 인한 제한적 주거 선택에 의해 직주불일치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직주불일치 문제는 사회적 형평성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