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te time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양육 시간 (Changes in Parental Time Spent with Children)

  • 송유진
    • 한국인구학
    • /
    • 제34권2호
    • /
    • pp.45-64
    • /
    • 2011
  • 자녀를 기르는 일은 돈, 시간,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최근 자녀양육에 투입되는 시간의 중요성에 대해 많이 논의되고 있다. 이 논문은 1999년과 2009년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자녀돌보기에 투입한 시간의 변화 추이와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서구의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부모가 자녀양육에 투입하는 시간은 증가하였다. 과거에 비해 남성과 여성의 자녀양육 시간이 수렴하는 경향성을 보이는 서구와는 달리, 여성이 자녀양육에 투입하는 시간의 증가폭이 남성에 비해 커서 성별 격차가 심해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서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자녀양육시간이 길어진다. 특히 미취학 아동의 경우는 신체적 돌보기와 놀아주기 시간이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취학 아동의 경우는 공부 봐주기 시간이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다. 1999년과 비교할 때 2009년에는 돌봄 노동시간, 이동시간, 개인유지 시간은 늘어난 반면 경제활동과 여가 시간은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가사노동 시간은 아버지의 경우는 미미하게 늘어났으나 어머니의 경우는 감소하였다.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자녀에게 투입하는 시간의 차이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Commuting Time and Workers' Anxiety and Insomnia

  • Seong-Uk Baek;Jin-Ha Yoon;Jong-Uk Wo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1호
    • /
    • pp.100-106
    • /
    • 2023
  • Background: Our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work-family conflict (WF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commutes and workers' anxiety and insomnia. Methods: Our study measured the two dimensions of WFC, time-related, and strain-related, which were considered multiple mediators. The mediating effect of WFC on anxiety and insomnia was investigated by decomposing the total effect into a direct effect (long commuting time → anxiety or insomnia) and an indirect effect (long commuting time → WFC → anxiety or insomnia). The combined indirect effect (joint indirect effect) of strain-related WFC and time-related WFC was estimated. The effects were presented as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Results: The direct effect of 120 min or longer of commuting time was 1.39 (95% CI: 1.17-1.65) times increase in the odds of anxiety and 1.64 (95% CI: 1.41-1.90) times increase in the odds of insomnia than those whose commuting time was less than 60 min. In the case of indirect effects, those whose commuting time was 120 min or longer had 1.13 times higher odds of anxiety (95% CI: 1.07-1.18) and 1.12 times higher odds of insomnia (95% CI: 1.07-1.17) via WFC. The joint indirect effects accounted for 26.4% and 18.5% of the total effect on anxiety and insomnia, respectively. The longer the commuting time, the stronger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Conclusions: Our findings highlight the mediating effect of WF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commuting times and workers' anxiety and insomnia.

자율주행차 운영 환경하에서 통근자 출발시간 선택의 영향에 관한 연구 (Exploring the influence of commuter's variable departure time in autonomous driving car operation)

  • 김찬성;진영근;박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7-14
    • /
    • 2018
  • 자율주행택시, 자율주행셔틀과 같은 새로운 교통서비스들에 대한 연구들이 전 세계적으로 여러 도시들을 대상으로 진행 중이지만 대부분 현재 통행 수요는 출발시간이 고정적이라고 가정하고 기존 교통수단과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 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기반 교통서비스 운영에서 통근자의 출발시간 조정에 따른 교통체계의 영향을 행위자기반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통행시간 선택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고 자율차를 수용할 수 있는 도로용량의 영향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근자가 원하는 출발시간에서 집에서의 활동종료시간과 출발시간이 상당히 조정된 후 시스템적으로 안정적인 통근통행이 완료되었으며, 또한 도로용량의 감소는 과도한 스케줄 조정에도 불구하고, 많은 통행자들이 9시 이전에 통근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현재와 다른 교통운영과 교통가격정책이 필요성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Virtual Go to School (VG2S): University Support Course System with Physical Time and Space Restrictions in a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 Fujita, Koj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137-142
    • /
    • 2021
  •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provide online course content. The main methods of providing class contents are on-demand and live-streaming. This means that students are not restricted by time or space. The advantage is that students can take the course anytime and anywhere. Therefore, unlike commuting students, there is no commuting time to the campus, and there is no natural process required to take classes. However, despite this convenient situation, the attendance rate and graduation rate of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tend to be lower than that of commuting universities. Although the course environment is not the only factor, students cannot obtain a bachelor's degree unless they fulfill the graduation requirements. In both commuter and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taking classes is an important factor in earning credits. There are fewer time and space constraints for distance learning students than for commuting students. It is also easy for distance learning students to take classes at their own timing. There should be more ease of learning than for students who commute to school with restrictions. However, it is easier to take a course at a commuter university that conducts face-to-face classes. I thought that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commuting to school was a part of the process of taking classes for commuting students. Commuting to school was thought to increase the willingness and motivation to take classes. Therefore, I thought that the inconvenient constraints might encourage students to take the course. In this research, I focused on the act of commuting to school by students. These situations are also applied to the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ents have physical time constraints. To achieve this goal, I will implement a course restriction method that aims to promote the willingness and attitude of students. Therefore, in this paper, I have implemented a virtual school system called "virtual go to school (VG2S)" that reflects the actual route to school.

지역 특성에 따른 소득별 직주불일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mismatch by incom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 이민주;박인권
    • 지역연구
    • /
    • 제32권1호
    • /
    • pp.67-82
    • /
    • 2016
  • '직주불일치(spatial mismatch)' 가설에 따르면 현대도시의 공간구조가 저소득층에게 불리하게 형성되어 직장과 주거지의 불일치는 저소득층일수록 심각한 역진적(regressive) 관계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서울시 통근자들의 통행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소득에 따른 직주 불일치 정도의 차이를분 석함으로써 직주불일치 가설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득을 비롯한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지가와 토지이용 등 통근목적지의 지역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직장이 위치한 지역 특성에 따라 개인의 소득이 통근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역특성을 통제할 경우 소득이 감소할수록 통근시간이 길어지고, 직장이 위치한 지역의 주택가격이 증가할수록 소득에 따른 통근시간 격차는 증대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저소득층의 경우 개인의 소득과 주택부담능력으로 인해 비교적 주택가격이 저렴한 지역에 거주하면서 장시간 통근을 감당해야 함을 의미하여, 서울시에서도 소득 및 주택부담능력으로 인한 제한적 주거 선택에 의해 직주불일치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직주불일치 문제는 사회적 형평성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College Students' Housing Values, Expectations and Considerations for Housing in Their 20s - Centered on Chungbuk Province -

  • Lee, Hyun-J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71-8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college students' housing values and housing expectations as well as considerations for housing in their 20s and to explore influences on housing values and expectations. Items related to four housing functions were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Maslow's hierarchy of human needs to measure housing values. An on-site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of a university-A located in Chungbuk province between May 28, 2012, and June 17, 2012. Among the total 476 responses, 465 responses from Korean students were used for further data analys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Among housing functions, those related to shelter functions were perceived as most important followed by function as a place for self-esteem. (2) More than 70 percent of the respondents expected to rent a housing unit in their 20s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expected non-traditional and relatively affordable compact size structure types such as studio, Officetel or Gosiwon. (3) Price, location and transportation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choosing housing in their 20s. (4) Convenience in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commute time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location choice, and maintenance conditions and security systems were the most important for building choice. (5) Female respondents tended to consider personal safety, security systems, neighborhood facilities, and distance from family more important than male respondents when choosing housing, while male respondents considered parking space more important than females.

경기도 북부지역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실내공기질 변동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Quality Variation in Underground Parking Lots of Apartments located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 박현구;정연훈;김병록;김진길;신형순;이상수;오조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50-258
    • /
    • 2018
  • Objectives: The study examined indoor air quality during daytime and commute times in underground parking lots in five apartments located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PM_{10}$, $CO_2$, CO, HCHO and VOCs in the indoor air quality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in five apartments. Results: $PM_{10}$ concentration in daytime were ranged from 37.4 to $69.9{\mu}g/m^3$ which complied with the indoor air quality maintenance standard ($200{\mu}g/m^3$) and Gyeonggi province ordinance standard ($180{\mu}g/m^3$). However $PM_{10}$ concentrations in commuting time were in range of $447.3{\sim}944.0{\mu}g/m^3$ that exceeded for both criteria. The $CO_2$, CO and HCHO concentrations complied with the standard. The VOCs indicated high tendency in the order of toluene, xylene, ethylbenzene and benzene. This tendency was more apparent in commuting time than daytime. Conclusion: All indoor parking lots of five apartments were equipped with ventilators. However the most apartment residents did not operate blowers to save electricity and the lack of interest for indoor air quality. In order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of underground parking lots in apartment, operating ventilation system during commuting time is recommended.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대중교통 승객의 통행목적 추정 (Estimating the Trip Purposes of Public Transport Passengers Using Smartcard Data)

  • 전인우;이민혁;전철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8-38
    • /
    • 2019
  • 스마트카드 자료에는 개별 승객의 대중교통 이용기록이 저장되고, 이를 활용하면 정류장별, 시간대별 통행수요를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카드 자료에는 통행목적이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근, 통학, 여가 등의 목적별 수요는 설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설문조사 자료에는 일부 표본의 통행만 기록되어 있어 전반적인 대중교통 통행수요를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만약 스마트카드 자료에서 통행목적을 추정할 수 있다면, 전수조사에 가까운 통행목적별 대중교통 수요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자료에 기록된 승객의 O-D 통행빈도, 체류 시간, 출발 시각 등을 고려하여 통근, 통학, 귀가의 통행목적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제시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승객 중 근로자와 대학생을 분류하였다. 제시한 방법론의 검증으로는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의 목적별 통행패턴과 본 연구를 통해 추정한 목적별 통행패턴을 비교하였다.

압축지표와 통근 네트워크가 통근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도권 경기·인천 지역을 대상으로 - (The Impact of Compact City Indicators and Commuting Network on Commuting time: Focused on Suburban C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신학철;우명제
    • 지역연구
    • /
    • 제37권2호
    • /
    • pp.49-61
    • /
    • 2021
  • 국내 수도권에서는 경기·인천지역에 거주하며 서울로 통근하는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장거리 통근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인천지역을 대상으로 자족권역 형성 계획과 압축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장거리 통근통행으로 발생하는 도시문제는 지속이다. 이는 과도한 압축밀도와 서울 의존적 네트워크에 의한 것으로 보여지나, 기존 연구에서는 도시 간 상호작용이 중요해짐에도 개별도시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서울 의존적인 네트워크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압축도시와 도시 간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일정 규모이상의 네트워크가 형성될 때 통근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도권 외곽지역인 인천, 경기지역의 네트워크 중심지 육성정책과 더불어 교통망 확충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도착시간 기준 기종점표를 이용한 동적통행배정 (Dynamic traffic assignment based on arrival time-based OD flows)

  • 김현명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3-155
    • /
    • 2009
  • 현재 이용되는 모든 동적 통행배정모형들은 출발시간을 기준으로 기종점간의 통행량을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동적 OD가 출발시간을 통행수요의 동적 기준점으로 이용하는 것은 동적 통행배정 모형의 계산상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즉, 통행이 활동참여를 위해 발생하고 종료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러한 출발시간 기준 기종점표는 모든 종류의 통행들에 적용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오전의 출근통행은 업무개시시간을 고려한 희망도착시간이 기준시간이 되고, 통근자들이 가정을 떠나는 출발시간은 희망도착시간과 예상 기종점 통행시간을 고려해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모든 통행배정기법들은 출발시간으로부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점에서 종점으로 통행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통행수요를 종점 희망도착시간을 기준으로 역방향계산을 할 수 없다. 따라서 현실과 동일한 결정과정을 통해 동적 통행배정을 할 수 있는 모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 아래 희망도착시간을 기준으로 정의된 동적 기종점표를 교통망에 부하할 수 있는 동적 통행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희망도착시간분포와 예상 경로 통행시간을 이용하여 출발시간분포를 갱신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GLS함수를 통해 수학식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두 가지의 소규모 교통망들에 적용되어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