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초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장지혜;신용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60-469
    • /
    • 2020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에 근거한 가설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Theoretical substruction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9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개인적 특성, 건강정보이해능력,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사후검증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고, 건강정보이해능력,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는 4점 기준으로 평균 2.56±0.50점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대인관계 영역이 가장 높았고, 신체활동 영역이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정보수집 경로의 수(β=.16, p=.031)와 자기효능감(β=.53, p<.001)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건강증진행위를 30.8% 설명하였다(F=14.19, p<.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자기효능감 수준과 건강정보의 특성을 고려한 중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추후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수준과 다양한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수면, 우울, 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sleep, depression and pain on quality of life by Gender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장경오;박수진;배두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566-1575
    • /
    • 2014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수면, 우울, 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J시에 소재하는 보건소에 등록된 저소득층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2012년 12월 20일부터 2013년 2월 15일까지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는 평균 $9.89{\pm}2.21$점, 수면은 평균 $39.72{\pm}8.79$점, 우울은 평균 $7.13{\pm}7.54$점, 통증은 평균 $5.37{\pm}1.90$점, 삶의 질의 평균은 $7.61{\pm}2.25$점이었다.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가 좋고, 수면양상이 좋으며, 통증정도가 낮고, 우울정도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수면이었으며, 44.6%의 설명력을 보였다. 그러므로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컴퓨터/인터넷 게임 활동이 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mputer/Internet Game Play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elf-Control)

  • 안준희;임경춘;이윤정;김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406-417
    • /
    • 2011
  • 본 논문은 노인의 컴퓨터/인터넷 게임 활동이 자아통제감을 매개로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23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경로분석을 통해 구성 개념간 인과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의 컴퓨터/인터넷 게임 활동은 자아통제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게임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은 자아통제감은 우울을 감소시키고,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 결과, 컴퓨터/인터넷 게임활동은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아통제감을 매개로 노인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통제감은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보다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들의 새로운 여가활동 형태인 컴퓨터/인터넷 게임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구조적으로 증명했다는 의미가 있고, 노인들을 위한 게임을 개발할 때 인지적, 신체적 특성을 고려할 뿐 아니라 노인들이 자아통제감을 얻을 수 있는 방향에서 접근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고령자의 기능 수준, 환경적 요인 및 라이프스타일이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 분석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Functional level, Environmental Factors and Lifestyle on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박강현;박지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77-38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의 기능 수준, 환경과 라이프스타일이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도 4월부터 2019년도 5월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전국의 65세 이상,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고령자 200명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자의 기능 수준과 신체적 활동은 직접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기능 수준, 활동참여, 식이와 건강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과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환경적 요인은 식이와 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령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 수준, 환경과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노인보건복지 관련 정책 및 서비스를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 Mixed Methods Study of the Successful Aging of Older Adults in Korea

  • Kim, Eun-Ha;Kim, Kye-Ha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47-5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experiences of successful aging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living in the Korean community using mixed methods. This study is a mixed methods research using convergent parallel design. 483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2 cities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For qualitative data collection, 6 elderly people participated.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for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scored an average of 4.30 ± .59 out of 5 points (4.46 ± .64 for self-efficacy, 4.31 ± .65 for good self-control, 4.29 ± .70 for satisfaction with children's success, and 4.26 ± .61 for partnership with spouses). The main themes of successful aging derived by interview were as follows: 1) fulfill responsibilities of raising children as parents, 2) establish a stable life to overcome difficulties, 3) accept the body being different from the past, and 4) live in harmony with people around them.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useful health care services that can be used in the local community and to provide service utilization information through various routes in order to achieve a successful aging.

Cross-sectional study on the prevalence of anemia among rural elderly in Asan

  • Kim, Hee-Seon;Lee, Byung-K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1호
    • /
    • pp.8-12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nemia and to define the risk factors for anemia in older Koreans in Asan. From January to February 2002, five hundred sixty two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over 60 years were selected from a cross sectional study. All subjects underwent laboratory tests, which included a complete blood cell count, reticulocyte, liver and renal functional tests, lipid profiles and iron status tests. The median age was 68.6 years (range, 60-92 years). The mean levels of hemoglobin were $14.4{\pm}1.3\;g/dL$ in men and $12.9{\pm}1.0\;g/dL$ in women, and the overall prevalence of anemia was 12.5% in all subjects, 10.8% in men and 13.6% in women. The prevalence of anemia was the lowest among age group of 60-69 (10.0%) followed by 70-79 (15.5%), and the highest among age over 80 (20.7%), but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ly for men. The age difference was more distinct in men than in women (p<0.05). The mean hemoglobi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ubjects aged over 80 y than those in the 60-69 y group (p<0.05). According to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lower albumin and higher creatinine levels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of anemia among older adults in Asan. In conclusion, the overall prevalence of anemia in our study group was 12.5% and the highest (20.7%) among those aged over 80 y.

치매 서비스 경험과 인지기능 간의 관계 연구: 건강정보이해능력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 of Health Liter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mentia Service and Cognitive function)

  • 신혜리;김영선;이상화;최은영;맹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95-407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및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매 서비스 이용 여부와 인지기능의 관계를 살펴보고,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두 변수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에서 전국 60~79세 지역사회 거주자를 대상으로 직접면접조사를 통해 수집한 2016년 치매이해능력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자로는 522명이 선정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치매 서비스 경험이 있는 노인일수록 인지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을수록 인지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치매 서비스 경험과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치매서비스 이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발견하여 고령자의 치매 및 건강 관련 정책에 주요 시사점을 제시한다.

국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허약과 건강결과 간의 관계에 대한 통합적 고찰 (Association of Health Outcomes with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Korean Older Adults: An Integrative Review)

  • 손연정;이숙정;최유리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8
    • /
    • 2019
  • Purpose: Frail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dverse health outcomes. We aimed to review the relationships between frailty and health outcomes in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individuals. Methods: Whittemore and Knafls' framework for conducting integrative reviews was used. PubMed,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and six Korean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nalysis, the study included articles written in English and Korean published between January 1960 and June 2018. Of the total 1,488 studies found in the databases, we analyzed 15 studies that met the quality of the evaluation criteria. Results: The prevalence of frailty in Korean elderly individuals ranged from 6.5% to 11.7% when divided into three levels of frailty. The health outcomes assessed in relation to frailty were divided into five domains: quality of life, physical health, psychosocial health, health behavior, and health care quality. Frail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ll five domains.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ed that nurses should be aware of the limitations in the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of frail elderly individuals and provide tailored interventions for Korean elderly individuals. Furthermore, a large-scale study is needed to develop the Korean model of the frailty assessment tool and to verify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지역거주 노인의 근골격계 기능향상 신체활동에 관한 문헌 고찰연구 (Literature Review for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Musculoskeletal Outcome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임경춘;김증임;채영란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7-308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musculoskeletal outcomes in older Koreans. Methods: Experimental studies were retrieved from the search engines (PubMed, CINAHL, PsycINFO, Cochrane, RISS, KISS, and KoreaMed). The selected studies for analysis were 27 articles of musculoskeletal outcomes (gait, muscle strength, flexibility, balance, grip strength, endurance, body fat, and weight) from 515 articles. Results: The most common type of physical activity was a resistance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gait (71.4%), muscle strength (86.7%), flexibility (63.6%), balance (72.2%), grip strength (71.4%), endurance (71.4%), body fat (57.1%), and weight (28.6%). The activity programs that apply over 150 minutes a week showed greater improvement of 69.5% than 65.0% from those did not meet the guidelines totally. Conclusion: Based on the review, we conclude that regular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may improve the musculoskeletal outcomes. To be more effective programs, it is necessary to meet the guidelines of 150 minutes a week or 30 minutes of moderate-intensity activities on 5 days per week for the elderly.

브레인 트레이닝을 활용한 방문형 인지활동이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 주관적 기억감퇴,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 광명시를 중심으로 (Effects of Visiting Cognitive Activities Using Brain Training on Cognitio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 Focusing on Gwangmyeong City)

  • 김태훈;정남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9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visiting cognitive activities using brain training on cognitio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residing in community living in Gwangmyeong city. Methods : Over a 14-month period (October 2022 to December 2023), four brain training instructors visited the homes of older adults and conducted the intervention using a brain training kit. The participants included 32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were living in Gwangmyeong city. The assessments were conduct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a nurse and a social worker at the Gwangmyeong dementia relief center. These assessments included the following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SMCQ),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SGDS-K), a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Korean (CERAD-K).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20-30 points, B: 10-19 points, C: 1-9 points) based on the CIST scor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and the statistical level was at a=.05. Results :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showed that the SMCQ score of group A improved significantly (p<.05), the CIST score of group B also improved significantly (p<.05). However, the SGDS-K score of group C improved, but did not demonstrate statistical significance (p=.080). Conclusion : The visiting cognitive activities using brain training produce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on, depression, and subjective memory disorders, depending on the cognitive level of the elderly participant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effects according to cognitive level in various aspects with more elderly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