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planting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대형공원의 식재계획 전략 - 광주광역시 중앙근린공원을 사례로 - (Planting Design Strategy for a Large-Scale Park Based on the Region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 A Case of the Central Park in Gwangju, Korea -)

  • 김미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1-28
    • /
    • 2021
  • 대형공원은 그 크기와 복잡한 특성 때문에 기존 도시 내에 조성되는 기회가 흔하지 않다. 또한, 대규모 부지에서의 식재설계 방법에 관한 실천적 연구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중앙공원을 사례로 대형공원에서의 식재설계 접근방법과 생태적 이론이 실질적인 식재설계 방법으로 구체화 되는 과정을 설계가의 관점에서 설명함으로써, 유사한 규모의 공간 설계 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구체적인 식재설계의 선행과정으로서, 거시적인 스케일에서 녹지의 연결, 식생의 변화, 경관의 흐름, 오픈스페이스의 분포 등 공원 전체의 녹지구조를 계획하고, 나아가 녹지구조를 구성하는 식생형과 식물군락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물은 식재 설계 단계에서 공간의 기능과 성격, 식재 연출효과 등 설계자의 의도와 해석을 담아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의 의의는 대형공원의 복잡성과 규모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범주 내에서 설계를 진행함으로써 첫째, 기존 수림을 포함한 공원전체 경관의 시각적 일관성과 의도된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과, 둘째, 대형공원이 지닌 변동가능성, 예측불가능성 등의 특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녹지계획에 우선하여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특히,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여 잠재된 서식처로서 습지와 초지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녹지구조는 서식처 유형에 따른 식생형으로 구성되며, 녹지의 모양, 배치, 관계에 대한 계획과 함께 식생형을 구성하는 식물군락의 특징과 목록도 제시하였다. 각 식물군락은 지역의 자연식생을 참고하여 군락의 구조를 모델화하였다. 특히, 이 모델은 특정식물군락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 기대하는 효과에 부합되는 군락을 개념화한 것이므로 식생형의 조건과 군락의 목표에 부합된다면 다른 식물군락도 이 모델에 적용하여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함을 갖는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생태적 공원의 식재설계임에도 불구하고, 야생동물 및 조류, 곤충 등을 위한 서식환경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둘째, 대상지내 기존 산림, 특히 조림 숲에 대한 관리 방안이 계획에서 배제되었으며, 셋째, 식물군락 모델계획은 기존의 식물사회학 연구를 참고하여 자연의 식물군락구조를 적용하였는데, 일부 식물군락의 경우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의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환경친화적 골프장 조성을 위한 식생입지환경별 생태적 특성과 식재방안 - 경상북도 청도군을 중심으로 -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lanting Plan by Location Enviornment of Vegetation for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Golf Course - Focused on Cheongdo-gun, Gyeongsangbuk-do -)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75-90
    • /
    • 2008
  • The golf course has many problems that are a pollution of river, a extinction of habitat by destructing a forest and a simplication of species composi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construct-reserved site of golf course. The results were as follow.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42 taxa; 86 families, 231 genera, 295 species, 42 varieties and 5 forma. In the results by the location environments of vegetation, Salix caprea community and wetland species like Persicaria thunbergii were appeared in the swamp. Especially, S. caprea will be made use of promoting a landscape. In the stream, Stephanandra incisa community has a functions like an ecological axis and a corridor of wild animals. The planting technique will be applied to using Atractylodes japonica and Ainsliaea acerifolia in the lower part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Because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Convallaria keiskei grew by layer in Q. variabilis community, this will be made use of natural vegetation model. The rare plants were 2 taxa; Aristolochia contorta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To preserve their community, we will prohibit a development and remove a threatening factor. The endemic plants were 4 taxa; Salix caprea, Clematis trichotma,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9 taxa; Rumex crispus, Bildedykia dumetora and so on. To establish the quantitative management plan, we will obtain a ecological information about a naturalized plants in accumulating by season, community and land use pattern.

광주광역시 도시림의 현존식생과 식생구조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Urban Forest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 이규완;오구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8-156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urban forest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Thirty eight plots in the urban forest were set up by the clumped sampling metho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6 that is artifical planting area covered 10.9%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vered 48.7% of the actual vegetations of urban forest. Canopy height, Diameter of breast height (DBH) and No. of species in urban forest were 13.5m, 21cm and 24 species, respectively. The soil conditions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urban forest were differenced by location of urban and suburban area. The plant communities divided into six groups which were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 acutissima-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Pinus rigida Community, P. rigida-P. densiflora community, P. densifrora-Q. acutissima community and Q, serrata-P. densiflora community. Successional series of the urban forest in the surveyed area were proceeding from P. dinsiflora to Quercus species. The species diversity of plant were high in natural plant community but low in artificial plant community. Tree density in the canopy layer varied from 600ea/ha to 2,800ea/ha.

  • PDF

도시하천 제방사면에 식재한 몇몇 벼과식물의 활착 및 군락유지 특성 (Characteristics of Rooting and Community Maintenance of Some Gramineae planted on Urban Stream Bank Slope)

  • 양홍모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2-59
    • /
    • 2017
  • 도시하천 제방사면의 벼과식물 활착과 군락형성 연구를 위해 2010년 10월 중순 물억새, 억새, 띠, 새를 줄떼식재하였다. 플라스틱 묘상(길이 60cm ${\times}$ 너비 30cm ${\times}$ 깊이 5cm)에 원예용상토를 4cm 깊이로 채우고 실험초종의 씨앗을 2010년 4월 하순 파종한 후 2010년 10월 초까지 형성된 뗏장을 너비 6cm ${\times}$ 길이 15cm ${\times}$ 두께 4cm로 잘라서 제방사면에 수평 폭 약 10~15cm 간격으로 심었다. 줄떼식재 후 군락형성을 유도하기 위해 2011년~2013년까지 3년간 매년 2회 잡초를 제거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2년에 줄떼 간격의 빈 공간을 줄기가 상당부분 채워 초기군락이 형성되었으며, 2013년에는 줄떼 간격의 빈 공간을 거의 채워 군락이 형성되었다. 군락형성 후 2014년과 2015년은 잡초제거 없이 군락유지가 가능한지 관찰하였다. 2013년과 2014년의 줄기수간, 초장간 t-검정과, 2014년과 2015년의 줄기수간, 초장간 t-검정을 수행하였다. t-검정에는 5월, 7월, 9월에 조사한 줄기수와 초장을 활용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4년의 줄기수와 초장이 2013년보다 줄어들어(p<0.001) 잡초의 피해를 입었다. 물억새, 억새, 띠는 2014년과 2015년의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없어(p>0.05) 군락형성 후 잡초제거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으나, 새는 2015년의 줄기수와 초장이 2014년보다 현저히 줄어들어(p<0.001) 잡초의 피해가 커 군락유지가 어려웠다. 하천제방사면의 초본류 군락 형성과 유지의 관점에서 줄떼식재의 경우 물억새, 억새, 띠가 적합한 초종으로 나타났다. 실험기간 5년 매년 9월에 조사한 물억새, 억새, 띠, 새의 줄떼식재와 포트식재 간 줄기수와 초장의 t-검정에서, 줄기수는 줄떼식재가 포트식재보다 많았고(p<0.001), 초장은 포트식재가 줄떼식재보다 길었다(p<0.05). 줄기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줄떼식재가 제방사면 유실보호 관점에서 포트식재보다 유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난지도 안정화공사 이후 생태계 복원을 위한 현존식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Vegetation of Nanji-do for Restoration of Ecosystem after Stabilization Construction)

  • 이경재;오충현;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6-132
    • /
    • 1997
  • 난지도는 서울외곽의 한강변에 위치한 면적 272ha인 섬으로, 1978년부터 1993년까지 약 15년간 서울지역에서 발생하는 각종 쓰레기 92,000,000m$^{2}$를 매립한 곳이다. 1996년 10월 현재 난지도의 현존식생면적은 191ha로서 이중 목본식물은 31ha이고 나머지는 초본식물이 우점종인 군락이었다. 목본식물 면적 중 아까시나무와 능수버들은 전체의 83%를 차지하고 있었다. 토양은 서울지역의 일반적인 토양이 산성으로 나타나는 것과는 달리 알카리성이며, 토양과 현존식생분포사이의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난지도의 현존식생은 난지도 토양 안정화공사 이후의 식생목원지침 마련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의 생태계 복원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시도가 있어야 할 것이다. 첫째, 다양한 선구수종, 자생수종, 식이식물의 활착실험을 통해 난지도에 적합한 수종 선발. 둘째, 자생수종을 활용한 사면안정 공법의 개발 및 지역 특성에 적합한 식재계획 마련. 셋째, 동물 생태계 조사를 통한 동물생태계 복원계획 수립

  • PDF

녹비식물 혼합재배에 휴믹물질 투입이 정화처리토양의 생물학적 토양 건강성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Planting of Green Manure Crops Supplemented with Humic Substance on the Biological Soil Health Indicators of Reclaimed Soils)

  • 배범한;박혜선;강수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5호
    • /
    • pp.49-59
    • /
    • 2021
  • The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hairy vetch and sesban, supplemented with HS (humic substance) on biological soil health indicators was studied in a pot containing two kinds of reclaimed soil previously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s; a soil remediated by land-farming (DDC) and another soil by low-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 (YJ). Treatments include no plant (C), plants only (H), and plants+2% HS (PH), which were evaluated in a pot containing respective soil. Biological indicators include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as well as soil enzyme activities of dehydrogenase, 𝛽-glucosidase, N-acetyl-𝛽-D-glucosaminidase (NAG), acid/alkaline phosphatase, arylsulfatase, and urease. Results showed an increase of enzyme activities in pot soils with plants and even greater in soils with plants+HS. The enzyme activities of DDC soil with plants (DDC_P) and with plants+HS (DDC_PH) increased 1.6 and 3.9 times on average, respectively than those in the control. The enzyme activities YJ soil with plants (YJ_P) and with plant+HS (YJ_PH) increased 1.8 and 3.8 times on average, respectively than those in the control. According to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the relative abundance of nitrogen-fixing bacteria in DDC and YJ soil was increased from 1.5% to 7% and from 0 to 5%, respectively, after planting hairy vetch and sesban. This study showed that mixed planting of green manure crops with a supplement of humic substance is highly effective for the restoration of biological health indicators of reclaimed soils.

P-hydroxybenzoic acid positively affect the Fusarium oxysporum to stimulate root rot in Panax notoginseng

  • Jing Zhao;Zhandi Wang;Rong Jiao;Qionglian Wan;Lianchun Wang;Liangxing Li;Yali Yang;Shahzad Munir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8권2호
    • /
    • pp.229-235
    • /
    • 2024
  • Background: Plant health is directly related to the change in native microbial diversity and changes in soil health have been implicated as one of the main cause of root rot. However, scarce information is present regarding allelopathic relationship of Panax notoginseng root exudates and pathogenic fungi Fusarium oxysporum in a continuous cropping system. Methods: We analyzed P. notoginseng root exudate in the planting soil for three successive years to determine phenolic acid concentration using GC-MS and HPLC followed by effect on the microbial community assembly. Antioxidant enzymes were checked in the roots to confirm possible resistance in P. notoginseng. Results: Total 29 allelochemicals in the planting soil extract was found with highest concentration (10.54 %) of p-hydroxybenzoic acid. The HPLC showing a year-by-year decrease in p-hydroxybenzoic acid content in soil of different planting years, and an increase in population of F. oxysporum. Moreover, community analysis displayed negative correlation with 2.22 mmol. L-1 of p-hydroxybenzoic acid correspond to an 18.1 % population of F. oxysporum. Furthermore, in vitro plate assay indicates that medium dose of p-hydroxybenzoic acid (2.5-5 mmol. L-1) can stimulate the growth of F. oxysporum colonies and the production of macroconidia, as well as cell wall-degrading enzymes. We found that 2-3 mmol. L-1 of p-hydroxybenzoic aci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opulation of F. oxysporum. Conclusion: In conclusion, our study suggested that p-hydroxybenzoic acid have negative effect on the root system and modified the rhizosphere microbiome so that the host plant became more susceptible to root rot disease.

호평벼와 남평벼의 혼합재배에 의한 도열병 방제와 레이스 다양성의 변화 (Rice Blast Control and Race Diversity by Mixed-Planting of Two Cultivars ('Hopyeongbyeo'/'Nampyeongbyeo') with Different Susceptibility to Magnaporthe oryzae)

  • 오인석;민지영;조명길;노재환;신동범;송진;김명기;조영찬;김병련;한성숙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43-152
    • /
    • 2008
  • 도열병에 대한 감수성 정토가 다른 두 품종의 혼합재배에 의한 무농약 도열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재배 생력화를 위해 도열병 저항성을 제외한 품질을 비롯한 벼의 유전적 형질이 유사한 품종조합을 선발한 결과 '호평벼'와 '남평벼'의 조합을 1:1로 종자 혼합을 통한 혼합재배를 실시하였을 때 50.4%의 이삭도열병 방제효과가 있었다(2007). 단일재배시 최대 67.4%까지 우점을 보이던 KJ-101레이스가 혼합재배구에서 최소 29.4%로 감소하였고 그 외의 기타 레이스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5.4%에서 9.0%로 증가하였으며 11개의 새로운 레이스가 분리되었다. 단독 혹은 혼합재배에 관계없이 분리된 레이스의 수는 유사하였으나 혼합재배 시 새로운 레이스가 차지하는 비율이 12.5%에서 62.5%로 증가하였고 레이스 간 밀도의 차이는 23.6%에서 8.8%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병원균 레이스 다양성의 변화와 레이스 밀도의 균형이 혼합재배에 의한 도열병 발생의 감소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와 더불어 혼합재배 효과에 대한 좀 더 명확한 설명을 위해 병원력을 비롯한 레이스의 유전적 형질에 관한 연구가 추후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생태적 접근방법에 의한 식생복원 및 관리계획 (Natural Vegetation Restoration and Management Plan by Ecological Approach)

  • 이경재;최송현;강현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8-67
    • /
    • 1994
  • Object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 for natural vegetation restoration and management by ecological approach. The concept of biotope planting technique was introduced in order to restore the natural veget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Mt. Nam in Seoul,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was surveyed so as to obtain the basic data. This study focused on the vegetational context between northern part of Mt. Nam and develop-reserved site. The results are following ; 1. It is suitable to plant 25~30 trees in $100\m^2$ with trees of DBH 10cm and below at intervals of about 2m in canopy layer. In the case of subtree layer of DBH 2cm, about 30 trees were planted at an Intervals of 1.5~2m around in $100\m^2$. 2. In the last step of nature vegetation restoration, it is desiable that canopy density is $5/100\m^2$ and 녀btree one is 10~20/$100\m^2$. 3. Management plans was proposed to use the native species of Mt. Nam around and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situation once a year such as species introduce, dead-tree, soil, fauna etc.

  • PDF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지구 곰솔-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와 분포밀도 (Plant Community Structure & Distribution Density of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Forest in Kojedo District,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이경재;한봉호;김종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1-372
    • /
    • 1999
  • 한려해상국립공원내 거제도지구 곰솔-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와 분포밀도를 규명하기 위해 32개 조사구(10m$\times$10m)를 설정하였다 DCA분석 결과 곰솔군집, 곰솔-소나무군집, 소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고, 각 군집의 천이경향은 불명확하였다. 조사구별 교목층의 곰솔과 소나무의 분포밀도 현황에 대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분포거리 (m) = 0.094$\times$흉고직경 (cm)-0.1248, 개체수=1,820.1$\times$흉고직경 $(cm)<^{-1.6734}$ , 분포거리 (m) = 6.6805$\times$$개체수^{-0.542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