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acquired infection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초

기관 삽관 중인 환자에서 Blind Protected Specimen Brushing의 역할 (The Role of Blind Protected Specimen Brushing (PSB) in Intubated Patients)

  • 유희승;홍지현;윤장욱;엄광석;이재명;김철홍;장승훈;김동규;이명구;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1호
    • /
    • pp.59-68
    • /
    • 2003
  • 연구배경 : 기관 삽관을 한 환자에서 정확한 폐렴의 진단과 원인균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경기관 흡인물(endotracheal aspirate) 배양검사는 간편하지만, 객담채취시 오염의 기회가 많고, 부적절한 객담채취의 기회가 높아서 그 원인균을 알아내는데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렴 진단 방법의 일환으로 좀 더 간편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인 blind PSB를 시행하여 진단의 유용성과 치료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기관 삽관을 한 환자중에서 감염성 폐령이 의심되었던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lind PSB(protected specimen brushing)를 시행하였고, 경기관 흡인물(endotracheal aspirate) 배양 및 혈액 배양검사를 통한 진단 결과와 비교하였다. 대상환자에서 기관 삽관 튜브를 통하여 폐렴이 생긴 폐구역에 해당되는 기관지에 접근하여 PSB 카테터로 기관지내의 화농성 분비물을 채취하여 15분 이내에 정량적 배양검사를 의뢰하여 $10^3/ml$ 이상의 colony forming units를 보일 때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51명의 환자 중 병원내 감염 폐렴은 27명(52.9%)이었고, 이 중에서 VAP가 19명(37.3%)이었고, 지역사회 감염 폐렴은 15명(29.4%)이었다. 비 폐렴성 폐 침윤으로 확인된 9명(17.6%)의 환자 중 울혈성 심부전이 5명(98%), 폐결핵이 3명(5.9%), 폐출혈이 1명(2.0%) 이었다. 원인균 규명을 위한 배양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객담에서 각각 83.3%(35/42), 77.8%(7/9), 혈액에서 각각 14.3%(6/42), 100%(9/9)였고, blind PSB에서는 각각 548%(23142), 88.9%(8/9)였다. 유사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고려하면, blind PSB는 객담배양검사에 비하여 우월하다고 할 수 있다. 초기 항생제 치료는 blind PSB 배양결과에 따라서 항생제를 교체하였는데, 항생제를 교체한 환자군의 생존율은 교체하지 않았던 환자군의 생존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Blind PSB는 기관 삽관된 환자에서 폐렴이 의심되는 경우 비감염성 폐침윤과의 감별에 도움을 주고 폐렴의 원인균을 간편하고 빠르게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경기관 흡인물 배양검사에 비해 신뢰도는 낮지 않으면서 정량적 배양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항균제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관지 내시경검사를 할 수 없는 환자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관지 내시경이 필요없어 검사비용에 비한 효과면에서 유용하고 안전한 검사이다.

일부 대학신입생들의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실천 (Knowledge and Practice of College Entrants Toward Hepatitis B)

  • 지성애;정규철;박종윤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1호
    • /
    • pp.31-46
    • /
    • 1988
  • In order to designate a present status necessary for establishment of preventive measures and guidelines of health education against hepatitis B in the course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knowledge and practice toward hepatitis B virus infection was surveyed by a questionnare method on total of 4,855 college entrants in the academic year of 1987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using IBM PC(Trigem 88-II) with SAS package program. About two per cent of college entrants had past history of HBV infections not showing any difference between both sexes and geographical regions. About one third(33.7%) of total students had tested hepatitis B surface antigen(HBsAg), only 4% had tested hepatitis B surface antibody(HBsAb) and vaccination rate amounted to 24.6%, one fourth of total subjects. Both serological tests and vaccination were most commonly performed during adolescence, showing higher rates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The rates also seemed to be higher in those from urban cities than those from rural cities. Students who had acquired correct knowledge that hepatitis B was infected by virus were amounted to 78.5% of college entrants, and remaining 21.5% had misunderstood that rickettsia, bacteria, fungi or parasites were causal agents. Female students were better aware of the causal agents than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laces of growth. As for mode of transmission of HBV, 51.5% of male students and 47.7% of female students had correct knowledge. A very few student had known that fact that HBV was transmitted by body fluids such as tear(6.9%), nasal discharge(10.1%) and semen or vaginal secretion(19.2%) and majority(75%) of students had misunderstood that hepatitis B virus would be transmitted per os through food ingestion. Approximately one half(48.9%) of college entrants had knew correctly whom to be vaccinated. Approximately one half of the students knew that hepatr;ma(57.8%) and liver cirrhosis(57.4%) might complicate with hepatitis B virus infection, whereas 12.0%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bronchitis was one of the complications of hepatitis B infection. In summary of the above results, we highly recommend that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eradication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should be introduced in curricula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this country.

  • PDF

소아 원외 요로감염 환아에서 분리된 E. coli에 대한 cefixime을 포함한 경구 항생제의 감수성 연구 (Susceptibility tests of oral antibiotics including cefixime against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pediatric patients with community 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s)

  • 이수영;이정현;김종현;허재균;김선미;마상혁;강진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7호
    • /
    • pp.777-783
    • /
    • 2006
  • 목 적 : 최근 소아 요로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인 E. coli에 대한 항생제 내성 문제가 점차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원외 요로감염 환아에서 분리된 E. coli에 대한 cefixime을 포함하여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경구용 항생제의 시험관 내 감수성 연구를 시행하여 적합한 치료 항생제 선택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연구 참여 병원 소아과 외래에서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206명 환아의 요 배양검사에서 동정된 211개 균주 중 188개 E. coli를 대상으로 경구용 항생제(ampicillin, amoxillin, ampicillin-sulbactam, cefaclor, TMP-SMX, cefixime)에 대한 시험관 내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분리된 E. coli 균주에 대한 항생제별 감수성 결과에서 내성률은 각각 ampicillin 81.4%, amoxicillin 85.6%, ampicillin-Sulbactam 77.2%, cefaclor 93.6%, TMP-SMX 50.5%, cefixime 13.3%이었다. ESBL 생성 E. coli는 7.0%이었다. 결 론 : Aminopenicillins계, cefaclor, sulfa약제들은 E. coli에 대한 내성률이 매우 높아 소아 요로감염의 일차 선택 항생제로 유용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cefixime과 같은 3세대 cephalosporin은 일차 치료 실패할 경우 이차 선택항생제로 유용할 수 있으며, 일차 선택 항생제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E. coli의 항생제 내성 양상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와 지속적 감시를 통하여 소아 원외 요로감염 치료에서 1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경구용 항생제에 대한 지침 자료가 요구된다.

소아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의 발생률 및 임상양상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Clostridioides difficile Infection in Children)

  • 정희라;강지만;안종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3호
    • /
    • pp.158-170
    • /
    • 2020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 소아에서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CDI)의 발생률 및 임상양상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에 입원한 2세 이상 18세 미만의 환자 중 CDI로 진단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확인하였고 환자를 세 군(community acquired [CA], community onset-health care facility associated [CO-HCFA], and health care facility onset [HO] CDI)으로 나누어 임상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2009년부터 2018년까지 CDI유병률은 입원환자 10,000명당 1.00명에서 10.01명까지 증가하였다(P<0.001). HO CDI 군은 CA CDI 군에 비해 수술(40.4% vs. 0.0%, P=0.001)과 악성종양(27.7% vs. 0.0%, P=0.027)이 선행된 경우가 많았고 CDI 진단 전 항생제의 사용 빈도(97.9% vs. 31.3%, P<0.001) 및 항생제 개수의 중앙값이(2 vs. 0, P<0.001) 높았으며 CDI진단 이후 재원일수(13일 vs. 5일, P=0.008) 가 길었다. CO-HCFA 군은 CA CDI 군보다 연령의 중앙값이 낮았고(5세 vs. 13세, P=0.012) 악성종양이 선행된 경우가 많았다(30.8% vs. 0.0%, P=0.030). CA CDI 군은 HO CDI 군에 비해 복통(56.3% vs. 10.6%, P=0.001)과 혈변(50.0% vs. 10.6%, P =0.002)이 동반된 빈도가 높았고, 염증성 장질환이 동반된 경우가 많았으며(68.8% vs. 2.1%, P =0.001), 치료로서 정주 metronidazole을 더 자주 사용하였다(37.5% vs. 2.1%, P =0.001). 결론: 국내 소아의 CDI 발생률이 증가되고 있어 이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역학과 임상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병원 감염관리를 위하여 중요하다.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Isolated from the Specime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im Tae-Un;Kim Dae-Hyun;Kim Yun-T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25-531
    • /
    • 2005
  • Staphylococcus aureus is a major cause of nosocomial infections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ly isolated bacterial species in the hospital and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pathogen in both community and hospital-acquired infection.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MRSA), which is associated with hospitals is now being isolated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rrier rate of S. aureus in the community,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the organism, detection of MRSA and mecA gene in MRSA. Ninety strains $(46.4\%)$ of S. aureus were isolated from the nasal specimens of 194 elementary school students. Eighty-nine strains $(98.9\%)$ of 90 S. aureus were resistant to penicilin, 36 strains $(40.0\%)$ to erythromycin, 14 strains $(15.6\%)$ to fusidic acid, 11 strains $(12.2\%)$ to gentamycin, 9 strains $(10.0\%)$ to tobramycin, 5 strains $(5.6\%)$ to oxacillin, 4 strains $(4.4\%)$ to clindamycin, 2 strains $(2.2\%)$ to tetracycline, 1 strains $(1.1\%)$ to fosfomycin. None of $90(0\%)$ S. aureus isolates was resistant to ciprpfloxa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levofloxacin, linezolid, moxifloxacin, nitrofurantoin, norfloxacin, rifampicin, quinupristin/dalfopristin, teicoplanin, and vancomycin. Five strains $(5.6\%)$ of 90 S. aureus isolates were MRSA. The mecA gene was detected from five MRSA strains by PCR.

  • PDF

1세 이하의 발열성 소아 요로감염에서 Gram-Positive Uropathogens의 발생 빈도 및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and Incidence of Gram-positive Uropathogens in Pediatric Patients Younger than 1 Year of Age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 양태환;임형은;유기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2호
    • /
    • pp.65-72
    • /
    • 2013
  • 목적: 요로감염은 대부분 그람 음성 균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병원내 감염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졌던 그람 양성균에 의한 요로감염이 증가하고 있고 일반적인 경험적 항생제에 내성이 증가하고 있어 균혈증 등으로 진행이 가능하지만 지역사회 획득 소아 요로감염에 미치는 연구들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세 이하의 지역사회 획득 발열성 소아 요로감염에서 그람 양성균이 요로감염의 중증도 및 동반 비뇨기계 기형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고려대학교 의료원에 입원 치료한 1세 이하의 발열성 요로감염 소아 5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골 상부 방광 천자 및 도뇨관 으로 채취한 요 배양 검사에 따라 그람 양성균 군과 그람 음성균 군으로 나누어 입원 전후 발열 기간, 말초 혈액 내 백혈구 수와 혈청 C-반응성 단백, 수신증의 유무, 초기 신결손 및 신반흔의 유무, 방광요관역류의 유무 등의 항목들을 후향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 566명 중 그람 양성균 군은 23명, 그람 음성균 군은 543명 이었으며 그람 양성균 중 E. faecalis가 20주(71.4%)로 가장 많았고, 그람 음성균에서는 E. coli가 493주(86.8%)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그람 양성균 군의 평균 입원 전후 발열 기간은 $3.4{\pm}1.2$일 이었으며 그람 음성균 군은 $2.9{\pm}1.6$일로 그람 양성균 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또한, 배뇨 중 방광요도조영술상 방광요관역류는 그람 양성균 군에서 55.6%, 그람 음성균 군에서 17.8%로 그람 양성균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외 혈액 및 영상 검사 소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저자들은 그람 양성균에 의한 1세 이하의 발열성 소아 요로감염에서 발열 기간 및 방광요관역류가 증가 할 수 있으므로 요로감염의 치료에 있어 경험적 항생제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동반 기형을 찾기 위한 요로계 영상 검사와 추적 관찰이 꼭 필요함을 제시하는 바이다.

Streptococcus pneumonia 감염으로 변화한 사람 폐 상피세포 단백질의 프로테오믹 분석 (Proteomic Analysis of Protein Changes in Human Lung Cancer Epithelial Cells Following Streptococcus pneumoniae Infection)

  • 이윤영;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50-1056
    • /
    • 2013
  • Streptococcus pneumoniae는 전 세계적으로 급성 호흡기 질환 높은 사망률 나타내며, 정상인의 비인후부에 존재하여 호흡기 감염을 통해 폐렴, 수막염, 중이염, 패혈증, 복막염, 골수염 등을 일으킨다. 그러나 S. pneumoniae가 폐 조직에 침입하는 분자적 메커니즘과 혈류를 통한 침입은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S. pneumoniae D39의 감염 및 침입에 대한 분자 메카니즘을 알고자 사람의 폐암상피 세포 유래 A549 세포를 이용하여 감염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되는 A549 세포의 모양을 관찰하였으며, 또한 숙주세포의 단백질 패턴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부 A549 세포는 감염 후 2 시간부터 세포의 모양이 둥근형태로 변화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감염 3 시간째에는 세포의 모양이 둥글며 filopodia가 아주 잘 발달하였다. 감염 4 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거의 모든 A549 세포가 둥글며 잘 발달된 filopodia를 형성하였다. 감염 후 각 시간 별 A549 세포의 총 단백질들을 추출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특이적으로 양 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단백질을 MALDI-TOF 분석법을 사용하여 동정하였다. Streptococcus pneumoniae D39 감염 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단백질 중 대다수가 특이하게도 molecular chaperone에 속하는 단백질들이었다. 대표적인 cytosol chaperone인 Hsp90과 Hsp70의 경우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낸 반면에 endoplasmic reticulum (ER)에 존재하는 chaperone인 Grp94와 Grp78 (BiP)은 감염 후 점차 증가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ER chaperone인 Grp94와 Grp78의 증가는 ER stress signaling pathway와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S. pneumoniae D39의 감염에 의한 이들 단백질의 변화 패턴을 ER stress를 유발 시켰을 때와 비교하였다. Tunicamycin 또는 thapsigargin으로 처리하여 ER stress를 유발시킨 A549 세포의 형태는 변화하지 않았으며 흡착세포의 형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Western blot을 통한 molecular chaperone의 분석 결과는 S. pneumoniae D39 감염의 경우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S. pneumoniae D39의 감염은 A549 세포의 형태적 변화를 유발하며 또한 molecular chaperone 증가와 감소를 유발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이적으로 Grp94와 Grp78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S. pneumoniae D39 감염은 A549 세포 내 ER stress를 유발한다고 생각된다.

소아에서 fluoroquinolone 사용 (The use of fluoroquinolone in children)

  • 허재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0호
    • /
    • pp.1042-1046
    • /
    • 2008
  • The fluoroquinolones are an important group of antibiotics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s in adults, as a result of an excellent spectrum of activity, good tissue penetration and convenient ways of administration. In recent decades, there has been extensive development, clinical investigation, licensure and use of fluoroquinolone antibiotics. However, the use of fluoroquinolones in children has been limited because of their potential to induce arthropathy in juvenile animals. Despite class label warnings against use in children, prescriptions for quinolone antibiotics to treat infections in children have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The main use of fluoroquinolones in pediatrics should be, understandably, in serious life-threatening infections for which other antibiotics therapies are not effective or available. While most of the published studies failed to detect an increased rate of articular adverse effects in children treated with fluoroquinolones, an increase in the use of these compounds, particularly in community-acquired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could accelerate the emergence of multidrug-resistant (including fluoroquinolone) pneumococcal strains. This review will discus the main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fluoroquinolones in children, the major problems of resistance developing among these compound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potential side effects and skilled use of these alternative potent drugs in pediatric infection.

Sphingomonas Paucimobilis : A Rare Infectious Agent Found in Cerebrospinal Fluid

  • Goker, Tuncer;Asik, Rahile Zulal;Yilmaz, Muhammet Bahadir;Celik, Ilhami;Tekiner, Ayh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0권4호
    • /
    • pp.481-483
    • /
    • 2017
  • Sphingomonas paucimobilis (S. paucimobilis) is a gram negative bacillus. It has existed in soil, drinking water and plants. It has been isolated from distilled water tanks, respirators, and hemodialysis devices at the hospital setting. Patients with chronic disorders or immune suppression may be susceptible to infections with it. This microorganism has also been reported to infect healthy persons. Both nosocomial and community-acquired infections have been reported. So far, a variety of infections have been reported, including sepsis, septic pulmonary embolism, septic arthritis, peritonitis, and endophthalmitis. Only 2 cases of meningitis have been reported so far in the literature. So far, no previous reports of culture proliferation have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external ventricular drains, as was the case in our patient. Therefore, our case is the first to have S. paucimobilis proliferation in cerebrospinal fluid culture during intensive care unit stay for an external ventricular drain.

속립결핵과 다발성 뇌결핵종, 증례 1례 (Miliary Tuberculosis and Multiple Intracranial Tuberculoma : A Case Report)

  • 강희동;전철수;이경일;한지환;이형신;최진;허재균;황경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2호
    • /
    • pp.247-252
    • /
    • 2001
  • 속립성 결핵은 개체의 면역이상으로 결핵균이 전신의 장기에 파종될 시 나타난다. 최근에는 뇌조직도 흔히 침범되는 장기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뇌조직에서도 다발성 병변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저자들은 두통과 미열을 주소로 입원한 8세 남아에서 방사선학적 소견과 위액 흡입에 의한 배양 결과로 확진된 속립성 결핵과 두개내 다발성 결핵종을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였다. 속립성 결핵이 의심되는 경우에 신경학적 증상의 유무에 관계없이 중추신경계의 영상 검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