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Welfare Center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8초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lderly People's Lifestyle on Successful Aging)

  • 신근영;고재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43-256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의 하위변인인 건강 및 여가 추구, 외향적 도전추구, 안전 및 물질추구, 보수적 가족 추구, 동료관계 추구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려고 한다. 연구의 필요성은 한국적 문화를 반영한 연구가 미비하여 고령사회를 맞이한 노인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 연구를 하게 되었다.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성공적 노후를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를 찾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S시 노인종합복지관과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법과 대인 면접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신뢰도검증과, 둘째,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고, 셋째, 상관관계분석과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회귀 분석으로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의 하위변인인 건강 및 여가 추구, 외향적 도전 추구, 안전 및 물질추구, 보수적 가족 추구, 동료관계 추구는 성공적 노후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 중 동료관계 추구, 보수적 가족 추구가 성공적인 노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노인들의 외로움 중에서 동료간의 화합적인 관계와 보수적 가족 추구를 유지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미라고 할 수 있으며, 고령사회를 맞이하는 노인들의 다양한 문화자본 확보와 쉽게 소비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의 성공적인 결혼적응 (Successful Marriage Adaptation of Korean Husbands Who are Multicultural Families)

  • 정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37-35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들이 경험한 성공적인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7명의 남편들을 대상으로 2개월간의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편들은 '준비 안 된 결혼'으로 인해 '결혼생활 후회'까지 경험하지만 '자녀양육', '가사참여' 그리고 '친구 및 직장동료 인정'이 중재적 조건으로 성공적인 결혼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사회복지 정책적으로는 예비배우자에 대한 정보제공 의무화, 근로기준법과 육아휴직제 준수, 방문지도사제도 확충, 남편을 위한 안내서 제작과 출입국관리사무소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그리고 각 주민자치센터 비치배포,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속적 사회인식개선 제안과 사회복지 실천적 대안으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국내결혼 부부와 함께 하는 프로그램, 시부모와 가족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 남편들의 가사참여증대를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 남편들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1인가구 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A Scale Development of Healthy Lifestyle of Single-Person Household)

  • 송혜림;박정윤;진미정;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1호
    • /
    • pp.35-45
    • /
    • 2021
  • 증가하는 1인가구에 주목하여 이 연구는 1인가구의 건강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가족생태학적 관점과 건강가족적 관점을 적용하여 1인가구의 건강성 개념을 규정하였다. 건강성 척도 구성을 위해 1인가구의 기초적인 요구, 개인 영역, 가족 영역, 사회 영역 등을 포함하는 50 항목을 검토하였다. 지역, 연령, 성별 등을 고려하여 317명의 1인가구를 선정, 건강성 척도 항목을 검증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44항목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선정된 건강성 척도는 기본적인 요구(가계경제, 주거, 소비, 미래설계), 일생활 균형(시간사용, 건강, 스트레스), 가족관계, 사회참여(네트웤, 사회적 관심, 지역사회참여) 등 4영역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1인가구의 건강성을 측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삶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s Living at Home)

  • 장경오;김민자;김익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723-4733
    • /
    • 2015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삶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G시 3곳의 노인대학을 다니는 노인 269명을 대상으로 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4년 3월 23일부터 2014년 4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통계방법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평균점수는 27.05점 이었고, 연구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은 생활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676, p<.001), 지각된 건강상태(r=-.602, p<.001)와 삶의 질(r=-.536,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 회귀분석한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삶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명력은 59.3%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삶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을 증가시켜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보건소 금연사업 담당자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a Staff who Manage Quit-smoking Policy on Health Centers)

  • 나백주;이무식;김건엽;김은영;배경희;이주열;오경희;오종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3-192
    • /
    • 2006
  • Objectives: This job analysis of a staff in charge of quit-smoking policy at public health centers aims at providing fundamental information to establish strategies supporting various quit-smoking. Methods: The job analysis of a staff in charge of quit-smoking policy at public health centers was carried out through DACUM(Development of Curriculum) method from April through May 2006. Three experts had developed job description with staffs in charge of quit-smoking policy at public health centers through two workshops. The survey was practiced for staff in charge of quit-smoking policy at the other public health cent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ffs such as age, years for working at public health center, years for charging with quit-smoking work, the proportion of responsibility for quit-smoking work, were surveyed. Results: The research has reached the conclusions below. 1. The job description have been developed considering input-process-outcome axis and plan-do-evaluation axis for quit-smoking policy at public health centers. The final job description is composed of 3 missions, 7 accountabilities, 20 sub-work items. 2. The quit-smoking activity mostly focused at direct education and counselling. But planing and evaluation activity for quit-smoking have been under-achieved. 3. The staffs for quit-smoking policy were feel it is easy to educate and counsel to comer to public health centers for quit-smoking. But having the high proportion of responsibility for quit-smoking policy have usually difficult to do that. So they want to education about counselling for smoker. 4. The staffs who worked over the 2 years for quit-smoking policy the public health center have responded that investigate the smoking rate of the jurisdiction community and the problem of the culture about smoking and smoking policy is important. Conclusions: The study helps reinforcing the initiatives of central government for quit-smoking policy at public health centers. Especially staffs want education in technology area for counselling smoker. And they want nationwide supporting for investigating smoking rate and related factors at the local level.

지역사회 노인의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개인자원,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가 미치는 영향: 대전광역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Community-Residing Elderly's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Effects of Personal Resources,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Focused on Elderl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최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09-51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들이 자신의 노화에 대해 어떤 태도를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고, 개인자원,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노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회 등의 협조를 받아 유의표집으로 60세 이상 노인 19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2.0을 이용해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인 지역사회 노인들은 자신의 노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화태도의 유의미한 영향 요인은 개인자원 중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경제력이 좋을수록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 변수 중에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만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는데, 가족의 정서적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노화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넷째, 사회참여를 많이 할수록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다섯째, 모든 독립변수를 포함시킨 모델에서 가족의 정서적 지지와 사회참여 수준의 유의성이 사라져 자아존중감과 경제력만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성과의 의미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Meaning of Performance of the Elderly Suicide Prevention Service)

  • 이현아;이준우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649-671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실천과정에서 경험하는 성과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제공기관의 기관장, 실무자, 서비스 이용자의 시각에서 나타난 성과를 서비스 제공기관의 측면과 서비스 이용자의 측면, 그리고 다차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의 한 방법으로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제공기관의 기관장과 실무자가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성과는 '서비스 실천과정에서 구조적인 장애물을 인식하고, 서비스 이용자와 지역사회의 변화를 경험하는 성취'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 경험에 따른 내면의 인식변화'로 나타났다. 분석 주체별로 살펴본 성과의 의미와 본질은 첫째, 기관장이 인식하는 성과는 '서비스를 통해 기관의 정체성이 재발견되는 과정'으로, 둘째, 실무자가 인식하는 성과는 '지역사회와 조직에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는 과정 속에서 서비스 이용자들의 변화를 경험하며 지역사회와 조직에서 인정받기'로, 셋째, 서비스 이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경험의 성과는 '벼랑 끝에서 생명의 끈 부여잡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실천현장의 성과측정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사례와 면접을 통해 본 국내 공공도서관의 지적장애인서비스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o Review Publ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송경진;이정은;손지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97-219
    • /
    • 2013
  •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지적장애인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지적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례를 조사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적장애인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직접 지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를 실시해 본 경험이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인서비스는 대부분 상시적인 서비스보다는 단기간의 프로그램 형태였으며, 복지관 등의 외부기관과 협력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직접 이러한 서비스를 실시했던 공공도서관의 사서들은 지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제공의 당위성에는 공감하고 있었으나 운영과 관련된 여러 가지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연구결과 적절한 예산과 인력 지원, 정책적인 견인 조치, 도서관의 기능과 목적에 부합하는 지적장애인서비스 모델의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키넥트를 이용한 걷기게임 '팔도강산3' 개발 및 효과성 연구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 Walking Game 'Paldokangsan3' Using Kinect)

  • 김경식;이윤정;오성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9-58
    • /
    • 2014
  • 본 연구진에서 개발한 '팔도강산3'은 노인용 기능성게임으로서 2012년에 개발된 '팔도강산2'(손잡이/발판을 이용한 기억력 증진 걷기게임)의 후속 작이며, 팔걸이와 발판 인터페이스를 없애고 대신 키넥트를 이용하여 동작인식을 통해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했다. 기대되는 효과는 기억력 증진, 시야 속의 물품을 찾아야하는 집중력 향상, 걷기 운동을 통한 활력감 증진 등이며, 게임플레이의 여가 활동을 통한 정신 건강의 향상을 목표하고 있다. 천안시 노인종합복지관에서 65세 이상 고령자들 25명을 대상으로 2주간의 단기 실험을 하였으며, 기억력과 신체 운동, 정신 건강 영역 중 자아존중감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를 획득하였다.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ing Memo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attention and Aggressive Behavior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Jeong, Mi Young;Lee, Yeon Jung;Kim, Jung Ho;Park, Seo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1권4호
    • /
    • pp.207-213
    • /
    • 2020
  • Objectives: Although aggressive behavio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has previously shown correlations with hyperactivity/impulsivity, few studies have examined its association with inattention or the effect of working memory on aggressive behavior.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inattention and aggressive behavior and the effect of working memo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attention and aggressive behavio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Methods: Thirty-one children and 26 adolescents with ADHD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subjects completed the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 (K-WISC-IV),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and the Korean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Results: Inatten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gressive behavio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and working memory showed an insignificant correlation. However, working memory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aggressive behavior by interacting with inat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ing memory manifested when the working memory index score on the K-WISC-IV was 73.5 points or higher, and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ggressive behavior.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severity of inattention and hyperactivity/impulsivity should be addressed to provide appropriate treatment to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who exhibit aggressive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