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Revitalization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3초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전통마을 여가공간의 보행동선 분석 - 외암민속마을을 사례로 - (Visitor Circulation in Leisure Spaces using Space Syntax - Focusing on Ouam Traditional Folk Village -)

  • 송나균;여정태;고동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09
  • 여가공간에서의 경험은 이용객들이 움직이는 동안 직접적이고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형성된다. 이용객의 움직임은 획득하는 지식과 정보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이용객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동선은 시설이용을 용이하게 하여 쾌적하고 활력적인 공간을 조성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합리적인 동선계획은 공간의 이용 및 활성화,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궁극적으로 공간의 이용가치를 증대시키는 수단이고, 무질서한 동선체계는 길찾기(wayfinding)의 어려움으로 인해 부정적 경험을 유발한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하여 여가공간의 공간구조 지표와 보행량의 상관관계, 방문객의 움직임 등 보행동선 체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인 외암마을은 민속마을로 지정되어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전통마을로 정주공간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연구 결과, 외암마을의 보행동선 구조는 전형적인 트리(tree)구조를 지니고 있어 자연스러운 동선을 형성하고 있지만, 여가공간의 측면에서는 공간의 인지도가 낮아 방문객들이 공간체험 시 길을 잃을 위험이 많고, 경제적인 관람을 유도하기가 어려운 구조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정주공간인 전통마을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는 추가적으로 보행체계의 조정과 보충이 필요하다. 또한, 공간구문론은 다른 유형의 여가공간에서 공간구조 및 보행체계 분석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특정 문화시설 집적지의 활성화 방안 연구 -안동시 종교문화타운 조성을 사례로-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Using Specific Cultural Cluster -Focus on religious cultural town composition in Andong City-)

  • 권기창;윤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776-787
    • /
    • 2014
  • 도시 내의 종교시설집적지를 종교문화타운으로 조성할 경우 각 종교가 지니고 있는 사랑 봉사 화해와 소통 등의 바람직한 가치를 결집시켜 도시공동체의식을 회복하고 도시의 사회문화적 역량을 크게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하여 도심재생과 지역활성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종교 문화시설이 집적되어 있는 안동시 목성동 일원을 종교문화타운으로 조성하여 지역의 교육 문화를 선도하는 중추적인 역할 수행과 함께 지역 활성화의 동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였다. 다종교가 한곳에 모여 있는 종교문화타운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화해와 소통, 봉사를 주제로 개발 컨셉을 설정하였다. 기존 종교시설을 중심으로 개발 컨셉에 따라 공간으로 재구성하고 운영 활성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또한 종교타운이 도시재생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주변지역과의 연계발전방안, 지역주민과의 협력 제체 구축에 대한 방안, 행 재정적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종교문화타운이 활성화 되면 주민의 삶이 질이 향상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사회적기업의 금융지원 활성화를 위한 임팩트투자 연구 - 영국과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Investment for the Revitalizat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Case of Britain and U.S.A.)

  • 장석인;성연옥;임상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2호
    • /
    • pp.151-169
    • /
    • 2015
  • 임팩트투자(impact investment)의 부상에 대한 배경은 자본주의와 경제성장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사회적 문제를 자본시장의 매커니즘으로 풀고자 하는 의지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임팩트투자는 사회공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여 혼합가치(mixed value)를 실현하는 사회적기업에 투자함으로써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형편성을 견인하고 있다. 사회공공성이 짙은 사회적기업의 재원활성화와 국가 복지재정의 위기를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복지를 위한 출구전략'으로서 본 연구는 영국의 Big Society Capital (이하 BSC), 사회성과연계채권(Social Impact Bonds, 이하 SIB) 및 미국의 DBLIF, ACCION International 등과 같은 임팩트투자(impact investment)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임팩트투자의 개념과 특성, 사회적기업과 임팩트 투자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영국이나 미국 등 선진국이 공공성의 성격을 가진 사회적기업의 재원조달 유형으로서의 다양한 임팩트투자 사례를 고찰하고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PDF

비점오염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민의식연구 (A Study of People's Consciousnes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오형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03-813
    • /
    • 2015
  • 본 연구는 수질오염 및 비점오염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식을 알아보고,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과 참여의사 등을 파악함으로써 비점오염 예방과 관리에 있어 일반인들의 참여를 이끌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Onpanel에 가입된 전국 20대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구성은 수질오염 인식현황, 비점오염 예방활동, 비점오염 예방을 위한 대책마련,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국민교육 필요성, 홍보 및 캠페인 참여의식,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조직 활성화 방안 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의 수질오염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점오염 관심도는 연령, 학력, 소득이 높을수록 더욱 높은 관심도를 보여 비점오염원에 대한 홍보 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점오염에 대한 관심도, 정보, 교육, 저감활동 관련 경험이 많을수록 비점오염 저감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비점오염 저감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육 참여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점오염의 관리를 위해서는 국민의 공감대 형성이 반드시 필요하며, 비점오염 관련 정보, 교육, 저감활동에 대한 참여경험을 높이는 시민 활동 프로그램의 공급과 쉽고 전달력 강한 홍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노후 저층주거지 근린재생을 위한 필로티 공간 개선 방향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Piloti Space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Block)

  • 유해연;송준엽;양지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761-770
    • /
    • 2017
  • 본 연구는 근린재생이 필요한 저층밀집주거지역의 연립주택 하부 필로티 공간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협소한 주차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벽식 구조는 배제하고, 필로티의 기둥 사이 유휴공간에 수요자 요구시설을 모듈(Prefabricated frame)을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는 계획을 제안하였다. 모듈을 사용할 경우, 단기간에 미리 제작된 프레임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공기단축, 비용절감은 물론 소음 등으로 인한 민원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거주자 요구에 따라 다른 형태로 축소, 확대한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거주자 면담조사와 필로티 실태 조사를 통해 택배보관소, 휴게공간, 문화 공간, 쓰레기 처리 공간 등이 필요로 하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듈은 4가지로, 삼각모듈, 퍼즐모듈, 박스모듈, 경첩모듈이다.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정리하고, 향후 보완방향을 제안함으로써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도시 균형발전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도심활성화 방안 연구 (시흥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ustainable Downtown Activation Plan Considering Balanced Development of City (Focused on Siheung City in Korea))

  • 박훈;양성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648-4659
    • /
    • 2011
  • 우리나라는 경제의 고도성장으로 급격한 도시화를 맞이하였으며, 경제적 혜택을 위한 이촌향도로 도시규모가 팽창하면서 전국토의 불균형 발전을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이는 전국적인 현상에서 국지적 시단위의 개발에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수도권지역에 위치하는 도시에서 사회적 문제로 까지 되는 경향이 초래되고 있다. 이에 대한 해소방안으로 도시균형발전 측면에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시흥시의 분석을 통해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성을 전제로 한 종합적 접근이 요구되며, 사회 문화 및 경제적 측면으로 확대하여 도시의 균형발전을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신개발과 함께 원도심에 대한 통합적 관리 정책이 요구된다. 이는 다양한 사회적, 물리적 접근과 병행해야 한다. 셋째, 도시공간구조의 연계와 평면적 도시확산에 대한 고려를 통한 도시계획적 측면에서의 접근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도시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이해 관계자 간의 조정과 함께 특히, 지역주민, 민간사업자, 그리고 지역사회의 비영리 시민단체 등 다양한 그룹의 참여를 통한 도시 불균형 해결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위와 같은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행정관청의 지속적인 지원이 수반되어야 하겠다.

도시재생 과정을 통한 전통시장 비주얼머천다이징 성공사례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Merchandising of Traditional Markets in Urban Regeneration)

  • 임진이;이정민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5-63
    • /
    • 2014
  • Purpose -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onsiderations for rejuvenating traditional public market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at is because the traditional market is not just a commercial space but also a living center for local people's existence. Cultural contents like these are invaluable assets in the contemporary economy. However, traditional markets are gradually declining because of changes in distribution systems and consumer lifestyles. New distribution systems such as modern distribution markets, home shopping, and online shopping malls made traditional markets less competitive. Further, traditional markets have not been able to adapt to the changing consumption styles of younger generations. Some say that it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cannot be stopped. However, traditional markets are not just another distribution system but also a valuable resource that encapsulates the local people's tradition and history. Thus, a revitalization strategy for traditional public markets has become an urgent task in contemporar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to activate traditional public markets by making it a community landmark based on visual merchandising perspectives.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Granville Island (Vancouver, Canada) as a role-model project for rejuvenating the traditional market. It investigated Granville Island both with walk-through evaluation and literature reviews. Results - We found that it has been developed not only to improve visual aspects, but also to promote cultural contents with high value added. For example, the developers maintained the visual elements that tell the original history of the site as an industrial factory. The renewal project had a balance between improving the outer look and creating attractive contents. The following are the merits of Granville Island that Korean traditional markets should note. First, they kept the whole area clean and hygienic. Second, merchants are well educated, business-savvy, and consumer-oriented. Third, the area's total environmental designs were done by professionals of a high caliber. Fourth, the city government and the merchants'association were collaborating well in their efforts to accommodate the changing needs of consumers. Conclusions -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as a conclusion. First, it will be a very powerful tool to rejuvenate the traditional market if we can discover unique cultural resources and develop them as cultural products, experiences, and events. Consumers of the 21st century have a strong tendency to consume not only material products, but also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attached to them. Second, in order to maint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s, fostering the viability of the merchants' association and local residents' society would be essential.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traditional market into a cultural place not only for the shopping patronage of local residents, but also for attracting tourists to increase sales. Finally, professional management and design approaches are needed in order to make the traditional market a pleasant space from a visual merchandising standpoint.

울릉도 현포항 개발 거버넌스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Governance of Hyunpo Port)

  • 황윤원;송용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5-42
    • /
    • 2016
  • 본 연구는 울릉도 현포항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공간환경 재생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지역주민, 중앙과 지방정부의 거버넌스에 기초한 어항개발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울릉도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첫째, 현재 울릉도 주거환경의 가장 큰 문제로 접근성 불량, 병원 보건소, 상가 부족 등 생활환경 취약이 높게 지적되었고, 둘째,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울릉도 관련 개발 사업이 실제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울릉도 주민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인식이 많았고, 셋째, 울릉도 관련 개발사업 추진의 애로사항으로 울릉도가 보유하고 있는 각종 자원에 대한 중요성이나 활용에 대한 인식 부족,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부족을 큰 문제로 지적하였고, 넷째, 현재 현포항의 관리수준을 미흡하게 인식하였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개발주체의 지속성, 현포항 개발의 비전제시, 주인의식 전환을 위한 노력, 지역현실을 고려한 단계적 추진, 거대한 테마보다 소규모로 알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개발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재중.재미.재일동포의 거주지 분포와 직업구성의 공간적 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sidential Distribution and Occupational Composition in China, United States, and Japan)

  • 한주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19-234
    • /
    • 1998
  • 본 연구는 소수민족이 이민국에서 부정적인 면만을 나타낸다는 종래의 연구에 대해 긍정적인 면이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해외동포가 많이 거주하고 있는 중국 미국 일본을 대상으로 해외동포의 직업구성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인구규모상 제1위의 도시를 포함하는 지역에는 상업이, 제2위의 도시를 포함하는 지역에는 제조업이 가장 특화된 직업이고, 제3위의 도시를 포함하는 지역은 제1, 2위 도시를 포함하는 각 지역 특화직업의 중간적 성격을 띄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리고 인구규모상 제1위의 도시를 포함하는 지역에는 전문직중인 법조인, 의료인, 종교인, 교육자 등이 특화직업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해외동포는 종래 경제적 지위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으나 앞으로는 경제적인 바탕위에서 우리동포의 강한 교육열로 사회적 지위향상을 위해 노력함 것으로 생각되어 인구규모상 수위도시를 포함하는 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화이트 칼러의 진출이 두드러질 것이다.

  • PDF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트렌드를 반영한 농촌체험마을 조성방안 연구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위봉마을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Creation Rural Experience Village Reflecting the Travel trends of the Post-Corona - A Case of Wi-bong Village in Jeollabuk-do -)

  • 안필균;엄성준;조숙영;김상범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27-39
    • /
    • 2020
  • With the COVID-19 pandemic, the global economy has stagnated and our daily lives have changed. The rural economy is also experiencing damage, such as an average of 65% or more de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to rural experience resort village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arising from the prolonged coronavirus, a hospitality system in response to changes in rural tourism behavior and consumer demand is needed to revitalize rural areas and maintain continuous economic independenc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utilize landscape resources such as education, culture, history, and ecology in order to complement the existing experience programs in connection with local resources and local environment. Wibong Village,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attempted to revitalize the village using the resources through the "Creative village creation" project in 2015. Due to poor management of historical resources, difficulty in operating experience programs, and response to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e rate of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plan was very low. Currently, the demand for experience is also decreasing due to the COVID-19 effect, so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 experience village program suitable for the needs of experienced visitors by discovering additional local resources for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experience vill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use of landscape resources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tudy site, additional investigations of local resources were made, and an experience program course that could be operated by theme was proposed by configuring a space suitable for the use of landscape resources. By dividing the additionally investigated landscape resources into history, ecology, and region, an experiential course was created to separate the traffic lines, and the space composition for large-scale experienced visitors that had been previously operated was constructed in a form suitable for the post-corona era. In addition, at least two experiential tour courses that can be operated by period were proposed to maintain economic effects. Starting with this study, if further research on the cre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a rural experience village centered on the connection with the region, it will be used as research results that can be referenced in projects such as village creation, rural space planning, and living area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construction of a rural area suitable for the post-corona era, where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