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Revitalization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37초

일본 UR도시기구의 안심주공간사업자참여제도를 통한 지역복지거점시설 정비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Local-based Welfare Facilities of Urban Renaissance Agency in Japan by Business Entry System for Stable Living)

  • 유순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9-1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cal-based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respond to secular change of the UR rental housing estates in Japan. The selected case studies for the analysis are Hibarigaoka, Hamakousien, Turumai UR rental housing estates constructed around 1960's. The analysis was done through UR website, 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and MHLW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policy report, and related literature. These case studies are connected with housing policy as well as welfare policy and performed to Stable Living Creation Project by Business Entry System for Stable Living. The types of local-based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classified by welfare corporation and medical corpor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and participative system not only the private sector (welfare and medical Corporation, etc.) but also the public (MLIT, MHLW, UR Renaissance Agency, Local government, etc.). 2) Repurposed of land through rent and transfer of land for local-base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e process of housing stock renewal utilization. 3) The pursue of regional revitalization through attached to multi-generation facility or local community space for elderly in local-based social welfare facilities.

지역자산을 활용한 연안정주지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영도대교 주변 수변지역 자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astal Settlement Activation Plan using Regional Assets Focusing on Waterfront Area Assets around Yeongdodaegyo Bridge -)

  • 박성은;권도헌;이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284-4290
    • /
    • 2015
  • 최근 도심형 연안정주지역은 전통적인 산업기능 쇠퇴와 부동산경기 침체로 전면개발방식보다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활용한 재생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영도구 영도대교 주변 수변지역의 지역자산을 조사하여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자산으로 분류한 후, 이지역의 장소가치를 높일 수 있는 통합적 재생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물리적 재생은 장소와 문화적 특성을 둘째, 사회적 재생은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역브랜드를 셋째, 경제적 재생은 역사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한 문화관광 인프라 구축으로 지역자산 기반형 문화체험을 제공하고, 연안정주지 일원의 도시 활력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지역경제와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A study on cultural revitalization using local idle facilities

  • Kim, Hyo-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0호
    • /
    • pp.173-177
    • /
    • 2021
  • 문화예술은 사람들의 창의력을 향상시켜 정서적인 함양과 함께 우리의 문화체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중요한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은 오늘날에 이르러 한류 등을 통하여 전 세계에 퍼지고 있으며 이는 자연히 최고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하지만 급속한 공업화 및 산업화의 발전은 공장 및 설비산업의 쇠퇴로 인한 자연의 훼손,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공해 및 주변 환경 훼손 등 많은 부정적인 원인도 제공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화 및 공업화로 인해 버려진 유휴공간을 이러한 문화예술을 위한 복합공간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이미지개선과 관광수업의 극대화를 위해 필요한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먼저 요인분석을 통해 유형성을 제외한 총 6개의 요인을 통해 실증 분석이 이루어 졌다. 그 결과를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대응성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효과의 경우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 생태박물관을 활용한 문화유산의 기록과 보존 : 무등산을 중심으로 (A Record and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Web Ecomuseum : the Case of Mountain Mudeung)

  • 노시훈
    • 기록학연구
    • /
    • 제27호
    • /
    • pp.209-238
    • /
    • 2011
  • 1968년 프랑스에서 출현하여 전 세계로 널리 확산된 생태박물관은 유물의 소장 전시보다 어떤 지역의 자연 문화유산 전체를 '본래의 장소에서' 보존 해석하여 그 지역의 장소적 의미를 찾고 주민의 참여와 지역 공동체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유형의 박물관이다. 이 박물관이 갖는 의의는 사라져가는 지역의 집단 기억을 회복하여 주민의 문화적 정체성을 되찾고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하는 데 있다. 그런데 이 박물관은 분산형 야외박물관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흩어져있는 지역 유산 전반에 대한 원격 정보 제공과 종합적 해석이 가능하도록 유산을 디지털화하여 기록 보존 해석 활용하는 '웹 생태박물관'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무등산이라는 지역을 예로 들어 웹 생태박물관의 가능성과 그 구성 내용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후자에 대해서는 지역 고유의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유산을 토대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기록 보존)하고, 웹 전시를 개최(해석)하고, 전자문화지도를 제작(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고위험 노인돌봄과 정신건강 개입의 만남: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내 「특화서비스」 (Integration of care services and mental health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at high risk: the Specialized Service in the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 김유진
    • 한국노년학
    • /
    • 제40권4호
    • /
    • pp.577-598
    • /
    • 2020
  • 돌봄의 사회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사회적 고립과 우울 등이 심한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정신건강 개입의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2020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개편에 맞추어, 2014~19년 시범사업으로 진행하였던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사업'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내 별도의 특화 사업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고위험 노인 대상 정신건강 지원 및 사례관리 서비스를제공하는 것을 기본 골격으로 하는 「특화서비스」는 노인돌봄과 정신건강 서비스가 만난 고위험 노인돌봄의 새로운 실천모델이라고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특화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것의 개념적 틀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국내·외 관련 문헌, 그리고 「특화서비스」의 전신인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 시범사업'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 「특화서비스」 제도화 과정 고찰을 통해 「특화서비스」의 특성 및 개입의 구조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도 초반 현장에서 발생하는 몇 가지 상황을 중심으로 향후 「특화서비스」가 의도한 대로 잘 진행되기 위해 고려할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Mountain Village Promotion Projects in the Forest Sector by Upper-Level Local Governments

  • Kang, Byung-Hoon;Kim, Seong-Hak;Chae, Jin-Ha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07-71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Due to the recent crisis of extinction in local areas, the mountain village promotion policy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This study examined the priorities of major policy projects in the forest sector that affect mountain village promotion. Methods: For research methods, literature search, expert advisory meetings, and a survey were condu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2 policy stakeholders from June 1 to August 13, 2021. The literature search was based on policy projects in the forest sector by 8 upper-level local governments including mountain villages. For questionnaire items, 173 forest policy projects were classified into 27 types through expert review,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type were rated on a 5-point Likert scale. Paired t-test, IPA, Locus for Focus model, and Borich needs assessment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and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0 was used as the analytical tool.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reating forest-related jobs' and 'supporting cultivation of professional forestry workers' both showed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implying that they would show an effect in mountain village promotion. 'Creating forest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discovering forest cultural assets' 'establishing and boosting forest tourism', 'providing forest therapy services', 'creating forest-related jobs', 'supporting community revitalization', and 'urban-rural exchanges' were found to be the types that needed improvement and concentration for mountain village promotion. In particular, 'creating forest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discovering forest cultural assets' were derived as priority considerations for mountain village promotion policies. Conclusion: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promote mountain villages, various content projects must be improved and carried out to enhanc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revitalize mountain villages.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국내 포털사이트 방문간호 기사 내용 분석: 코비드-19 이전과 이후 비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ontents of Visiting Nursing Articles on Domestic Portal Sites Using Topic Modeling: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oronavirus Disease)

  • 임지영;이미진;김근면;이옥균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1-15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ocial perception of visiting nursing before and after coronavirus disease (COVID-19). Methods: This survey-based study used online big data for comparative analysis by classifying the keywords related to visiting nursing searched on domestic portal sites before and after COVID-19.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tertopic Distance Map based o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in this study, four topics were extracted, two each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first topic before the COVID-19 period was termed "the expansion of visiting nursing subjects and services visiting nursing," while the second was termed "visiting nursing," which is related to customized welfare. The first topic after the COVID-19 period was termed "the suspension and resumpt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while the second was "the development of a non-face-to-face home visit healthcare syste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reference data to contribute to future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reform policies starting at the end of COVID-19 and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care for visiting nursing.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효과분석 - 건대앞 노유거리, 성신여대앞 하나로거리, 이대앞 찾고싶은거리를 중심으로 - (A Post Assessment of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s Based on District Unit Plans)

  • 강준모;박현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D호
    • /
    • pp.89-98
    • /
    • 2010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시행된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시행사례인 "건대앞 노유거리, 성신여대입구 하나로거리 이대앞 찾고싶은거리"를 분석함으로써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성과 및 한계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건대앞 노유거리계획과 성신여대 앞 하나로거리계획은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이 처음 시행된(건대 앞 노유거리 : 2001년, 성신여대 앞 하나로거리: 2002년) 의미 있는 거리이며 이후 2005년 시행된 이대 앞 찾고싶은거리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경우 앞서 시행된 두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에서 확인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시행된 측면이 있어 앞의 2개 사업과의 비교를 위하여 함께 분석을 실시하였다.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에 의한 사업은 물리적 가로환경변화에 초점을 맞춰 거리이용특성, 가로시설물, 가로입면의 3가지 측면에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계획에 의한 사업 효과 분석은 사업 전 후 현황을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시행지침에 제시된 3가지 목표의 (목표1. 상점 및 필지별 개보수와 연계할 수 있는 환경개선, 목표2. 이용방식의 개선을 통한 환경개선, 목표3. 서울시 및 자치구의 공공사업과 연계한 설계대상) 달성 수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공공미술의 공공성과 주체간 관계의 특성 -<황금시장 황금시대> 공공미술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The Publicness of Public Art : Focused on the "Golden market, Golden Age" Public Art Project)

  • 남기범;남미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8-134
    • /
    • 2013
  • 이 연구는 정부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새장르 공공미술을 관찰하고, 주체 간 관계에 대한 분석한다. 새장르 공공미술은 사회적 쟁점에 대해 민감하고, 민주주의와 공동체를 지지하며, 다양하고 폭넓은 관객의 참여를 지향한다. 사례지역인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황금시장 황금시대> 공공미술사업의 주체는 사업내용과 방향을 지시하는 정부, 이를 수행하는 예술가, 공공미술 과정에 참여하는 주민 등으로 구분된다. 정부는 경쟁력 있고 질서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공공미술 작업을 초대한다. 예술가는 공동체적 삶을 강조하며 주민을 계몽해야할 대상으로 파악한다. 반면, 주민들은 정부지원금이 경제적인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예술가는 정부의 사업지시를 수용하는 하향식 운영방식을 보이고, 주민은 예술가의 일방적 계몽에 소외되고 소극적 참여를 한다. 새장르 공공미술의 공공성은 다양한 사람들의 담론이 교환되는 장으로서의 사회적 공공성이라기보다는, 공공사업이 가지는 행정적 의미의 공공성만을 담지한다.

  • PDF

서울.경기지역 소비자의 포도음식 선호도 및 개발을 위한 요인조사 (Research on Factors for the Development and Preference of Grape Food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박미연;박경옥;황순란;송은주;박필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17-427
    • /
    • 2011
  • This research obtained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rape foods by investigating the preference for grape foods,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plan of grape foods and obtained knowledge required in order to develop grape foods. The study used 354 consum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istribution of sex on research subjects was as follows. Male was 52.0% (184 persons) and female was 48.0% (170 persons). Age distribution varied by twenties and less than twenties being 30.8%, thirties being 26.3%, forties being 24.6% and the fifties and over being 18.4%. According to the results, preference for grape foods of subjects was that rice wrapped in grape leaves ($2.14{\pm}0.7$) and sweet steamed rice($2.12{\pm}0.8$) were the highest among staple food; grape vinegar($2.38{\pm}0.7$) and grape taffy($2.25{\pm}0.7$) were the highest among spices; grape jelly ($2.53{\pm}0.6$) and grape pudding($2.45{\pm}0.7$) were the highest among snacks; grape juice ($2.70{\pm}0.5$) and grape yogurt($2.59{\pm}0.6$) were the highest among beverages. Subjects responded to the fruit group among food groups harmonized with grape foods(p<0.01). 50.7% of subjects responded to "have to be delicious" and 25.1% of subjects responded to "nutritional balance" as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grape foods. In the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plan of grape foods, Subjects chose with respected importance, personal preference($4.15{\pm}0.8$), price($4.05{\pm}0.8$) and promotional strategy($4.00{\pm}0.9$). In conclusion, the food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plan should use grapes to find out food materials suitable for grape mixture and nutritional balance. We will expect an increase popul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grape foods if we develop grape foods and promote strateg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preference of consumers and the price of produ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