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al Spac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친환경 업무용 건축물의 디자인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Designs in Low Carbon Environment-Friendly Business Buildings)

  • 강연주;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53-163
    • /
    • 2014
  • The eco-friendly elements are important for new construction and renovation and redevelopment of the buildings. The green buildings are related with minimiz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ow to live with nature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demolishing and build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eco-friendly business buildings in the trend of mandatory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The analysis of this paper is comparative studies on practices at eleven domestic eco-friendly business buildings through site survey on design framework of green buildings. The design framework of eleven this buildings is six kinds of skills on technical, renewable, ecological, cultural, healthy, social. The eleven this buildings in the new & renewable energy and IT technology of technical sector are satisfied with the framework. But, domestic most advanced eco-friendly business buildings are placed difference between almost the two times on the lower buildings at comparative evaluation. The three of this buildings are gratified rainwater harvesting and waste recycling systems for renewable and recycle. The buildings have an excellent aspects of technology and ecology. The benefits of this buildings are related with future compulsory zero energy house to take technical advantage of renewable energy. However, the buildings reflecting the regional culture types is insufficient. The buildings should be supplemented as follows. This buildings are need to have the social enhancement programs and design for convenient space of community residents, through health and comfort of on workplace. Moreover, this buildings have features of coexisting with human beings and nature friendly with the aim of realiz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ocial enhancement programs through regional cultural aspects with ecology are related with individual and community livings in harmony, non-hierarchical communal lifes.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aspects provide for consensus about the local community and creating sustainable communities. Thus, The buildings are to have energy saving, pleasant and healthy living environment and interactive individual and community livings in harmony.

디지털 홈 네트워크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 제안 (Digital Home Network Product Design Process & the Design Proposition)

  • 이대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18-127
    • /
    • 2009
  •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공동주거문화의 확산과 국내 신규 분양 아파트 환경의 연속적인 증가 추세가 각 주거공간과 세대간에 홈 네트워크 기기의 수요를 증대시키고 있다. 유비쿼터스의 계속적 진화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도입과 발전이 제품 디자인의 수요를 촉진시키고 있다. 주거문화의 변화와 아파트 실내디자인의 변화는 생활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제품의 디자인에 상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새로운 제품디자인을 요구하고 있다. 실내 제품과의 조화, 인테리어 스타일과 제품, 제품과 패션디자인, 제품과 제품간의 요소적인 인자의 재구성과 융합이 본 디자인 연구의 핵심적 요소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디자인 프로세스는 통합적인 디자인 전략과 컨셉트의 조사와 분석으로 연구되었으며, 디자인의 기능성, 외관의 심미적인 디자인이 일치될 수 있는 3차원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실질적인 디자인 안을 발표함으로서 향후 발전 전망의 단면을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 요소 (A Discussion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Model and Important Factors)

  • 차성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2호
    • /
    • pp.63-76
    • /
    • 2010
  • A law facilitating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was legislated in December 2007. According to the law, projects for facilitating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consisted of a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a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 promotion of a family-friendly culture. There has been much progress in developing a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through projects such as those advocating for flexible work hours, an employee support system, and child care and a family care support system. However, in terms of a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project, there was no noticeable advancement.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ways to vitalize the family-friendly village project in terms of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projec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family-friendly village could be structured on the three axes of time, space, and relation. The model of the family-friendly village project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motivation, systematization, and participating & practicing. In the motivation step, integration, community, and sustainability were needed as basic ideologies for a family-friendly village. In the systematization step, providing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s for residents taking on leadership and activist roles was stressed. In the participating & practicing step, many ways to facilitate residents' social relationships were suggested: starting the project from matters of common interests, making the resolution of families' problems a communal task of the residents, accepting the opinions of various groups associated with the matter, and taking a differentiated project process according to the geographic,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family-friendly village should be taken as a common functional scheme in everyone of eight livable village models because a key factor in a family-friendly village, family care, serves an essential function in any livable village model.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s and Programs of 'Makerspaces' at Public Librarie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89-306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운영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14개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사례인 '무한상상실' 프로그램의 현황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해외의 메이커스페이스와 같이 확대되고 지속가능한 모형으로 발전하기 위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메이커스페이스에 관한 문헌 및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현황조사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의 발전과정, 프로그램 유형, 지원 유형 및 서비스 성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전담사서와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메이커스페이스의 개념 변화, 필요성, 효과성, 한계점 및 향후 발전방안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메이커스페이스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정책방안으로 다양하고 안정적인 재원 확보, 전문 인력 배치 및 훈련, 적극적인 자원봉사자 활용 방안, 홍보전략 수립, 지역주민이 소통하는 공간을 넘어 신기술을 통한 교육과 창조의 공간, 지역 아카이브 생성의 '메이킹'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캐나다의 국가적 아이콘 『빨강머리 앤』의 미국화 (The Americanization of a Canadian National Icon Anne of Green Gables)

  • 강석진
    • 영어영문학
    • /
    • 제54권4호
    • /
    • pp.561-577
    • /
    • 2008
  • L.M. Montgomery's Anne of Green Gables is not only confidently labelled a Canadian classic but also placed as a national icon along with the moose, the beaver, and the Habs in Canada. Anne's 'Canadianness' is partly due to its location in the rural world of Prince Edward Island. The fictional Avonlea is described as the ideal space where Canadian spirit can interact with the personified surrounding landscapes through Celtic imagination. Additionally, the communal bond of Avonlea fully demonstrates Scottish Canadian identities. The Scottish national character of Avonlea is responsible for clannishness of the Cuthberts and the Lyndes. The disrespect to the French is also due to Scottish heritage in Avonlea. As an outsider Anne wants to be integrated into the community of Avonlea, and successfully adapts herself to the regional shared values. Meanwhile she partly challenges the strictness and rigidness of the born Canadian Avonlea residents. Despite its Canadian origin, Anne of Green Gables is accepted as part of the American can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Unite States. The configuration of Anne as an American heroine is noticeable among American scholars: by relocating it to the US the female Bildungsroman in the nineteenth century America, a group of literary critics adapt Anne as an American girl for American readers. The heroine of Anne of Green Gables is linked to American novels such as Louisa May Alcott's Little Women, Kate Douglas Wiggin's Rebecca of Sunnybrook Farm and Gene Stratten Porter's A Girl of the Limberlost. Anne is even classified as another Caddie by American literary critics: Anne is placed at the center of Caddie Woodlawn Syndrome as another Wisconsin pioneer child. Canadian identity of Anne is intentionally excluded and Anne was reborn as an American girl in the U.S. In this context, Anne functions as a sign of nation and a site for cross-national identity formation.

정치적 의제로서의 사유와 소통의 장의 실현 -셸리의 『혼돈의 가면극』 읽기 (Embodying a Field of Thoughts and Communications as a Political Agenda: A Reading of Shelley's The Mask of Anarchy)

  • 민병천
    • 영어영문학
    • /
    • 제56권4호
    • /
    • pp.667-690
    • /
    • 2010
  • This essay attempts to read Percy Bysshe Shelley s The Mask of Anarchy by attending to a political agenda that Shelley seeks to propose and embody in the poem. This poem was written as a response to an exceptional political event, the Peterloo Massacre, and thus it is evident that Shelley intended to engage in contemporary politics by writing this poem. As many critics have pointed out, however, the way in which this poem addresses social, plitical issues is ambivalent and even confusing, since it contains many elements that contradict each other, and sometimes its political visions are based on incoherent conceptions. For this reason, this poem has been considered to be a failure as an occasional poem which should provide the reader with a clear direction for political actions. Faced with this critical problem, this essay proposes that the ambivalence this poem reveals-e.g., the confrontation between moderate artistic fantasy and radical tenets-is not a retreat from political activism, as some critics suggested, but a result of its creation and embodiment of a public sphere which invites various social classes and their positions. The mode in which Shelley conceives this unified public sphere in the course of writing The Mask of Anarchy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following three features. First, this poem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thoughts in constituting a communal space between people, thus asking the reader to participate in this process of thinking on given issues. Second, this poem suggests that people should enlighten each other by engaging in communicative reciprocations. Lastly, the public sphere formulated by the previous two features should incorporate various socio-political agents beyond class boundaries (even oppressors themselves) into its own working field. After explaining how these three features are manifested in the poem, this essay argues that the unified public sphere thus formed in the poem is the very agenda that Shelley aims to propose for the contemporaneous politics and culture. As a conclusion, this essay highlights how Shelley s project of creating a unified public sphere finally failed in contemporary history through observing two contrasting receptions of Shelley s works.

2000년대 한국 사회지리학의 경향과 논제들 -(2) 경험적 연구들- (Trends and Issues in Social Geography in the 2000s in S. Korea: (2) Empirical Researches)

  • 최병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735-754
    • /
    • 2012
  • 2000년대 한국사회는 신자유주의화 과정과 도시공간정책의 변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정보사회로의 재편, 외국인 이주자의 급증과 다문화사회로의 전환, 지구온난화와 환경적 부정의의 심화 등 새로운 사회공간적 이슈들을 경험하게 되었고, 이들에 관한 사회지리학적 연구들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들에 대한 논평에 이어서, 이 논문은 2000년대 한국의 사회지리학에서 다루어진 전통적인 연구 주제들에 관한 경험적 연구들에 관한 논평을 제시하고자 한다. 관련 연구주제들은 매우 다양한 이슈들을 포함하지만, 2가지 범주, 즉 도시 및 촌락의 사회지리와 인구 및 이주의 사회지리로 구분된다. 전자는 도시주거와 주거지 분화, 그리고 빈곤 범죄 교육 의료보건 등의 다양한 도시문제들, 그리고 사회복지와 도시 및 촌락공동체, 정체성, 장소성, 사회운동 등에 관한 연구 등을 포함한다. 후자는 인구 이동과 재구성 및 인구 추이, 노령사회의 도래와 노인의 사회복지, 그리고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 사회공간의 형성 등에 관한 인구 및 이주에 관한 연구 등을 포함한다. 앞으로 신자유주의의 심화와 더불어, 정보사회, 고령사회 및 다문화사회로의 전환, 환경문제의 악화 등과 같은 어려운 외적 조건들이 지속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한국 사회지리학은 나름대로 이론의 깊이를 더하고, 연구 주제의 폭을 넓혀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잠재해충 꽈리허리노린재(Acanthocoris sordidus, Coreidae, Hemiptera)의 무리군 형성에 따른 생태적 특성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inter Cherry Bug Acanthocoris sordidus (Hemiptera) and the Effects of Colony Formation on its Potential as an Insect Pest)

  • 강찬영;류태희;권혜리;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35-243
    • /
    • 2016
  • 꽈리허리노린재는 가지과 및 메꽃과 기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꽈리허리노린재는 실내의 $25^{\circ}C$ 조건에서 1세대는 평균 76일정도 소요되며, 성충으로 월동하기 때문에 수명이 길고, 일정한 주기 없이 알을 덩어리로 산란한다. 주로 잎 뒷면에 산란하며, 암컷 한 마리당 평균 195개, 최대 468개까지 산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도가 높아질수록 부화율은 높아지며, 발육기간은 짧아졌지만, $25^{\circ}C$를 제외한 다른 온도에서는 탈피율이 30%이하를 나타냈다. 위 결과를 토대로 선형모델로 추정한 결과 발육영점온도는 $13.9^{\circ}C$, 유효적산온도는 526.3DD를 나타냈다. 고추재배지에서 월동 성충이 6월 말 평균기온 $25.7^{\circ}C$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9월초에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부화한 개체들은 성충이 될 때까지 이동성이 적었으며 밀집하여 분포하였다. 집단을 형성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Net cage와 Y-tube olfactometer를 이용한 행동실험 결과, 암컷은 수컷과 암컷이 모두 있는 곳을 선택하였지만, 수컷은 암컷과 수컷이 모두 없는 곳을 선택하였다. 수컷이 새로운 기주를 찾아 정착하면, 암컷은 기주를 독점한 동종이 많이 있는 기주를 찾아가는 교미와 관련된 행동을 나타냈으며, 통신화합물의 영향은 알 수 없었다. 집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꽈리허리노린재는 좁은 공간에서 집단으로 사육시 약충의 발육기간이 길고 우화율이 높아지는 반면, 개체 사육시 발육기간이 짧고, 우화율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넓은 공간에서는 집단으로 사육 시 약충의 발육기간은 짧고 우화율은 낮게 나타났다.

현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의 인격발달을 위한 예전으로서의 어린이예배의 의미 (The Meaning of Children's Worship as a Liturgy for Personality Development of Children in the Modern Society)

  • 김은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279-306
    • /
    • 2021
  • 본 논문은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아이들에게 예전으로서의 어린이 예배가 아이들의 인격 발달에 필요한 아늑함의 경험과 인격 발달을 후원할 수 있는 중요한 자리임을 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우선 현대사회를 불안 사회로 보고 그 특징으로써 유동 사회와 개인주의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교육 스타일의 변화를 다룬다. 유동 사회에서 아이들은 인격 발달을 후원하는 확고한 형식과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환경을 제공받지 못하며 개인주의와 다원주의의 영향으로 변화된 교육 스타일은 자신의 삶의 방향을 스스로 정하고 끊임없이 선택하고 결정해야 하는 과중한 과제를 요구한다. 아이들에게는 더불어 사는 삶에 도움이 되는 규칙과 형식이 필요하고 인격 발달에 도움이 되는 아늑함을 선물해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예전으로서의 어린이 예배가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인지를 논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두 번째로 예전에 대한 개념과 기능을 다루고 있다. 세 번째는 어린이 예배에서 경험할 수 있는 아이들의 인격 발달에 필요한 요소들을 다룬다. 우선, 아이들이 예전 활동을 통하여 경험할 수 있는 종교적, 미학적, 공동체적인 원동력의 의미를 다룬다. 더 나아가 어린이 예배에서 제공받는 언어와 표현의 의미를 다루고 있으며 끝으로 어린이 예배는 안정감과 아늑함을 경험하는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예전으로서의 어린이 예배가 현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의 인격 발달을 후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조선 15~17세기 수륙재(水陸齋)에 대한 유신(儒臣)의 기록과 시각 매체 (The Joseon Confucian Ruling Class's Records and Visual Media of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during the Fif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 정명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1호
    • /
    • pp.184-203
    • /
    • 2020
  • 조선 개국 후 유교적 가치관으로 성장한 통치 계급에게 불교 의례는 이른바 '위험한 축제'로 인식되었다. 의례는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삶의 중요한 전환점에서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도왔고, 제의를 통해 공동체의 결속을 강하게 했다. 의례 공간에는 도량을 신비로운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다양한 공양구와 기물이 장엄되고 범음구와 범패가 어우러졌다. 그 중에서도 불교 회화는 기층민에게 강한 효력을 지닌 시각 매체로 적극 활용되었다. 생사의 인과응보를 담은 <시왕도>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의식이 마련된 도량에 불화를 헌괘하고 이를 생생하게 설명해주는 '관청(觀聽)'에 대한 수요로 불화의 기능은 더욱 확대되었다. 천도 의례 장면을 담은 <감로도>에는 왕실과 종친의 모습이 강조되어 표현되었다. 중국의 수륙화에서 이 도상은 수륙재에 봉청(奉請)하는 존귀한 대상 중 한 그룹이었으나 16세기 <감로도>에는 왕실의 후원을 상징하며 국행 수륙재의 역사성과 전통을 입증하는 존재로 도해된다. 왕실 후원은 불교 의례에 대한 사회적 공인과 같았고, 이러한 메시지를 드러내고 싶은 흔적이 <감로도>에 남아있다. 의례에 대한 위정자(爲政者)들의 경계는 표면적으로는 군중이 참여하는 의례 공간에 승속(僧俗), 남녀, 신분의 귀천(貴賤)이 함께 어우러지기에 예의가 무너지고 풍기가 문란해질 것이라는 우려였다. 또한 일상으로부터의 일탈, 금기로 부터의 해방이라는 축제의 요소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각 매체는 특별한 힘을 지니고 있다고 인식되었기에 그 힘을 이용하고자 하는 측과 위험성을 우려하는 시선이 공존했다. 실록(實錄)의 기록에서 위험성을 강조하며 불화를 불태우고 불화를 그린 자를 잡아오도록 하는 일련의 조치나, 도성이 텅 비도록 군중들이 모여든 기록은 역설적이게도 불교 의례가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축제의 장으로 인식됐음을 반증한다. 불교 의례는 생의 순환 단계에서 유교가 대체할 수 없는 종교적 기능을 지니고 있기에 쉽게 사라질 수 없었고, 공동체를 통합하는 축제의 요소는 더욱 강화되었다. 조선 후기 <감로도>에는 17세기부터 본격화되는 사당패나 연희패가 도해되고 의례의 현장감이 생생하게 반영되었다. 불행한 죽음을 위로하던 불교 의식은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마련되어 일상의 고단함을 털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축제의 장으로 자리 잡았다. 유교 국가의 정책적 탄압에 '위험한 축제'로 인식되던 불교 의례가 정례적인 세시풍속이자 공동체의 축제로 수용되는 과정을 불교 회화에 재현된 시선의 변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