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on Mode

검색결과 863건 처리시간 0.029초

불임증(不姙症) 환자(患者)의 통계적(統計的) 고찰(考察);서울대학교병원(大學校病院) 불임상담실(不姙相談室) 1872 예(例)의 분석(分析) (An Analysis of Infertility Patients)

  • 장윤석;이진용;문신용;김정구;최승헌;임용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2권1호
    • /
    • pp.47-70
    • /
    • 1985
  • This study was presented of the 1,872 cases of infertile couples who visited and examined at the sterility clinic of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 1980 to Dec., 1983. Age, duration of infertility, past medical history, and other general factors were analyzed, and the factors responsible for infertility were classified and discussed. Mode of treatment, outcome of pregnancy, pregnancy rate responsible for each factor were also presen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fertility was primary in 1,128, or 60.3% and secondary in 744, or 39.7%. 2) The age between 26 and 30 years of age comprised about one half of the total patients. 3) The duration of infertility between 1 and 4 years comprised about three quarters of the total patients, and the mean duration was 3.8 years. 4) The most common medical history in primary infertility was tuberculous disease, and that in secondary infertility was history of previous laparotomy. 5) About two thirds of antecedent pregnancies were abortion. 6) The major etiologic factor of infertility were male factor in 12.3%, tubal factor in 38.8%, ovulatory failure in 25.4%, uterine factor in 8.8%, cervical factor in 5.2%, peritoneal factor in 9.5%, and no demonstrable cause in 11.3%. 7) The types of male factor were azoospermia in 61.6%, oligospermia in 25.8%, low motility in 11.6%, and other abnormality in 1.0%. 8) The types of ovulatory failure were ovarian failure in 7.4%, hypothalamo-pituitary failure in 8.1 %, hypothalamo-pituitary dysfunction (including Polycystic ovarian syndrome) in 30.2%, and hyperprolactinemia in 22.4%. 9) The types of uterine factor were endometrial tuberculosis in 27.5%, uterine synechia in 33.8%, uterine anomaly in 19.7%, myoma and polyp in 9.1 %, and luteal phase defect in 9.9%. 10) The types of peritoneal factor were pelvic adhesion in 80.9% and endometriosis in 19.6%. 11) Surgeries were done in 408 patients, and they were salpingolysis, lysis of extraadnexal adhesion, salpingostomy, fimbrioplasty, ovarian wedge resection for polycystic ovarian disease, tubo-tubal anastomosis, and tubo-uterine implantation in orders. 12) 243 pregnancies were achieved during the infertility work-up, of which livebirth was 46.5%, ectopic pregnancy was 7.4%, spontaneous abortion was 7.8%, and on-going pregnancy or lost to follow-up was 36.2%. 13) Pregnancy rates in various factors were male factor in 18.7%, ovulatory factor in 31.7%, tubal factor in 24.2%, uterine factor in 34.6%, cervical factor in 19.0%, peritoneal factor in 29.0%, combined factors in 10.5%, and unexplained infertility in 37.1%. Pregnancy rate in whole patients was 25.2%.

  • PDF

Survival and Prognostic Factors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n Egyptian Multidisciplinary Clinic Experience

  • Abdelaziz, Ashraf Omar;Elbaz, Tamer Mahmoud;Shousha, Hend Ibrahim;Ibrahim, Mostafa Mohamed;El-Shazli, Mostafa Abdel Rahman;Abdelmaksoud, Ahmed Hosni;Aziz, Omar Abdel;Zaki, Hisham Atef;Elattar, Inas Anwar;Nabeel, Mohamed Mahmou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9호
    • /
    • pp.3915-3920
    • /
    • 2014
  • Backgroun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a dismal tumor with a high incidence, prevalence and poor prognosis and survival. Management of HCC necessitates multidisciplinary clinics due to the wide heterogeneity in its presentation, different therapeutic options, variable biologic behavior and background presence of chronic liver disease. We studied the different prognostic factors that affected survival of our patients to improve future HCC management and patient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s performed in a specialized multidisciplinary clinic for HCC in Kasr El Eini Hospital, Cairo University, Egypt.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ifferent patient and tumor characteristics and the primary mode of management applied to our patients. Furth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statistics. Results: During the period February 2009 till February 2013, 290 HCC patients presented to our multidisciplinary clinic. They were predominantly males and the mean age was $56.5{\pm}7.7years$. All cases developed HCC on top of cirrhosis that was mainly due to HCV (71%). Most of our patients were Child-Pugh A (50%) or B (36.9%) and commonly presented with small single lesions.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was the most common line of treatment used (32.4%). The overall survival was 79.9% at 6 months, 54.5% at 1 year and 22.4% at 2 years. Serum bilirubin, site of the tumor and type of treatment were the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Conclusions: Our main prognostic variables are the bilirubin level, the bilobar hepatic affection and the application of specific treatment (either curative or palliative). Multidisciplinary clinics enhance better HCC management.

퇴원손상환자조사를 이용한 지역간 운수사고 양상 비교 (Inter-regional Transport Accident Mode Comparison Using National Hospital Discharge Patients Injury Survey)

  • 임남구;이진용;나백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747-75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질병관리본부의 퇴원손상환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경제적 수준이 낮은 지역이 그렇지 않은 지역에 비해 다른 운수사고 양상을 보이는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지역의 경제적 수준은 재정자립도를 지표로 삼아 5개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수사고는 25-44세 그룹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운수사고의 유형은 승용차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길 또는 간선도로에서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하였다. 셋째, 지역에 따라 운수사고 유형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응급 입원율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소득수준이 낮은 지역은 골절, 자상, 개방성 상처와 같이 심각한 손상이 주로 발생하고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은 염좌, 긴장, 탈구와 같이 상대적으로 덜 심각한 손상이 주로 발생하는 등 손상 양상의 지역간 차이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지역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따라서, 지역간 소득 수준에 따라 운수사고 양상이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운수사고 예방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공급 전압 변화에 둔감한 Gbps급 저전력 LVDS I/O회로 (Power Supply-Insensitive Gbps Low Power LVDS I/O Circuits)

  • 김재곤;김삼동;황인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6호
    • /
    • pp.19-2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공급전압 변화에 둔감한 Gbps급 저전력 LVDS I/O회로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LVDS I/O는 1.8 V, $0.18\;{\mu}m$ TSMC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 시뮬레이션 및 검증하였다. 설계된 LVDS I/O회로는 송신단과 수신단을 포함한다. 제안하는 송신단은 phase splitter와 SC-CMFB를 이용한 출력버퍼로 구성된다. phase splitter의 출력은 공급 전압이 변화하여도 $50{\pm}2%$의 duty cycle을 가지며 $180{\pm}0.2^{\circ}$의 위상차를 가진다. 출력 버퍼는 SC-CMFB를 이용하여 허용 가능한 $V_{CM}$ 전압 값인 $1.2{\pm}0.1V$을 유지하도록 설계하였다. $V_{OD}$전압 또한 허용범위에서 최소값인 250 mV를 갖도록 설계하여 저전력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수신단은 38 mV의 히스테리시스 전압값을 가지면서 DC옵셋 전압값이 $0.2{\pm}2.6 V$로 넓은 공통 모드전압 범위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고 공급전압 변화에도 rail-to-rail로 복원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신단은 1 GHz에서 38.9 dB의 높은 전압 이득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LED-TV용(用) 전원장치에 적합한 기생 커패시턴스 저감형 Hybrid 초크 코일의 특성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Hybrid Choke Coil with Reduced Parasitic Capacitance suitable for LED-TV SMPS)

  • 이종현;김구용;김종해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85-188
    • /
    • 2018
  • 본 논문은 LED-TV용 SMPS EMI 감쇄 필터에서 적용되고 있는 저주파와 고주파의 광범위한 대역에서 EMI 감쇄가 가능한 기생 커패시턴스 저감형 Hybrid 초크 코일의 코일 구조, 권선 방법 및 섹션 보빈에 따른 기생 커패시턴스 임피던스 모델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생 커패시턴스 저감형 Hybrid 초크 코일은 평각 동선 권선방법을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자동 권선형 공통 모드 초크 코일에 비해 기생커패시턴스($C_p$)을 저감할 수 있다. 기생 커패시턴스($C_p$)가 작아짐에 따라 제안한 기생 커패시턴스 저감형 Hybrid 초크 코일의 1차 공진 주파수는 증가하며 1차 공진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특히 고주파 대역에서 임피던스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생 커패시턴스 저감형 Hybrid 초크 코일은 향후 LED-TV SMPS를 포함한 LED 조명, Note-PC Adapter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리라 사료된다.

DETERMINATION OF SUGARS AND ORGANIC ACIDS IN ORAGE JUICES USING NEAR INFRARED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 Tewari, Jagdish;Mehrotra, Ranajana;Gupta, Alka;Varma, S.P.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522-1522
    • /
    • 2001
  • Beverages based on fruit juices are among the most popular commercially available drinks. There is an ever-increasing demand for these juices in the market. Orange juice is one of the most common as well as most favorite flavor. The fruit processing industries have a tremendous responsibility of quality control. For quality evaluation estimation of various components of the juice is necessary. Sucrose, glucose, fructose, citric acid and malic acid are the prime components of orange juice.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analysis of orange juice. However, conventional and general wet chemistry procedures are currently being used which are no longer desired by the industry owing to the time involved, labor input and harmful chemicals required for each analysis. Need to replace these techniques with new, highly specific and automated sophisticated techniques viz. HPLC and spectroscopy has been realized since long time. Potential of Near Infrared Spectroscopy in quantitative analysis of different components of food samples has also been well established. A rapid, non-destructive and accurate technique based on Near Infrared Spectroscopy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organic acids in orange juice will be highly useful. The current study is an investigation into the potential of Near Infrared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for rapid quantitative analysis of sucrose, glucose, fructose citric acid and malic acid in orange juice. All the Near Infrared measurements were peformed on a dispersive NIR spectrophotometer (ELICO 153) in diffuse reflectance mode. The spectral region from 1100 to 2500nm has been explored. The calibration has been performed on synthetic samples that are mixtures of sucrose, glucose, fructose, citric acid and malic acid in different concentration ranges typically encountered real orange juice. These synthetic samples are therefore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s of natural juices. All the Near Infrared spectra of synthetic samples were subjected to mathematical analysis using Partial Least Square (PLS) algorithm. After the validation, calibration was applied to commercially available real samples and freshly squeezed natural juice samples. The actual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with those predicted from calibration curve. A good correlation is obtained between actual and predicted values as indicated by correlation coefficient ($R^2$) value, which is close to unity, showing the feasibility of the technique.

  • PDF

화천 구운리 일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황반암-섬록암 복합체의 성인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ies of Petrogenesis of Hornblende Gabbro-Lamprophyre-Diorite Complex in Guwoonri, Hwacheon)

  • 김관영;박영록
    • 암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3-169
    • /
    • 2009
  • 화천군 구운리 일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황반암-섬록암 복합체는 암체의 중앙부에 각섬석 반려암체가 넓게 분포하고 소규모로 산출되는 섬록암이 가장자리를 따라 분포하며, 이들 두 암상의 경계부를 따라 맥상으로 관입한 황반암이 존재하는 누대분포 양상을 하고 있다. 복합암체의 중앙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체 또한 휘석의 가상조직을 가지며 아구형의 각섬석 반정을 주요 유색광물로 가지는 각섬석 반려암(Sag)이 주상형의 각섬석을 주요 유색광물로 갖는 각섬석 반려암(Pag)을 둘러싸는 누대분포 양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누대분포양상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지질학적인 작용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섬록암, 황반암 및 각섬석 반려암 사이에서 관찰되는 누대분포 양상은 동일 근원암으로부터 정도를 달리하는 부분용융에 의해 생성된 서로 다른 마그마의 관입에 의해 생성된 반면에, 복합암체의 중앙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체내에서 관찰되는 Sag와 Pag 사이에서 관찰되는 누대분포 양상은 동일한 마그마로부터 암체 내부를 향해 일어난 분별정출 작용의 결과로 형성되었다. 각섬석반려암, 황반암 및 섬록암에서 관찰되는 광물 조성 및 지화학적인 특징은 이들 암석들이 판 경계부에서 다량의 물을 포함한 휘발성 유체가 유입된 부화된 맨틀물질의 부분용융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지시한다.

비차폐 환경에서의 고온초전도 SQUID 2차 미분기의 특성연구 (High-$T_c$ 2nd-order SQUID Gradiometer for Use in Unshielded Environments)

  • 박승문;강찬석;이순걸;유권규;김인선;박용기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5권1호
    • /
    • pp.50-54
    • /
    • 2003
  • We have fabricated $∂^2$$B_{z}$ /$∂x^2$ type planar gradiometers and studied their properties in operation under various field conditions. $YBa_2$$Cu_3$$O_{7}$ film was deposited on $SrTiO_3$ (100) substrate by a pulsed laser deposition (PLD) system and patterned into a device by the photolithography with ion milling technique. The device consists of 3 pickup loops designed symmetrically Inner dimension and the width of the square side loops are 3.6 mm and 1.2 mm, resp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dimensions of the center loop are 2.0 mm and 1.13 mm. The length of baseline gradiometer is 5.8 mm. Step-edge junction width is 3.0 $\mu\textrm{m}$ and the hole size of the SQUID loop is 3 $\mu\textrm{m}$ ${\times}$ 52 $\mu\textrm{m}$. The SQUID inductance is estimated to be 35 pH. The device was formed on a 20 mm ${\times}$ 10 mm substrate. We have tested the behavior of the device in various field conditions. The unshielded gradiometer was stable under extremely hostile conditions on a laboratory bench. Noise level 0.45 pT/$\textrm{cm}^2$/(equation omitted)Hz and 0.84 pT/$\textrm{cm}^2$/(equation omitted)Hz at 1 Hz for the shielded and the unshielded cases, which correspond to equivalent field noises of 150 fT/(equation omitted)Hz and 280 fT/(equation omitted)Hz, respectively. In spite of the short baseline of 5.8 mm, the high common-mode-rejection-ratio of the gradiometer, $10^3$, allowed us to successfully record magnetocardiogram of a human subject, which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the design in biomagnetic studies.

  • PDF

외상성 흉골 골절의 임상적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Traumatic Sternal Fracture)

  • 이성주;구원모;문승철;김대식;이건;임창영;김창회;채성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291-297
    • /
    • 1998
  • 예전에는 그리 흔하지 않았던 흉골 골절이 자동차 사고의 증가와 비례해서 그 빈도가 증가 추세에 있다. 흉골 골절을 유발할 정도의 과도한 충격이나 골절로 인한 골편부는 그 위치가 종격동이나 흉강안의 기관들 근처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관이 흉골 골절로 손상을 받지 않았는지 잘 평가하는 것은 치료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1993년 3월부터 1997년 2월까지 4년간 서울 위생병원 흉부외과에서 치료한 72명의 흉골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흉부 손상 중 흉골 골절의 빈도는 12.2%였고 환자의 평균연령은 43.2세였다. 자동차 사고(84%)와 흉골 체부 골절(95.8%)이 가장 흔한 골절 요인과 위치였고 골절 형태는 골단부 이탈(displacement)이나 교차(overriding)없이 골절만인 경우가 51명(70.8%)으로 가장 많았고 골단부의 이탈은 전방(anterior, 19.4%)이 후방(posterior, 5.6%)보\ulcorner 많았다. 흉부 좌상 환자(LDH:13%, CPK:14%, CK-MB:12.2%, CK-MB>6% of CPK:5.3%)보다 흉골 골절 환자(LDH:56.8%, CPK:66.6%, CK-MB:43.1%, CK-MB>6% of CPK:25.4%)와 흉골 골단부 이탈로 수술 받아야 했던 환자(LDH:76%, CPK:95%, CK-MB:38%, CK-MB>65% of CPK:33%)에서 심동위효소 증가의 빈도는 컸고, 심동위효소의 평균 수치도 높았다. 그러나 증가된 심동위효소의 수치가 정상화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흉부 좌상 환자와 흉골 골절 환자 사이에 별 차이가 없었다.

  • PDF

대용량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에 있어서 보호협조기기의 최적 운용알고리즘 (Optimal Operation Algorithm of Protection Devices in Distribution Systems With PV System)

  • 권순환;이후동;남양현;노대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7-26
    • /
    • 2018
  • 최근, 대용량의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은 기존의 단방향과 달리 양방향의 조류가 발생하고, 태양광전원의 연계위치 및 고장위치에 따라 사고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변하여, 보호기기간의 협조시간차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전원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보호기기 정정치를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 보호기기간의 협조시간차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선로에서 고려할 수 있는 3가지 Case의 보호기기 정정치 운용모드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태양광전원의 용량에 따른 최적의 보호협조 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한편, 이를 바탕으로 보호협조 전용소프트웨어인 Off-DAS를 이용하여,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을 모델링하고, 보호기기(변전소 계전기, 리클로저(Recloser), 고객계전기, 태양광전원 고객계전기)간의 협조시간차 특성을 분석한다. 실 계통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보호기기의 정정치 운용 모드와 정정치 산정 방식이 태양광 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 보호기기간의 협조시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