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on Belief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8초

중국 연변 조선족 별거가족과 동거가족 유아의 가족생활 경험 (Korean-Chinese Children's Family Life in Yan-Bian, China : Separated From or Living with Their Parents)

  • 윤갑정;정계숙
    • 아동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69-185
    • /
    • 2007
  • Participant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es of documents were used for collecting data. Children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were living with grandparents because their parents were working abroad. Results included socio-cultural and psycho-social factors. (1) The socio-cultural grounded factors or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family life in both living circumstances included early childhood academic achievement orientation, demands of responsibility and obedience, limited opportunity for social development, and societal phenomenadeveloping wide family concept affected by China's Confucianism and Korean-Chinese social culture. (2) Psycho-social grounded factors included the present care-givers' perceptions of the child's agency and their beliefs in the importance of play and friendship. This affected interactions between child and care-giversand child's self-esteem and friendships.

  • PDF

남성 뇌졸중환자의 성생활 (Sexual Life in Men After Stroke)

  • 김정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92-50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xual life in men after stroke Methods: The subjects were 60 post-stroke patients who visited a convalescent center for disabled people in Seoul, Korea. The subjects wer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nd received physical therapy. Six items of sexual relationship were used to measure sexual life after stroke. Results: The most common sexual changes identified after stroke included decline in satisfaction, libido, coital frequency, satisfaction, and ability to perform sexual activities. Only 20.0%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discussed sexual life with health professionals. Conclusion: The change in sexual life was perceived as negative effects on their attitude toward sexuality. Some attitudes or improper beliefs that could negatively influence sexual readjustment after stroke nay be corrected through adequate counseling. Nurses should present not only accurate information regarding sexual concerns but also they can provide health education and sexual counseling in their practice.

  • PDF

Exploring the Triangular Relationship: Occupational Diseases, Work-Related Illness, and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Sector

  • Yi, Kyoo-Jin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75-885
    • /
    • 2023
  •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evolving interplay between occupational diseases, work-related illnesses, and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ocusing on the past twenty years. One significant discovery is the 19-fold escalation in reported occupational diseases, prompting an examination of their root causes and connections to workplace environments. Frequently encountered work-related ailments include physically strenuous tasks, low back pain, and cerebrovascular issues, highlighting the need for robust prevention and management approaches. Predominantly, noise-induced hearing loss and pneumoconiosis are the most common occupational diseases. The study unveils notable correlations between specific work-related illnesses and accidents, indicating the necessity for bespoke safety measures. Additionally, a pronounced association between work-related illnesses and occupational diseases offers insights into underlying risk factors. Remarkably, the findings propose a bidirectional link between occupational diseases and accidents, challenging traditional beliefs about causality. These insights are pivotal for enhancing safety protocols, focusing on preventive measures, and foreseeing occupational diseases that may arise following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남자 청소년을 둔 학부모 대상 HPV 및 HPV 백신 지식 관련 교육 전후 지식과 태도의 변화: 서울시 동대문구 지역을 중심으로 (An Increase in HPV-related Knowledge and Vaccination Beliefs Among Parents of Adolescent Sons in Dongdaemon-gu, Seoul, Korea)

  • 김세영;최지혜;김수연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7-53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Human papillomavirus (HPV) is the most common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globally and is responsible for multiple clinical outcomes, including genital warts and cervical, anal, and oropharyngeal cancers. Despite the well established burden of HPV on both men and women, vaccine uptake among men is critically low in Korea. A preliminary step to combat this issue is to target parents of male adolescents.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assess any change observed in parents' HPV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male HPV and subsequent willingness to vaccinate their sons following an HPV educational intervention. Methods: On November 14, 2020, a one-time HPV educational session was conducted and parents (n=136) completed self-administered pre-/post-test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previously validated survey items. Paired t-tests were used to evaluate change in HPV-related knowledge, attitudes and intent for HPV vaccination. Results: Following the intervention, participants reported increased scores in HPV and vaccine related knowledge by approximately 4 and 1.5 points, respectively (p<.001). Parents scored higher on perceived benefits of the vaccine, perceived social influence on vaccination decision and perceived severity of diseases caused by HPV infections, whereas lower scores were observed for perceived harm of the vaccine, and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their sons about sex and HPV vaccination. Following the intervention, those without the intent to vaccinate their son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ose who intended to vaccinate their sons though not in the next six months significantly increased (χ2=33.045, p<.001) Conclusion: Our educational intervention resulted in an increase in HPV-related knowledge with a positive impact on parents' attitudes toward male HPV vaccination. We expect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pivotal reference to promote the unexplored issue of HPV vaccination among male adolescents in Korea.

우리나라 일부 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및 섭취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ts Related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김선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0-159
    • /
    • 2010
  • We surveyed 848 university students, $21.4{\pm}2.5$ years of age, attending university in Seoul, Kongju, Chongyang-Gun in the Chungnam province of Korea, for their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HFF) and for significant variables in this use, name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variables, dietary variables and nutritional beliefs. The prevalence of the use of HFF was 33.6%. Among all types of HFF, nutritional supplements were taken most frequently, followed by (in order) red ginseng products, apricot extract products and ginseng products. HFF use was higher in females (p<.05), in subjects living in a dormitory (p<.05) and those from families with a relative high socioeconomic status (p<.001). Self-health concern (p<.05) and usage ratio of HFF by family (p<.001) was higher in users than in nonusers of HFF. The total score of dietary assessment was higher in users than in nonusers of HFF (p<.001), and users had a more positive point of view concerning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HFF than did nonusers (p<.001). Most users took HFF when they were healthy (37.2%) or when they were sick (27.4%). They did not feel special effects through the HFF use (49.8%). Most users got the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s of HFF from family and/or relatives (55.8%). Most of users confirmed nutrition facts when they purchased the HFF (70.9%), but a considerable number of users could not understand these nutrition facts (48.1%). Users preferred vitamin C- and Ca-supplements most among vitamin mineral supplements belonged to HFF. Thes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HFF is comm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s well, the use of HFF by students is affected by various variables. Supplementary nutritional education should be undertake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give them a reasonable guideline for the use of HFF, based upon influencing factors and usage behaviors that we learned from this survey.

『하재일기』에 나타난 국가의례와 민간신앙 일고찰 (Consideration on National Rituals and Folk Beliefs Found in 『Hajaeilgi』)

  • 송재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349-371
    • /
    • 2017
  • 사옹원(司饔院) 분원(分院)의 공인(貢人)이었던 지규식이 1891년 1월 1일부터 1911년 윤6월 29일까지 20년 7개월에 걸쳐 거의 매일 쓴 "하재일기"에는 보고 들은 국내외 정세와 풍속, 의례, 분원 관련 각종 제반사항, 일상생활사 등을 다방면에 걸쳐 다양하게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필자가 여기서 주목한 것은 "하재일기"에 기록된 민속 관련 내용이다. 지규식은 양반이 아닌 신분으로 당시 실제로 행했던 세시풍속 민속놀이 의례 민간신앙 등 민속 관련 내용을 "하재일기"에 기록으로 남겼다. 이러한 일기는 드물 뿐만 아니라 자료적으로도 그 가치가 매우 높이 평가되며, 민속학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하재일기"에 나타난 민속을 연구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국가의례와 민간신앙에 초점을 맞추었다. 앞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가의례의 경우, 가례(嘉禮)는 황제의 즉위기념일과 황제 황태자 탄신기념일 관련 기록만 전하고 있어 아쉬움이 남지만, 국가적인 기념식과 경축식행사를 백성들이 충실하게 실행하였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이러한 국가적인 기념식과 경축식행사 때 학생들에게 애국가를 제창케 했다는 사실이 눈길을 끈다. 흉례(凶禮)는 궁중상례 관련 내용만 전하고 있는데, 민비의 상례를 제외하고는 궁중 상례를 종전처럼 절차에 의해 제때 제대로 치루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백성들도 정부의 명에 따라 이를 잘 실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일본인들이 민비를 살해하고 석유를 뿌려 시신을 불태워 재로 된 것을 버려둔 채 간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간신앙의 경우, 분원에서 정기적으로 동리의 신사를 지냈고, 동리에서도 매년 고청신사를 지냈는데, 제사비용은 마을 사람들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차등적으로 배분해 추렴하고, 마을 사람들 모두 힘을 합쳐 제수를 준비하고 제사를 지냈다. 제사는 산신당과 부군당에도 지냈으며, 무당을 불러 굿을 하는 것이 통례였다. 이는 자료적으로 가치가 있다. 그런데 지규식은 기독교인이 된 후, 회사에서 지내는 신사 제사를 폐지하려 한 적이 있을 뿐 아니라 새신(賽神), 즉 굿이나 푸닥거리하는 것도 없애려 했지만, 전례대로 어쩔 수 없이 따랐다. 한편, 지규식은 마을에 홍수가 나고 전염병이 퍼지자 마을의 안녕과 건강을 위해 자기 집 앞에 제단을 설치하고 희생과 술 등 제수를 갖추어 마을사람들과 함께 황천후토(皇天后土)에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이 있는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규식은 집안에 우환이 있을 경우, 무당을 불러 굿을 하거나 산신에게 치성을 드리는 등 이러한 무속이나, 주로 정초에 관성제군(關聖帝君)을 참배하고 한 해의 운수를 점쳤던 것들은 모두 민간신앙으로서 당시 민간에 널리 퍼져 있었을 뿐 아니라, 그의 생활 속에도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규식의 풍수신앙 선호도 당대인들의 일반적인 인식태도와 다르지 않다고 여겨진다. 이상에서 보듯, "하재일기"에 나타난 국가의례와 민간신앙 관련 내용은 자료적으로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민속 연구의 일환으로도 의미가 있으며, 민속학적으로도 나름대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미국 내 거주하는 한국 국적을 가진 아동의 초기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영향 중심으로 - (Understanding of foreign-born Korean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in the U.S - Language Development and Maternal Influences -)

  • 서소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31-147
    • /
    • 2005
  • 본 연구는 미국 내 거주하는 한국 국적을 가진 5. 6세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초기 학교 적응에 관련된 변인을 가족, 학교, 또래, 그리고 아동의 언어발달의 측면에서 분석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또한 연구대상의 아동을 적응 집단과 부적응 집단으로 구분하고 두 집단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방식을 심층면접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발달, 또래관계, 학교경험이 아동의 초기 학교 적응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언어발달이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로분석 결과, 아동의 언어발달은 또래관계, 학교경험, 그리고 초기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집단과 부적응 두집단 어머니들과 심층면접에서도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아동의 언어발달 및 초기학교적응에 중요한것으로 나타났다.

조선후기 유서류(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The Materials on Korean Folk Religions in the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Joseon Dynasty)

  • 서영대
    • 역사민속학
    • /
    • 제33호
    • /
    • pp.31-72
    • /
    • 2010
  • 이 글은 조선후기의 대표적 유서인 이수광(李晬光)의 『지봉유설(芝峯類說)』·홍만선(洪萬選)의 『산림경제(山林經濟)』·이익(李瀷)의 『성호사설(星湖僿說)』·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수록된 민속종교 관련 자료들을 살펴본 것으로, 먼저 4종의 유서에서 민속종교 관련 항목들을 추출하여, 그 내용을 표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유서류에서 언급된 민속종교 관련 자료들의 성격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① 이들 유서들은 전대의 것이 후대의 것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면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게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저술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다. 즉 『지봉유설』·『성호사설』·『오주연문장전산고』는 백과전서식 저술답게 민속종교의 다양한 측면을 전하는데 비해 『산림경제(山林經濟)』는 실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그 해결이란 실천적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② 이들 유서는 민속종교를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했다. 그것은 이들 유서가 기본적으로 유교적 관념에 기초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완전한 부정에는 이르지 못하고, 영험성의 일부를 인정하기도 했다. ③ 조선시대 민속종교의 신앙대상들, 즉 성황신·업신·질병신·금부대왕신(金傅大王神)·정득양(鄭得揚)·관왕신(關王神)·부근신(付根神) 등에 대한 유서류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④ 이들 유서류들은 귀신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관심을 보였는데, 그들의 귀신론은 기본적으로 성리학에 기초한 것이면서도 그 영험성으로 말미암아 민속종교의 귀신론을 일부 수용하고 있다. ⑤ 이들 유서류에서는 공통적으로 점복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개인의 운명에 관한 점복은 부정적으로 인식했고, 농사의 풍흉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이해하려 했다. ⑥ 이들 유서류에는 저주와 벽사에 관한 항목들도 상당수 있어, 이를 살펴보았다. ⑦ 무격은 민속종교의 성직자로서 민속종교의 핵심에 서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이들 유서류에서 공통의 관심사가 되었다. 이들 유서에서 무격은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그 영험성의 일부는 인정하고 있었다. 그렇다고 한다면 이들 유서류들은 비록 민속종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고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조선후기 민속종교의 다양한 사실들을 전한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유서류들은 향후 민속종교 연구에서 반드시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자료라 하겠다.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Human Papillomaviruses and Immunization among Turkish Pediatricians

  • Ozsurekci, Yasemin;Oncel, Eda Karadag;Bayhan, Cihangul;Celik, Melda;Ozkaya-Parlakay, Aslinur;Arvas, Mehmet;Ceyhan, Mehme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325-7329
    • /
    • 2013
  • Background: Human papillomavirus (HPV) is one of the most common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us agents, and the effectiveness of vaccine delivery programs will depend largely upon whether providers recommend vaccin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pediatrician characteristics, knowledge, and attitudes associated with HPV and HPV immunization. Materials and Methods: Attendees of the national pediatric meeting in 2011,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at, aside from demographic information, elicited level of agreement with statements regarding HPV, its related diseases, and HPV vaccination. It also documented attitudes and beliefs about HPV vaccination. Results: Of the 480 attendees, 226 (47%) filled in the questionnaire. The level of pediatrician HPV-related knowledge varied. The majority (78%) were aware that HPV infection is the most common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while 51% were unaware that a condom is ineffective protection against HPV infection. Between 60-80%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effectiveness of HPV vaccination for women. On the other hand, only 10% were aware of reasons why men should be vaccinated against HPV. The majority (75%) of Turkish pediatricians were likely to recommend HPV vaccination to their daughter, if they had one. Seventy percent of pediatricians agreed that the HPV vaccination should be added to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NIP) in Turkey. However, the respondents documented concerns about the cost of the vaccination. Conclusions: Increasing pediatricians' knowledge and awareness of HPV and HPV vaccination may assist with the implementation of an effective NIP.

문제행동 양상에서의 성차이 (SEX DIFFERENCES IN BEHAVIOR PROBLEM PATTERNS)

  • 오경자;이혜련;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125-134
    • /
    • 1991
  • 아동기 심리장애의 표현양상에서의 성별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신과 진료기관에 내원한 환자 834명을 부모설문형식의 CBCL을 통하여 평가한 후, 그 자료를 남녀별로 각각 요인분석하여 행동장애 증후군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공격, 과잉활동, 비행, 사회적 위축, 정서불안정, 그리고 신체증상의 여섯 개 요인은 남녀 공통으로 얻어졌으나, 강박, 우울 등의 내면성 증후군과 정신병의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는 요인은 남녀간에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공통적으로 얻어진 여섯 요인들의 경우에도, 그 핵심이 되는 문제행동들은 남녀가 공유하고 있었으나, 그 밖에 측면에서는 남아와 여아 집단은 서로 다른 특징을 보였다. 이같은 문제행동 증후군에서 성별차이는 행동양식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과 관련되어 논의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