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ideration on National Rituals and Folk Beliefs Found in 『Hajaeilgi』

『하재일기』에 나타난 국가의례와 민간신앙 일고찰

  • 송재용 (단국대학교 교양교육대학 교양학부)
  • Received : 2017.11.23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Hajaeilgi(荷齋日記)" was written by Ji Gyu-sik, a gongin of Saongwon(司饔院)'s branch, almost everyday for 20 years and 7 months from January 1st, 1891 until the leap month of June 29th, 1911. It deals with many different areas including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custom, rituals, all the affairs related to the branch, and also everyday life events he did see or hear about. Particularly, Ji Gyu-sik did not belong to the yangban class, and we can hardly find diaries written by such class' people. Here, what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among the things written in "Hajaeilgi" is the contents about folklore. Ji Gyu-sik wrote in his "Hajaeilgi" about things related to folklore, for example, seasonal customs, folk plays, rituals, or folk beliefs that were actually practiced then as a person not belonging to the yangban class. Such diaries are rare, and its value is highly appreciated as a material, and it is meaningful in the aspects of folklore as well. Therefore, as part of the work to look into folklore found in "Hajaeilgi", this author focuses on national rituals and folk beliefs in it. The things that have been discussed earlier can be summed up as follows: About national rituals, it is sorry that it only deals with the emperor's enthronement and emperor and crown prince's birthday in garye(嘉禮); however, it is meaningful to know that the people faithfully carried out national ceremonies and celebrations then. Particularly, it is noteworthy that during the national ceremonies or celebrations, students were asked to sing the national anthem. About hyungrye(凶禮), only it deals with the court funeral rite. Aside from Minbi's funeral rite, the court funeral rite was performed properly at the right time according to the procedure like before, and also, it seems that the people fulfilled it faithfully by order of the government. Also, it can be learned from it that Japanese killed Minbi, burned the body with oil, and left the ashes behind. About folk beliefs, the branch held a memorial service at the shrine of the town regularly. The town, too, performed Gocheongsinsa each year. The money needed for the memorial service was collected from the town peopl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financial situations, and they prepared for jesu for the ancestral rite altogether. The memorial service was carried out in Sansindang or Bugeundang, too, and it was common that they summoned a shaman to perform a gut. The diary is valuable as material. After being a Christian, Ji Gyu-sik once tried to abolish sinsa jesa held in hoesa and get rid of saesin(賽神), that is, a gut or pudakgeori, but he had no choice but to follow the precedent. Meanwhile, it is also noteworthy that when the town suffered from floor and infectious disease, Ji Gyu-sik installed an altar in front of his house for the town's wellbeing and health, prepared for jesu including offerings and drinks, and held a memorial service to Hwangcheonhuto(皇天后土; the gods of heaven and earth) accompanied with the town people. Also, when he had any hardships in his family, Ji Gyu-sik summoned a shaman for a gut or offered a devout prayer to the mountainous god. Such shamanism or the things like worshiping Gwanseongjegun(關聖帝君) mostly in the beginning of January and telling fortunes about the year were all folk beliefs. This was very popular among the people, and it seems that it was deeply rooted in his life as well. Also, Ji Gyu-sik supported Fengshui beliefs, and it seems that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people's general tendencies, either. As described above, "Hajaeilgi" dealing with national rituals and folk beliefs in it is valuable as material and is meaningful for research on forklore, and moreover, it is also significant in the aspects of forklore as well.

사옹원(司饔院) 분원(分院)의 공인(貢人)이었던 지규식이 1891년 1월 1일부터 1911년 윤6월 29일까지 20년 7개월에 걸쳐 거의 매일 쓴 "하재일기"에는 보고 들은 국내외 정세와 풍속, 의례, 분원 관련 각종 제반사항, 일상생활사 등을 다방면에 걸쳐 다양하게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필자가 여기서 주목한 것은 "하재일기"에 기록된 민속 관련 내용이다. 지규식은 양반이 아닌 신분으로 당시 실제로 행했던 세시풍속 민속놀이 의례 민간신앙 등 민속 관련 내용을 "하재일기"에 기록으로 남겼다. 이러한 일기는 드물 뿐만 아니라 자료적으로도 그 가치가 매우 높이 평가되며, 민속학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하재일기"에 나타난 민속을 연구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국가의례와 민간신앙에 초점을 맞추었다. 앞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가의례의 경우, 가례(嘉禮)는 황제의 즉위기념일과 황제 황태자 탄신기념일 관련 기록만 전하고 있어 아쉬움이 남지만, 국가적인 기념식과 경축식행사를 백성들이 충실하게 실행하였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이러한 국가적인 기념식과 경축식행사 때 학생들에게 애국가를 제창케 했다는 사실이 눈길을 끈다. 흉례(凶禮)는 궁중상례 관련 내용만 전하고 있는데, 민비의 상례를 제외하고는 궁중 상례를 종전처럼 절차에 의해 제때 제대로 치루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백성들도 정부의 명에 따라 이를 잘 실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일본인들이 민비를 살해하고 석유를 뿌려 시신을 불태워 재로 된 것을 버려둔 채 간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간신앙의 경우, 분원에서 정기적으로 동리의 신사를 지냈고, 동리에서도 매년 고청신사를 지냈는데, 제사비용은 마을 사람들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차등적으로 배분해 추렴하고, 마을 사람들 모두 힘을 합쳐 제수를 준비하고 제사를 지냈다. 제사는 산신당과 부군당에도 지냈으며, 무당을 불러 굿을 하는 것이 통례였다. 이는 자료적으로 가치가 있다. 그런데 지규식은 기독교인이 된 후, 회사에서 지내는 신사 제사를 폐지하려 한 적이 있을 뿐 아니라 새신(賽神), 즉 굿이나 푸닥거리하는 것도 없애려 했지만, 전례대로 어쩔 수 없이 따랐다. 한편, 지규식은 마을에 홍수가 나고 전염병이 퍼지자 마을의 안녕과 건강을 위해 자기 집 앞에 제단을 설치하고 희생과 술 등 제수를 갖추어 마을사람들과 함께 황천후토(皇天后土)에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이 있는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규식은 집안에 우환이 있을 경우, 무당을 불러 굿을 하거나 산신에게 치성을 드리는 등 이러한 무속이나, 주로 정초에 관성제군(關聖帝君)을 참배하고 한 해의 운수를 점쳤던 것들은 모두 민간신앙으로서 당시 민간에 널리 퍼져 있었을 뿐 아니라, 그의 생활 속에도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규식의 풍수신앙 선호도 당대인들의 일반적인 인식태도와 다르지 않다고 여겨진다. 이상에서 보듯, "하재일기"에 나타난 국가의례와 민간신앙 관련 내용은 자료적으로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민속 연구의 일환으로도 의미가 있으며, 민속학적으로도 나름대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