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nt system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5초

XML에 기반을 둔 C 원시 코드의 주석 관리 시스템 (An XML-based Comment Management System for C Source Code)

  • 박근옥;임종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4호
    • /
    • pp.799-808
    • /
    • 2004
  • C 언어가 주로 사용되는 미션 크리티컬 응용 소프트웨어 영역에는 문서화, 간결성, 정확성을 갖는 원시 코드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XML 기반의 C 원시 코드의 주석관리 체계를 제안한다. 이 주석 관리체계는 주석 사용자 모듈, 검토자 모듈, 주석 추출 모듈, 주석 추적 연계 모듈, 주석 태그 정의 모듈, 저장관리 모들을 포함하는 6개 모듈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정의된 XML 주석 태그는 IEEE 표준 1028과 IEEE 표준 1012를 적용하는 개발공정 활동의 범주를 포함한다. C 원시 코드에 주석을 삽입하고 추출하기 위하여 XML 스키마가 사용되며. 주석 추출 결과의 시각적 표시 처리를 위하여 XSL-FO가 사용된다.

A study on real-time internet comment system through sentiment analysis and deep learning application

  • Hae-Jong Joo;Ho-Bin Song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3-14
    • /
    • 2023
  • This paper proposes a big data sentiment analysis method and deep learning implementation method to provide a webtoon comment analysis web page for convenient comment confirmation and feedback of webtoon write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rtoon industry in the video animation field.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y of automatic analysis due to the nature of Internet comments and provide various sentiment analysis information, LSTM(Long Short-Term Memory) algorithm, ranking algorithm, and word2vec algorithm are applied in parallel, and actual popular works are used to verify the validity. If the analysis method of this paper is used, it is easy to expand to other domestic and overseas platforms,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video animation content fields, not limited to the webtoon field

  • PDF

그래프 구조를 이용한 악성 댓글 분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licious commen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graph structure)

  • 성지석;임희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3-28
    • /
    • 2020
  • 인터넷상의 소통을 위해 댓글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온라인상의 익명성을 악용하여 타인에 대한 부적절한 표현 등의 악성 댓글 또한 존재한다. 악성 댓글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악성/정상 댓글의 분류가 필요하고 이는 텍스트 분류로 구현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에서 텍스트 분류는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고 최근 BERT 등 pretrained model을 활용한 연구와 GCN, GAT 등의 그래프 구조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공개된 댓글에 대해 BERT, GCN, GAT 을 활용하여 댓글 분류 시스템을 구현하고 성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기반 모델을 사용한 시스템이 BERT 대비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댓글 소통 환경에서 존재하는 인지부조화가 직접 소통 욕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 Dissonance Experienced in Online Communication on Face-to-Face Communication Intention)

  • 이정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4호
    • /
    • pp.61-79
    • /
    • 2022
  • 본 연구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댓글을 사용하여 소통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부조화가 대면 소통의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람들은 댓글로 남들과 소통할 때, 자신 역시 여러 댓글러 중 한명으로서 소통에 평등하게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댓글러들은 인터넷의 익명성에 기대어 자신보다 더 불성실하게 댓글소통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동시에 갖게 되는데, 이것을 일종의 인지부조화로 보고 그것이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 존재가 대면 소통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궁금증, 온/오프라인 간 태도 차이 등 대면 소통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총 323명의 댓글소통 경험자에게 설문을 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가설이 채택 혹은 부분채택 되었다. 본 연구는 댓글 소통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부조화를 구체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사람들이 댓글 소통이 아닌 대면 소통을 원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검증하여 그 시사점을 강조한다. 도구 개발에 있어 초기 연구로서의 한계점이 있으나 추후 연구를 통해 댓글 소통의 효과성과 동시에 대면 소통의 필요조건에 대해 더 연구,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게시물의 댓글 분석 및 시각화 (Analysis and Visualization for Comment Messages of Internet Posts)

  • 이윤정;지정훈;우균;조환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45-56
    • /
    • 2009
  • 오늘날 인터넷 사용자들은 블로그나 뉴스, 인터넷 게시판 등의 매체에서 댓글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의견을 살피고 자신의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블로그나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경우 기사나 댓글들을 순차적인 목록 형태로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의 댓글을 검색하거나 살펴보는 것은 힘든 일이다. 또한 댓글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스팸 댓글이나 악플 등이 사회 문제가 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 아고라(Daum AGORA) 웹 블로그의 게시글과 댓글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유사도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링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클러스터링 결과를 시각화하여 간단한 스크린 뷰(screen view)로 보여준다. 또한, 본 시스템은 생물정보학에서 잘 알려진 정렬 기법인 Needleman-Wunsch 알고리즘을 이용해 스팸 댓글을 필터링한다.

앙상블 머신러닝 모델 기반 유튜브 스팸 댓글 탐지 (Ensemble Machine Learning Model Based YouTube Spam Comment Detection)

  • 정민철;이지현;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576-583
    • /
    • 2020
  • 이 논문은 최근 엄청난 성장을 하고 있는 유튜브의 댓글 중 스팸 댓글을 판별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유튜브에서는 광고를 통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기 동영상에서 자신의 채널이나 동영상을 홍보하거나 영상과 관련 없는 댓글을 남기는 스패머(spammer)들이 나타났다. 유튜브에서는 자체적으로 스팸 댓글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지만 여전히 제대로 차단하지 못한 스팸 댓글들이 있다. 따라서, 유튜브 스팸 댓글 판별에 대한 관련 연구들을 살펴 보고 인기 동영상인 싸이, 케이티 페리, LMFAO, 에미넴, 샤키라의 뮤직비디오 댓글 데이터에 6가지 머신러닝 기법(의사결정나무, 로지스틱 회귀분석, 베르누이 나이브 베이즈, 랜덤 포레스트, 선형 커널을 이용한 서포트 벡터 머신, 가우시안 커널을 이용한 서포트 벡터 머신)과 이들을 결합한 앙상블 모델로 스팸 탐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회전익 항공기 전륜착륙장치 단속거동 현상 개선연구 (An Improvement Study on Stick-Slip Behavior of Nose Landing Gear for Rotary Wing Aircraft)

  • 최재형;장민욱;이윤우;윤종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1-67
    • /
    • 2017
  • The Nose Landing Gear(NLG) of Rotary Wing Aircraft is an essential equipment in Landing System for pilot to perform a flight mission. It supports the fuselage at ground and absorbs the impact from the ground when landing, thereby, these functions sustain operational capability for pilot and crew. However, the A aircraft caused stick-slip behavior when it was stationed on the ground. Therefore, this paper summarizes pilot comment in operation which are classified by cause of occurrence and the troubleshooting process about each comment. It also describes design improvements which was derived from troubleshooting and suggests verification results of flight test.

본문과 덧글의 동시출현 자질을 이용한 역 카이제곱 기반 블로그 덧글 스팸 필터 시스템 (A Comment Spam Filter System based on Inverse Chi-Square Using of Co-occurrence Feature Between Comment and Blog Post)

  • 전희원;임해창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7년도 제1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22-127
    • /
    • 2007
  • 최근 대표적인 1인 미디어의 형태인 블로그는 개인 기록의 수단뿐만 아니라 기업의 홍보에까지 널리 사용되는 인터넷 미디어이다. 그러나 누구나 글을 쓸 수 있다는 자유로움 이면에 이를 이용한 덧글 스팸이 성행이 성행하고 있다. 일반적인 스팸 필터의 경우 그 해당 덧글만을 가지고 스팸 필터링을 한다. 그러나 특성상 스팸인 덧글이 정상인 덧글보다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일반적인 덧글 자체만의 필터링 방법으로는 높은 정확도를 기대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상인 덧글과 본문간의 내용상의 유사도가 있음을 가정해 이런 정보를 역카이제곱 분류기에 동시출현(co-occurrence) 정보로 부여함으로써 스팸 필터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했으며, 실제 그러한 정보를 추가함으로 단순한 확률기반 스팸 필터링 방법을 사용하는 것보다 스팸 필터의 전반적인 성능이 상승되었음을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PDF

영양상담을 위한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연구 (Development of computer programs for Nutrition Counseling)

  • 홍순명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2권4호
    • /
    • pp.275-289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uter system with data file and computerized programs for nutrition counseling. In this research, a 16 / XT personal computer (word : COBOL) compatible with IBM-PC/XT was used. Computer system developed for this study was as follows: Data files(food composition list, food exchange list, nutrition management comment, special diet therapy) were used for analysis the nutritional status and the ntrition education comment. (1) Programs for the nutritional status assessment 1) General information a) Name, age, sex, higher, weight, activity, disease and special diet b) Ideal body weight and Obesity assessment(Kaup index and Broca index) c) Rest and athletics status d) Biochemical data comparision with standard 2) Food Intakes 3) Nutrient Intakes a) Comparison of the amounts intaked with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present weight. b) Comparison of the energy composition rate intaked with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present weight. b) Comparison of the energy composition rate intaked with the recommended for present weight and ideal weight. c) Nutrient analysis by each meal and snack. 4) Food intakes from each food group and comparison with recommended 5) Special nutrient analysis. (2) Programs for the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nutritional status assessment. 1) Suggestion of number of food exchange group 2) Nutritional assessment and advise comments 3) Nutritional management comments 4) Special diet therapy In the study, the nutritioal status and nutrition education comments are based on individual data from nutrition counse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