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shade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45초

간접 수복용 복합레진의 Incisal 색상 적층 두께에 따른 표면 색상 및 색차의 평가 (The evaluation of color and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ayering placement of Incisal shade composites on the body composites of the indirect resin restoration)

  • 박수정;이한영;나명윤;장훈상;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1호
    • /
    • pp.37-49
    • /
    • 2011
  • 연구목적: 간접 복합레진 수복은 직접 수복의 여러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적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간접 수복물의 특성상 치아 삭제 전 술자에 의해 결정된 색상을 기공 과정 동안 재현해야하기 때문에 기준이 되는 shade guide와 실제 간접수복용 레진간의 색상의 일치성이 요구되며, 치아의 다양한 표면의 광학적 특성을 부여하기위한 법랑질 특성의 복합레진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간접 복합레진 수복재료의 색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간접수복용 레진인 Tescera ATL (Bisco, USA)의 Body composite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 기호의 Vitapan shade guide 간의 색차를 알아보고, Body composite와 Incisal composite의 적층 수복 시 색상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직경 5 mm, 두께 3 mm의 원기둥형 Body composite 시편을 각 색상 당 9개씩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제작하고, 표면 연마 후 분광광도계(NF999, Nipon Denshuku, Japan)을 이용해 색상(CIE $L^*a^*b^*$)을 측정하고 Vitapan shade guide의 색상을 측정하였다. 색상 측정이 끝난 Body composite에 9 색상의 Incisal composite를 1 mm 두께로 적층하고 중합, 연마 한 후 적층면의 색상을 측정하였으며, Incisal composite를 0.5 mm 두께만큼 연마한 후 다시 색상을 동일한 측정 기기로 측정하였다. 결과: Tescera ATL과 Vitapan shade guide의 동일한 색상 간에 최소 6.88, 최대 12.80의 큰 색차(${\Delta}E^*$)를 보였으며, 모든 색상에서 시각적으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색상의 Body composite에서 적층한 Incisal composite의 색상에 관계없이 Incisal composite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Body composite 과의 색차가 증가하였다(p < 0.05). 또한 $L^*$값과 $b^*$값은 Incisal composite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a^*$값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Tescera ATL을 이용한 간접 복합레진 수복 시 색상 결정에 있어 기존의 shade guide의 사용은 부적절하며, 동일한 재료로 제작한 개별적인 shade guide가 필요하리라 사료되며, Incisal composite 적용 시 색상 변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신중한 적용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유치에서의 단일 색조 복합레진의 색조 적응력 평가 (Evaluation of the Color Adjustment Potential of Single-Shade Composite Resin in Primary Teeth)

  • 김용순;박호원;이주현;김해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13-120
    • /
    • 2023
  • 모든 유치에 알맞은 색조의 복합레진을 수복하는 것은 소아치과 의사에게 큰 어려움이다. 최근 개발된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구조색 현상을 기반으로 주변 치질과 유사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연구는 단일 색조 복합레진의 유치에서의 색조 적응력(Color adjustment potential, CAP)을 일반적인 다색조 복합레진과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한 개의 단일 색조 복합레진과 두 개의 다색조 복합레진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Single, dual 두 종류의 표본이 제작되어 평가되었다. Single 표본은 실험군 레진을 이용하여 제2유구치 인공치를 복제하여 제작하였다. Dual 표본은 발거된 제2유구치 협면에 와동을 형성한 뒤 실험군 레진을 수복하여 제작하였다. 측색계를 이용하여 발거된 치아 및 제작된 표본의 L*, a*, b* 값을 측정하였다. Single, dual 표본에 대한 ΔEab* 값과 CAP 값의 평균을 계산하였으며 Bonferroni 사후 분석을 이용하여 실험군 레진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단일 색조 복합레진이 다른 복합레진들에 비해 유의하게 큰 ΔESingle 값을 나타내었다(p < 0.0167). 모든 실험군 레진 간 유의한 ΔEDual 값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다른 다색조 복합레진들과 비교 시 가장 높은 CAP 값을 나타내었다.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제2유구치에서 다른 다색조 복합레진에 비해 준수한 색조 적응력을 나타내었다. 단일 색조 복합레진은 제2유구치에서 색조 선택 과정을 단순화하면서 심미적인 수복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지르코니아 코아가 전부도재관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광측색분석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ZIRCONIA CORE ON THE COLOR OF CERAMIC)

  • 배아란;백진;우이형;김형섭;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66-477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 Problem of matching the appearance of porcelain restorations with the patient's natural dentition has always been a concern to dental clinicians. Recently, demands for esthetics, even in restorations requiring strength, has brought a revolution to dentistry and increased use of zirconia. Among the various factors, shade and translucency or the core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overall esthetics of the restoration and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an all-ceramic system.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trophotometrically evalu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zirconia systems and core thickness on the final shade of all-ceramic restorations using the CIEL$^*a^*b^*$ system. Material and Methods: Core specimens (n : 20 per group) of In-Ceram Alumina, In-Ceram Zirconia, Digident CAD/CAM Zirconia, Cercon Zirconia were fabricated 20mm in diameter. 10 specimens of each group were fabricated at core thickness of 0.5mm and 0.7mm. These core specimens were veneered with shade Al & A3 porcelain of the recommended manufacturer. CIEL$^*a^*b^*$ coordinates were recorded for each specimen with a spectrophotometer (Model CM-2600d, Minolta, Japan). Color differences were calculated using the equation ${\Delta}E^*=[({\Delta}L^*)^2+({\Delta}a^*)^2+({\Delta}b^*)^2]^{\frac{1}{2}}$. Results : 1. Specimens of core thickness 0.5mm and 0.7mm did not exhibit clinically perceived color difference. 2. Regarding shade reproducibility, In-Ceram Alumina and In-Ceram Zirconi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each group. 3. Cercon Zirconia group showed the highest $L^*$ value and Digident Zirconia group showed lowest $a^*$ & $b^*$ value. 4. Generally the shade difference between materials was higher in the A3 shade group than in the Al shade group.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re was no color difference after increase in core thickness and every all-ceramic system has color characteristics that clinicians have to consider when selecting materials. Also, manufacturers of different porcelain systems must make every effort to achieve color reproducibility.

지르코니아 코아의 색조부여가 전부도재관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광측색분석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the influence to shade of zirconia core on the color of ceramic)

  • 백기현;우이형;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9-419
    • /
    • 2008
  • 연구목적: 인간은 누구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망을 가지고 있으며 치의학 분야에서도 심미란 중요한 치료목적 중의 하나이다. 최근에는 부하를 많이 받는 구치부에까지 심미적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코아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zirconium oxide의 색상은 흰색-상아색이며, 만약 하부구조물이 이미 인접치의 색조와 조화되어 있다면 색조 부여에 훨씬 유리할 것이며, 원하는 색상을 내기 위하여 필요한 도재층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더 많은 치질을 보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재료 및 방법: 이 연구에서는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3가지 지르코니아 시스템의 코아 색조 부여 유무와 도재층의 두께가 전부도재관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시스템의 코아에 색조 부여를 한 실험군과 부여하지 않은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코아에 축성한 도재층의 두께에 따른 각각의 색조를 분광측색장치를 이용하여 CIE $L^{*}a^{*}b^{*}$ 색체계를 사용하여 색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도재층 0.5 mm 축성시 Lava Frame Zirconia 군과 KaVo Everest Zirconia 군은 코아의 색조 부여 유무에 따라 육안으로 인지 가능한 색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igident CAD/CAM Zirconia 군의 경우 육안으로 인지 가능한 색조차이를 보여 하부 코아의 색조가 충분히 피개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재층의 두께를 0.4 mm로 감소시켰을 때 코아 자체에 색조를 부여한 Lava Frame Zirconia 군과 KaVo Everest Zirconia 군의 경우 육안으로 인지 가능한 색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불투명 도재를 도포한 Digident CAD/CAM Zirconia 군의 경우 육안으로 인지 가능한 색조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코아 자체에 색조를 부여할 경우 지르코니아 코아 자체의 색을 피개하기 위해 도포하는 불투명 도재층 축성에 필요한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색조 재현에 더욱 유리하며, 치아의 삭제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색조 선택 시스템을 이용한 shade guide의 색조 분석 (Evaluation of shade guide using digital shade analysis system)

  • 이승택;이종혁;신수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1
    • /
    • 2009
  • 연구목적: 심미 수복을 위한 색상 결정 방법으로는 색견본 (shade guide)과 치아를 눈으로 직접 비교하는 기존의 비색법과 최근 소개되기 시작한 색상 측정용 기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비색법은 치과의사들과 기공사들 간의 색조 선택에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지만 아직도 이러한 방법에 의한 색상 결정과 결정 색상에 대한 표현 방식이 임상 치의학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료실과 기공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색견본이 같은 값을 가지는지 ShadeEye - $NCC^{(R)}$ dental chroma meter (Shofu Inc., Kyoto, Japan)로 확인하고 또한 이 측정 기기의 두 가지 모드가 동일한 shade tab을 같은 값으로 인식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첫 번째 실험에서는 모두 8개의 Vita Lumin Vacuum shade guide (Vident Inc., California, USA)를 모아 그 중 A1과 B1 shade tab을 각각 5회씩 색상 측정용 기기인 ShadeEye-$NCC^{(R)}$의 tooth mode와 porcelain mode로 나누어 색조 분석을 하였고 두 번째 실험에서는 치과 진료실과 기공소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Vita Lumin Vacuum shade guide를 각각 12개씩 모아 역시 A1과 B1 shade tab을 색상 측정용 기기인 ShadeEye-$NCC^{(R)}$의 tooth mode와 porcelain mode로 나누어 색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 실험에서 8개의 색견본의 A1과 B1의 5회씩 측정에서 두 가지 mode에서 모두 채도 (shade), 명도 (value), 색상 (hue)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두 번째 실험에서는 진료실에서 사용하는 색견본과 기공소에서 사용하는 색견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1의 porcelain mode 에서 채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 (P<.05), 같은 shade tab이라 할지라도 채도에서 차이가 날 수 있음을 보였다. 결론: ShadeEye-$NCC^{(R)}$의 mode에 따라 동일한shade tab을 다른 값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진료실과 기공소 간에 동일한 mode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immersion into solutions at various pH on the color stability of composite resins with different shades

  • Moon, Ji-Deok;Seon, Eun-Mi;Son, Sung-Ae;Jung, Kyoung-Hwa;Kwon, Yong-Hoon;Park, Jeong-Ki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4호
    • /
    • pp.270-275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color changes of a resin composite with different shades upon exposure to water with different pH. Materials and Methods: Nanohybrid resin composites (Filtek Z350XT, 3M ESPE) with four different shades (A2, A3, B1, and B2) were immersed in water with three different pH (pH 3, 6, and 9) for 14 day. The CIE $L^*a^*b^*$ color coordinates of the specimen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immersion in the solutions. The color difference (${\Delta}E^*$) and the translucency parameter (TP) were calculated using the color coordinates. Results: ${\Delta}E^*$ ranged from 0.33 to 1.58, and the values were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pH. The specimens immersed in a pH 6 solution showed the highest ${\Delta}E^*$ values (0.87 - 1.58). The specimens with a B1 shade showed the lowest ${\Delta}E^*$ change compared to the other shades. TP ranged from 7.01 to 9.46 depending on the pH and resin shade. The TP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mmersion in the pH solutions was less than 1.0. Conclusions: The resulting change of color of the tested specimens did not appear to be clinically problematic because the color difference was < 1.6 in the acidic, neutral, and alkaline solutions regardless of the resin shade, i.e., the color change was imperceptible.

CAD/CAM 세라믹의 두께가 색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D/CAM ceramic thickness on shade)

  • 강월;한만소;김지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95-700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D/CAM ceramic thickness on shade. Methods: 24 disk-shaped ceramic specimens (E.Max CAD & Empress CAD, $12mm{\times}12mm$) were prepared and divided into 4 groups (n=6). Ceramic specimens in 2 thicknesses (0.8 mm, 1.0 mm) were made low translucency(LT) shade A2. All specimens were measured as L*, a*, b* using spectrophotometer. The color differences(${\Delta}E$ values) between the specimen and a control target block ($12{\times}12{\times}1.2mm$) were calculated. Two-way ANOVA performed between 2 groups(material and thickness). Results: As the thickness increased, the $L^*$ (for all groups) and $b^*$ value (for all groups) increased and the $a^*$ value(for LR group) decreased. The mean color differences caused by thickness was acceptible (${\Delta}E$ > 2) for group LD1. But the mean color differences by thickness were not selected (${\Delta}E$ < 2) for group LD2, LR1, LR2. Conclusions: The different thickness can influence the final color of CAD/CAM ceramic.

도재층의 두께와 색이 도재수복물의 최종 색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ORCELAIN LAYER THICKNESS AND COLOR ON THE FINAL SHADE OF CERAMIC RESTORATIONS)

  • 성동환;이임기;송진원;복원미;안승근;박찬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87-598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Ceramic restorations should be made of porcelain layers of different opacity, shade, and thickness in order to provide a natural appearance.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system has superior color reproducibility, because it uses the ceramic ingot which is similar to teeth shade and uses the staining technique and layering technique. However, staining technique has a fault of discoloration. Also, porcelain is divided core and dentin layer, it is not enough to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porcelain layer thickness and shade on the shade of ceramic restoration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orcelain layer thickness and color on the final shade of ceramic restorations. Materials and method: The CIE $L^*a^*b^*$(CIELAB) values of 72 assembled specimens, each consisting of 3 discs (enamel porcelain 0.2 mm/dentin porcelain -1.2, 0.9, 0.7, 0.5 or 0.3 mm/ceramic core -0.3, 0.5, 0.7, 0.9 or 1.2 mm, diameter is 1.0 mm) were evaluated with a spectrophotometer (Model Chromaview 300, Spectron Tech Co, Korea) for the shade A1, A2, A3 and A4. Distilled water (refractive index: 1.7) was used to attain optical contact between the layers. White, white gray, and white brown backgrounds were us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background on the final shade. And the mean color difference value$({\Delta}E)$ was calculated.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hickness ratio of the ceramic core/dentin porcelain system and $L^*,\;a^*\;and\;b^*$ values when the total thickness of specimen combination was smaller than 1.4 mm(P<0.05). 2. The specimen which the ceramic core thickness was more than 0.7 mm had the best masking effect against background colors. 3. The mean color difference value$({\Delta}E)$ is smaller than 2 $({\Delta}E<2)$ when the ceramic core thickness was larger than 0.7 mm and the total thickness of specimen was more than 1.4 mm.

광중합 전후 복합레진의 광학적 특성 (Optical characteristics of resin composite before and after polymerization)

  • 엄아향;김덕수;이수희;변창원;박노훈;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3호
    • /
    • pp.219-230
    • /
    • 2011
  • 연구목적: 복합레진의 광중합 전후에 일어나는 색과 투명도 변화를 측정하고, CQ의 함량을 정량하였으며, 광중합 전후 복합 레진의 굴절률을 측정해 이들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Esthet-X, Filtek supreme, Gradia Direct, Clearfil Majesty, Beautifil II에 대하여 Colorimeter NF999를 이용하여 광중합 전후의 색과 투명도를 각각 측정하고, GC-MS를 이용해 각 복합레진의 CQ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spectroscopic ellipsometer를 이용해 광중합 전후의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결과: 투명도는 광중합 후에 증가하였고, body shade에서 opaque shade보다 투명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모든 레진에서 body shade의 CQ 함량이 opaque shade의 CQ 함량보다 높았다. 굴절률은 광중합 후에 모든 레진에서 증가하였으며, body shade와 opaque shade간에 굴절률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광중합 후에는 복합레진의 색과 투명도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임상에서 direct shade matching을 시행할 때는 중합된 레진을 사용하여야 한다.

Color variation induced by abutments in the superior anterior maxilla: an in vitro study in the pig gingiva

  • Atash, Ramin;Boularbah, Mohamed-Reda;Sibel, Cetik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6호
    • /
    • pp.423-432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work is to evaluate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used for making implant abutments, by means of an in vitro study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order to identify the indications for a better choice of an implant-supported restoration in the anterior 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5 implant abutments were tested in a random order in the superior anterior maxilla of pig gingiva (n = 8): titanium dioxide (Nobel Biocare); zirconium dioxide, Standard BO shade (Nobel Biocare, Kloten, Switzerland); zirconium dioxide, Light BI shade (Nobel Biocare); zirconium dioxide, Intense A 3.5 shade (Nobel Biocare); and aluminium oxide. Each abutment was tested for 2 mm and 3 mm thickness. To determine color variation, VITA Easyshade Advance spectrophotometer (Vita Zahnfabrik, Bad Sackingen, Germany) was used.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e color variation induced by the abutment would be affected by the abutment material and gingival thickness, when the gingival thickness is 2 mm. All materials except zirconium dioxide (Standard shade) caused a visible change of color. Then, as the thickness of the gingiva increased to 3 mm, the color variation was attenuated in a significant manner and became invisible for all types of abutments, except those made of aluminium oxide. CONCLUSION. Zirconium dioxide is the material causing the lowest color variation at 2 mm and at 3 mm, whereas aluminium oxide causes the highest color variation no matter the thick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