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emotion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24초

얼굴 특징 변화에 따른 휴먼 감성 인식 (Human Emotion Recognition based on Variance of Facial Features)

  • 이용환;김영섭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79-85
    • /
    • 2017
  • Understanding of human emotion has a high importance in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machine communications systems. The most expressive and valuable way to extract and recognize the human's emotion is by facial expression analysis. This paper presents and implements an automatic extraction and recognition scheme of facial expression and emotion through still image. This method has three main steps to recognize the facial emotion: (1) Detection of facial areas with skin-color method and feature maps, (2) Creation of the Bezier curve on eyemap and mouthmap, and (3) Classification and distinguish the emotion of characteristic with Hausdorff distance.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system, we evaluate a success-ratio with emotional face image database,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facial analysis.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average 76.1% of success to classify and distinguish the facial expression and emotion.

  • PDF

퍼지 논리를 이용한 색채 기반 감성 분석 (Color-based Emotion Analysis Using Fuzzy Logic)

  • 우영운;김창규;김치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45-250
    • /
    • 2008
  • 색채 심리학은 색채와 관련된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색채는 상징성과 이미지를 지니는 동시에 인간과 심리적 교감을 나눈다. 각 색채는 희망, 열정, 사랑, 생명, 죽음 등 다양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 여기에 각 색깔이 주는 독특한 자극은 인간의 감성과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방 모델링을 하고 그 모델링에 사용된 색상 정보를 분석하고 퍼지 소속 함수를 적용하여 소속도를 구한 후, 그 소속도를 퍼지 추론 규칙에 적용하여 각 색채의 빈도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후 그 색채에 따른 인간의 감성 상태를 파악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색체 기반 감성 분석 기법을 알슐러와 해트윅(Alschuler and Hattwick)의 색채에 따른 감성 상태에 적용한 결과, 제안된 기법이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영상의 색변환 (Color Transformation of Images based on User Preference)

  • 우혜윤;강행봉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12호
    • /
    • pp.986-995
    • /
    • 2009
  • 색은 일반적으로 주요 속성인 색상, 채도, 명도가 다양한 수치로 결합되어 사람의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사람은 같은 색이더라도 개인에 따라 다양한 감정을 느낀다. 이러한 색과 감정의 특성을 감성 기반의 디지털 기술과 컨텐츠에 활용하면, 상호작용과 함께 사용자의 흥미와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어떤 색에 대해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를 정의한 다음, 개인의 취향을 최대한 반영한 색변환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색과 감정의 관계를 템플릿으로 정의한 후, 색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색에 대한 개개인의 감정은 다르기 때문에, 각 템플릿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고,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색상, 채도 명도에 대한 선호도를 학습을 통해 가중치를 얻어 적용함으로서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변환을 수행한다. 실험과 설문조사 결과, 템플릿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보다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변환이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켜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내용, 감성, 메타데이터의 결합을 이용한 텍스타일 영상 검색 (Textile image retrieval integrating contents, emotion and metadata)

  • 이경미;박우창;이은옥;권혜영;차은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99-10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텍스타일 영상의 내용 데이터, 감성 데이터, 메타데이터를 결합시킨 영상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섬유 패션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메타데이터와 영상의 색상 및 감성 색상을 이용한 내용의 결합은 그 동안의 섬유 패션산업과 관련된 영상 검색 시스템에서 진일보된 것이다. 우선 메타데이터의 정보를 통해서 영상을 검색하게 된다 검색된 영상 안에서 색상히스토그램과 색상스케치, 감성 히스토그램을 통하여 주어진 영상과 비슷한 영상들을 검색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타일 영상으로부터 감성 특성을 추출하기 위해서, H, Nagumo의 배색이미지차트에서 제안하는 160개 감성어에 대한 감성 색상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텍스타일 영상 검색 시스템에서 부가적인 기능인 돋보기 기능, 색상 히스토그램 기능, 색상 스케치 기능, 반복 패턴 보기 기능을 통해 검색된 텍스타일 영상들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강화하였다.

  • PDF

형판 벡터와 신경망을 이용한 감성인식 (Emotion Recognition Using Template Vector and Neural-Network)

  • 주영훈;오재흥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710-71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식별과 감정을 인식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색차 정보에 의한 형판의 위치 인식과 형판 벡터 추출에 기반 한다. 단일 색차 공간만을 이용할 경우 피부색 영역을 정확히 추출하기 힘들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색차 공간을 병행하여 피부색 영역을 추출하며, 이를 응용하여 각각의 형판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사람의 식별과 감정 인식을 위해서 추출된 형판에 대한 각각의 특징 벡터를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법은 실제 실험을 통하여 그 가능성을 보인다.

An Emotion Classification Based on Fuzzy Inference and Color Psychology

  • Son, Chang-Sik;Chung, Hwan-M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4권1호
    • /
    • pp.18-22
    • /
    • 2004
  •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 person's emotion, since it is subjective and vague. Therefore, we are proposing a method by which will effectively classify human emotions into two types (that is, single emotion and composition emotion). To verify validity of te proposed method,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based on general inference and $\alpha$-cut, and compared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e first experiment emo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uzzy infer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xperiment emo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lpha$-cut.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emotion based on a- cut was more definite that that based on fuzzy inference.

감성이 시각적 이미지의 색감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 on Color Vividness of Visual Memory)

  • 장필식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21-227
    • /
    • 201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effects of various emotions and retention periods on the color vividness of visual memory. Background: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emotions on memory such as visual detail and vividness of emotional events compared to neutral ev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visual memory is ambiguous yet. Furthermore,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effect of emotion on vividness of visual memory. Method: A total of 68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serial experiments proceed on online and the experiments had two phases: recognition phase and reproduction phase. The 15 photographs were used as visual stimuli and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over the internet(experiment website) and the results were collected on the web database. Results: The retention period, sleep-arousal emotion and subjective saturation of visual stimuli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or vividness of visual memor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lor of visual stimulus might be more vividly remembered when it is arousing, the subjective saturation is higher and the retention period is longer. Appli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help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emotions and visual memory.

얼굴 유형별 승용차의 구매 선호 톤 (Preferred Tone of Color in Purchasing Automobile by to Face Types)

  • 김수동
    • 감성과학
    • /
    • 제4권1호
    • /
    • pp.7-14
    • /
    • 2001
  • Based on the past research work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 type and personality, personality and purchasing behavior, personality and preference for color, face type and preference for color, we assumed that there could be certain differences in preferred color tone in purchasing automobile according to face typ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what differences there are preferred color tones of purchasing automobile by face type. The questionnaires on preferred color tone of automobile were investigated, and the tone of color were classified into light, dark, brilliant, plain tones, and the differences of preferred color tone of purchasing automobile were analyzed by the face types. The result showed the facts that compared with the other types, the rectangular face type preferred the light tone of color, whereas the other face types little showed a distinctive inclination for a particular color ton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tilized for automobile sales policy for materials of research into color tones, provided some problems are fixed and the concrete researches into relationship between face type and personality, purchasing behavior, preference for color are carried out.

  • PDF

마감재를 통한 공간감성 표현에 관한 연구 - 감성어휘 평가와 요인분석을 통해 - (A Study on Expression of Space Emotion by Finishing Materials - According to Evaluation of Emotional Vocabulary and Factor Analysis -)

  • 서지은;박의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77-18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as the basic data for design method in commercial space. So, we analyzed whether any emotion was induced by finishing materials in the commercial space. And we was to suggest expression methods of finish materials to induce in the emotional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e could know that the emotional design is needed to enhance satisfaction of consumers. The role of finishing material is very important in emotional expression in the commercial space. Second, we extracted the adjectives vocabulary(14 pairs) to evaluate the space emotion. we could educe the four kinds of space emotion b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we could arrange the emotional words to represent each space type(Decoration : 5 pairs, Expand : 4 pairs, Limitation : 3 pairs, Hierarchy : 2 pairs). Third, to use finishing materials and wall is very effective to induce the emotion in the emotional space. To use the color is good among the elements of finishing materials. Fourth, We could find that the center of the types of emotional space was induced with the boundary and the decoration. If we use contrasting colors and accent colors in the commercial space, we can induce the center and the boundary together. And if we use colorful or unusual patterns, we can induce the center and the decoration together. Fifth, To induce the expand, we should finish with one color in space. And To induce the center, we should finish with one type of the color or pattern and then we should partially use the contrast color and special pattern. the case of boundary, it is good method to part emphasize by color, texture and materials. And we can induce the decoration with materials and patterns.

  • PDF

칼라영상의 감성평가와 이를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검색 (Emotion from Color images and Its Application to Content-based Image Retrievals)

  • 박중수;엄경배;신경해;이준환;박동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2호
    • /
    • pp.179-188
    • /
    • 2003
  • 내용기반 영상검색에서 질의는 영상 그 자체이며 질의와 유사한 영상을 찾는 방식으로 검색이 진행된다. 즉 사용자가 검색을 원하는 영상의 색, 형태, 질감 또는 이들의 공간적인 배치 등의 내용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검색이 가능하다. 이러한 검색방법은 사용자가 검색대상의 내용을 상당 부분 파악하고 있어야 검색이 가능하다는 제약을 수반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영상이 제공하는 감성을 이용하여 칼라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검색과 감성평가가 relevance feedback을 통하여 동시에 진행됨으로 기존의 내용기반 영상검색과 통합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주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과거의 감성기반 칼라영상 검색과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검색기의 평가를 위해 영상속성으로 MPEG-7의 칼라 기술자(descriptor)를 사용하였으며 "깨끗한" "밝은" "재미있는", "포근한" 등의 감성형용사를 적용한 결과 1500개의 벽지영상을 대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과 1500개의 벽지영상을 대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