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Plan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8초

색채 환경을 고려한 서울시 아파트 외관 색채 계획에 관한 연구 (Study on Exterior Color of Apartments in Seoul for the Color Environment)

  • 이영란;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43-150
    • /
    • 2016
  • Color plan that contains corporate color of Seoul apartment has a great influence on city environment, considering high-rise vertical dispersion and ext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iew color plan from an integrative viewpoint. Here, this research aimed at deriving guideline factors of esthetic color plan based on city identity,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partment color and color plan characteristic of recently built brand apartments. Exterior color plan characteristic of Seoul brand apartments seen in this research, first, most of dominance colors were in same color similar tone with warm color in bright and warm image, as the psychological function, accessory colors appeared in similar tone of similar color harmonious with the dominance color. Also, accent color was highlighted with its identity through cooperative color. Second, emotional effect diminished size and weight of high-rise apartment. The upper levels showed clear and clean image, middle to lower level showed stability and comfortable image, on the whole, refined and urbane image that aim for natural and modern image. Therefore, apartment color plan requires, first, in respect of dominance color, unity is required proper for urban image by preparing color permission limitation standard. Second, dominance color and accessory color require historicity and differentiation in sociality that urban identity gets. Third, high-rise upper level cooperative color accent color requires compatibility with urban landscape. Lastly, guideline along with rate is required for color, tone, and pattern, etc. by extent contrast. Here, apartment color plan requires consistent research as urban environment color, also, base study should be accelerated as a part of competitive city branding.

스토리텔링 기반의 경관색채계획 울산광역시 동구 주전마을을 대상으로 (Landscape Color Plan based on Storytelling)

  • 이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10-118
    • /
    • 2012
  •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가 주관하는 "해안마을 경관형성 시범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어 2011년 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시행된 "주전마을 경관형성사업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업 대상지인 울산광역시 동구의 주전마을은 독특한 경관과 문화역사적 특색 등을 보유하고 있으나 지역 특색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행위와 관리 부족으로 특유의 경관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해안마을의 특색 있는 장소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며, 경관색채계획은 마을 단위의 전체적인 조화를 만들고자 할 때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전마을에 대한 지역색 조사와 지역의 역사, 지형적 특성, 주민의식조사를 통해 주전마을의 고유한 경관색채 계획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소규모 마을 단위의 독자적인 경관색채 계획을 위해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주전마을 고유의 색채계획을 개발하고 향후 스토리텔링을 통한 경관색채계획의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 연구 의의가 있다.

패션 색채기획의 실제 - 'D'사(社) 색채기획을 위한 Bloomsbury Group 회화의 색채 이미지를 중심으로 - (Practice of Fashion Color Planning - Focus on Color Images of the Bloomsbury Group Paintings for a Color Plan of Company D -)

  • 한승희;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4호
    • /
    • pp.21-36
    • /
    • 2009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create color plan for company D based on color images of the Bloomsbury Group paintings, which is an art institute based in Bloomsbury, London, a hometown of the company, to renew the traditional brand image of the company by blending fashion and art. This study analyzed 'D's previous F/W Color planning from 2003 to 2007 through NC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company D's color planning. It considered company D's color renewal concept by looking into Bloomsbury Group's backgrounds and pieces. Based on 2008-2009 F/W color trend and the analysis result, the study suggests a color plan with reference to a case study of the company D, for which I work as a colorist. The color renewal of the company D for 2008-2009 F/W season was categorized into theme I. Bloomsbury and theme II. Charleston for planning. The following table summarizes the result of 2008-2009 F/W season color plan with focus on development of new check and print pattern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advanced beyond the color planning stage to be applied to the actual renewal. Through a renewal of an existing brand, a fashion brand can be revitalized to have distinguished competitiveness.

거주자특성을 고려한 주거공간 색채계획 현황조사 연구 - 거주자 특성을 고려한 주거공간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I -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Color Plan considering the Resident's Characteristic in Housing Space)

  • 김순미;안옥희;서지은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5-23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basic data of the color plan to satisfy the internal desire of residents by considering residents's special in housing space. So we analyzed and surveyed the current condition of color plan in housing space where age units of 30~40 are li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when the current place of color distribution was observed, ceiling and general wall showed that N(white) systems and YR of bright tone was mostly distributed. On other hand the bottom showed that the calm tone YR was mostly distributed. we could know that residents wanted to show the special of rooms by using point wall. This tendency more presented in privacy room than public room. Through this study, we could evaluate that the special of residents is not presented in color plan of the housing space where age units of 30~40 are living. So we could think that it is needed methods of color plan considered the special of residents for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 of the design in housing space.

  • PDF

소도시 경관 가이드라인 설정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기본경관계획 수립 지자체 사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of a Small Town Landscape Guideline - Focused on Local Governments in Jeollanam-do Establishing the Basic Landscape Plan -)

  • 김윤학;박성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of an architectural guideline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a urbanscape plan in basic landscape plans established by four local governments(a county level) in Jeollanam-do since the enactment of the landscape la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guideline for landscape plan elements was closely associated with shapes, materials, harmony, and coherence. For the detailed guideline for landscape plan elements, an architectural guideline on the arrangement, height, facade, and roof shapes of buildings, which is one of important elements related to urbanscape, was similar in local governments, showing a standard and uniform tendency. It indicates the limitation of forming urbanscape to enhance local identity and unique features and complementary contents are needed. The color guideline was classified into base color, sub color, and accent color in consideration of local features. In particular, natural material color was commonly used for base and sub color in all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unique material color and distinctive local color for each region.

환경색채계획을 위한 서울시 한강변 아파트 외장 색채팔레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rior Color Palette of the Apartment Buildings around Han River in Seoul for Environmental Color Plan)

  • 최희승;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4-158
    • /
    • 2002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our present exterior color palette of the apartment buildings by Han River, which represents the visual image of Seoul, to reveal how well it is harmonized with its surroundings along with the last 10 years researches, and to compare its correspondence with the city plan of Seoul. Furthermore, it is the ultimate purpose to prepare source materials for desirable color plan of the city.

  • PDF

아파트 외부 색채 환경의 실태연구-일산 신도시 아파트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lities of color in apartment exteriors)

  • 박연선;김지혜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
    • /
    • pp.265-276
    • /
    • 1997
  • 우리 나라 공동주택 외부 색채환경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바람직한 외부 색채환경 조성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조사는 일산 신도시내 아파트 표본 16점을 선정하여 아파트에 적용된 색상을 시감 측색 방법을 통해 주조, 보조, 강조 색으로 구분하여 측색 하였다. 또한, 배색된 색채의 면적 비를 산출하여 적용색상의 구성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단지 내 색채환경을 평가하였다. 일산 신도시에 적용된 색채계획 지침을 검토하여 계획안가 현재 시행 되어있는 색채 현황의 비교를 통해 계획상의 문제점, 시공상의 문제점을 유출하였다. 현재 우리 나라 아파트 외부색채환경은 열악한 상태이고 색채계획도 초기단계에 있어 미흡한 부분이 많으며, 시행에서도 오차가 크다. 바람직한 색채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별 특성을 살린 색채계획수립, 철저한 색채심의를 통한 색채환경 관리, 외장 시공기술의 향상과 표준 색상 지 보급, 건축가들의 색채에 대한 이해 촉구, 색채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요구된다.

  • PDF

지역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경관색채계획 울산광역시 울주군 어음하리마을을 대상으로 (Story Telling-based Scenery Color Plan to Establish Local Identity Focused on Eoeumhari Town, Ulju-gun, Ulsan Metropolitan City)

  • 이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217-227
    • /
    • 2016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이 시행하고 있는 특성화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의 이야기 자원을 이용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경관색채계획에 대한 제언이다. 어음하리마을 특성화마을 만들기 사업은 울산에서는 처음이며, 어음하리 마을의 자원에다가 지역의 이야기를 부여해 스토리텔링 거리로 탈바꿈시키고자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진행 중이다. 울주군은 이들 마을을 정비해 관광객 유치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지역 마케팅이 최근 지역개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는 경관색채계획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어음하리마을의 풍토색을 토대로 이야기 자원에서 브랜드스토리를 추출하고 이를 색채계획에 적용하여 마을 단위의 개성적인 색채 아이덴티티를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이는 현재 지자체 별로 시행하고 있는 대규모 정비에 의한 색채계획에서 탈피하여 색채가 지역 아이덴티티 확립과 더불어 지역활성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발견하는 하나의 방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제품의 색채가 제품의 색채선호도, 이미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Product Color Effect on Product Color Preference, Product Image and Product Attitude)

  • 장남서;김세범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79-88
    • /
    • 2007
  • 기업이 다른 어떤 방법으로 이미지를 쇄신한다고 하더라도 실질적인 제품의 정책과 조화를 이루는 제품의 색채 계획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상품은 신뢰를 얻을 수 없다. 즉, 제품의 색채는 제품의 기능과 용도, 형태, 재질 등의 제품의 특성에 종합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서 제품의 중요한 품질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많은 기업에서는 유행하는 색채나 미래의 소비 심리를 예측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들의 노력을 따라가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색채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사회의 현상을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키우며, 연령별, 소득별 등에 따른 소비자의 생활양식을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젊은 세대들의 제품의 색채 선호 경향을 성별로 알아보고, 제품의 색채가 제품이미지와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연구 자료는 SPSS/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One-Way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제품의 색채에 따라 색채선호도, 제품이미지, 제품태도가 달라진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제품의 기능가치에 부가적인 감성가치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제품의 색채라는 점과, 특히 색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제품인 경우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조사하여, 소비자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미리 점검하고 제품의 색채를 결정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병원공간의 색채환경 실태에 관한 연구 -설계에 따른 마감재에 한해서- (A Study on the Present Color Plan of Environment in the space the Hospitals)

  • 최승희;윤갑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호
    • /
    • pp.144-150
    • /
    • 1999
  • The color planning in the hospital could influence the patient's improvement and lead the users from room to room. This study shows the data of present colors used in the hospitals. In order to get the data,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current color usages of the present interior of hospitals by the individual data from the projectors. The color scheme is analyzed by the rooms which are the common room, the ward, and the examination room along the projectors. It is also analyzed by the finishes of the hospitals, and is addressed to the present color scheme by the means of the hue value, and chroma. The color scheme in the interior design of hospital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hospital users. It has to more sincerely considered to use colors effectively in the hospital interior since people use their organ of vision greatly when they sense things. According to the data, this study is proposed to the effective color plan which is considered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about the human activities, in the interior design of hospitals for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