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Expression

검색결과 706건 처리시간 0.029초

로봇 감정의 강도를 표현하기 위한 LED 의 색과 깜빡임 제어 (Color and Blinking Control to Support Facial Expression of Robot for Emotional Intensity)

  • 김민규;이희승;박정우;조수훈;정명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547-552
    • /
    • 2008
  • 앞으로 로봇은 더욱 사람과 가까워 질 것이고, 따라서 사람과 로봇간의 상호작용도 활발해질 것이다. 이 때 직관적인 소통수단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로봇이 표정을 통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기존에는 얼굴 표정을 주로 이용하였는데, 사람처럼 감정의 강도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얼굴 외의 다른 방법도 필요하다. 로봇이 감정의 강도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팔의 제스처, 움직임, 소리, 색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LED 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색과 깜빡임에 대해 연구하였다. 색깔과 감정의 관계에 대해서는 기존에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만, 실제로 로봇에 구현하기에는 정량적 자료가 부족하여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6 가지 기본 감정(화남, 슬픔, 혐오, 놀람, 기쁨, 공포)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색과 깜빡임 주기를 결정하고, 아바타를 이용하여 감정의 강도를 설문조사 하였다. 결과적으로, 슬픔, 혐오, 화남의 경우 색깔과 깜빡임을 통해 감정의 강도를 높일 수 있었다. 공포, 기쁨, 놀람의 경우 색깔과 깜빡임이 감정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그 감정에 해당하는 색깔이나 깜빡임을 수정해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옻칠과 포셀린150 페인팅의 금속 표면 색상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Color of Ottchil and Porcelaine150 Painting of Metal Surfaces)

  • 노영란;최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659-666
    • /
    • 2016
  • 현대 사회에서 색채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정신적 심리적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색채는 시지각적으로 인간의 마음에 일어나는 감정과 정서를 연출하여 메마른 감성을 치유하며, 환경은 표현된 색채에 따라 삶의 가치를 높여 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의 단조로운 색채표현을 해소하기 위한 측면으로 금속 장신구에 옻칠과 포슬린150물감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응용시켜 다양한 색채변화를 나타내었다. 옻칠과 포슬린150물감의 금속시편을 제작하고 비교 분석하여 장 단점의 결과로 도출하였다. 장점은 이를 접목하는 방법은 금속 색채표현의 일반적인 방법에 비해 색채효과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었고, 표면 코팅 역할을 하므로 기물의 변색을 방지하여 가변적 문제점을 보완해 줄 수 있었다. 단점은 옻칠은 체질에 따른 옻오름 현상이 나타나고, 포슬린150페인팅은 화학성분으로 식기류에 사용하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이를 참고하여 작품에 적용하여 예술성과 실용성 구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마크 로드코의 색면추상에 표현된 색의 확장성 연구 (A Study on the Color Extendability in Mark Rothko's Color-Field Abstract)

  • 김선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39-246
    • /
    • 2013
  •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color extendibility of color-field abstract through Mark Rothko's paintings. Color extendibility is a structure applied by Mark Rothko. He simplifies it and by pursuing autonomy and immediacy of the color itself, including surface color and the front of color-field, Rothko creates value through motions in his square paintings of non-fixed shapes. Chapter 2 revisits the meaning of color in abstract expressionism and explains the principle of color-field by applying the concept of ergon and parergon. In chapter 3, the principle, processes, methods, techniques of expression were studied as a basis to understand color extendibility and color-field abstract. In chapter 4, the works of Mark Rothko were analyzed based on his multiform paintings(1946-1948), number and untitled(1949-1957), and black paintings(1958-1970) in order to identify, in the final chapter, the features of color extendibility in Rothko's works.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the thesis successfully concludes that the artist's reconstruction of reality and readjustment of transcendent reality are reproduced via color extendibility, the movement of color-field.

Color Image Analysis of Cosmetic Web-Site for Color Marketing

  • Lee, Jeongman;An, Jongsuk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6호
    • /
    • pp.127-143
    • /
    • 2012
  •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sensitive image analysing the color tones based on the web-sites of cosmetic brand and to know how the web-site color tones and the color tone image as visual factor for information transfer do influenc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10 cosmetic brand web-sites are selected based on the pre survey, and the main page color tones of cosmetic brand web-site are analyzed by Color Catch and Munsell Conversion program, whereas the composition of color tones and color image such as the main trend colors, secondary colors, accent colors and etc are analyzed by a graphic professional program 'Adobe Photoshop'. 5 color tone groups are classified as Black&White, Green&White, Blue&White, Purple&White and Red&White according to the color distribution chart, and the emotional language is derived applying them to the pre research and IRI image scale. The color association is empirically analyzed by a survey method. The study results finally show Black&White is proper for expression of high quality and modern image, Green&White for pure and clean image, Blue&White for cool and transparent image, Purple&White for mysterious and elegant image respectively. This study results are necessary for plan of color delivering the strong transferring power of visual information the time when to make the effective web-sites, and it hopefully will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the color marketing to actively express the brand identity and to satisfy the consumers' sensitivity.

현실감 있는 3차원 얼굴 애니메이션을 위한 실시간 표정 제어 (A Realtime Expression Control for Realistic 3D Facial Animation)

  • 김정기;민경필;전준철;최용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3-3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동영상으로부터 영상 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얼굴 및 얼굴 특징점들을 자동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얼굴 모델의 표정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현실감 있는 얼굴 애니메이션 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입력 영상의 각 프레임으로부터 얼굴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상 공간을 이용한 파라미터 검출 방법에 대변되는 새로운 비파라미터 검출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파라미터 검출 방법은 일반적으로 얼굴의 피부 색상분포를 가우지언 형태로 표현하며 특히 주변조명의 변화 및 배경 영상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정화한 영역의 검출을 위한 부가적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Hue와 Tint 색상 성분에 기반을 둔 새로운 스킨 색상 공간을 제시하고 모델의 분포특성을 직선 형식으로 표현하여 얼굴검출 시 발생되는 오류를 축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검출된 얼굴 영역으로부터 정확한 얼굴특성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각 특징영역에 대한 에지검색 결과와 얼굴의 비율 비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얼굴의 특징 영역을 검출하였다. 추출된 얼굴 특징점 변화 정보는 3차원 얼굴 모델의 실시간 표정 변화에 적용되며, 보다 실감 있는 얼굴 표정을 생성하기위하여 사람의 근육 정보와 근육의 움직이는 방법을 나타내는 Waters의 선형 근육 모델에 새로운 근육 정보들을 새롭게 추가함으로써 화장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대상의 얼굴표정을 3차원 얼굴 모델에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 PDF

감정표현의 직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색상을 이용한 감정모델의 개발과 적용 (Developing and Adapting an Emotion Model Using Colors for an Emotion Expression)

  • 여지혜;정명범;함준석;박준형;고일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52-157
    • /
    • 2008
  • 인간은 감정을 인지하는데 있어 시각을 많이 사용한다. 인간은 감정을 인지하는데 있어 시각을 많이 사용한다. 빛에 의해 물체를 지가하며 색채의 한가운데 살아간다. 그만큼 색채는 우리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있어 많은 시각정보 중에서도 색채에 대해 민감하게 받아들인다. 그래서 감정을 색채로 표현한다면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색상과 감정 간의 관계연구를 통한 색상을 이용한 감정표현을 목적으로 한다. 정서를 동그라미 모형으로 표현한 Plutchik의 정서동그라미와 색상을 동그라미 모형으로 표현한 모세스 해리스의 해리스1은 기준 축을 중심으로 결합하여 다른 감정을 찾아내거나 색채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색상과 감정 간의 관계연구를 하는데 사용하였다. 두 모델의 유사특징을 이용해 Plutchik의 정서동그라미에서 기본이 되는 감정을 선택해 비슷한 느낌과 특정을 가지는 색상을 모세스 해리스의 해리스1에서 찾아 감정을 매칭 시키는 방법으로 색상환을 이용해 감정을 표현한다. 색상과 감정 간의 매칭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감정의 자극이 계속적으로 들어와 많은 감정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비행슈팅 게임은 여러 가지 감정의 자극이 계속적으로 들어오고, 실시간으로 감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비행슈팅게임의 캐릭터 색상으로 적용해보았다.

  • PDF

현대 건축에 나타나는 색채의 다중적 의미 (Multiple Meaning of Color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최왕돈;양선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9-36
    • /
    • 200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ultiple meaning of color variously expresse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Nowadays heterogeneity, plurality and ephemerality of modem society have been well presente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phenomenal characteristic of color is so appropriate to express the unfixed and immaterialized attribute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at it can make color a major element of architecture, which, in the past, used to be a minor element for the lack of materi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important building projects in terms of color,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rchitectural application of color shows multiple meanings as follows; phenomenal expression, visualization of complex programs and embodiment of design process, reflection of context and control of users' mentality. At the same time, these multiple meanings are complexly presented in a single building project.

$\mathbb{\ulcorner}$영화물언$\mathbb{\lrcorner}$에 나타난 복식자료 연구 -색채와 염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Clothing and Textiles Recorded in $\mathbb{\ulcorner}$Eigamonokatary(영화물언)$\mathbb{\lrcorner}$ -Focus on Colors and Dyeing-)

  • 문광희
    • 복식
    • /
    • 제43권
    • /
    • pp.97-108
    • /
    • 1999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Clothing and Textiles recorded in $\boxDr$Eigamonokatary$\boxUl$ focus on Color and Dying. $\boxDr$Eigamonokatary$\boxUl$is a novel described the life style of Royal Court from 883 till 1107. The discoveries of this paper were as follows. 1. The materials of colors and dyeing which are described in this book reflect the features of the age well. We can assume that the point of its chic might rest on colors and dyeing than design or pattern. 2. Sine they enjoyed wearing lots of clothes which are in the same design but in different colors with the underwear. When color coordinate was fashioned we call them "Kasanenoirome". This type of dressing was in vogue in the age of Heian when there were several devices of showing chic in dressing. 3. The color of clothes at that time might represent one's official position the black the highest class following the purple the red and the blue or green. The black color was made from the purple or blue. The Japanese Emperor would wear reddish yellow or blue cloth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his office work. 4. Some of Japanese fashion might be influenced by Korean styles in the respects of coordinating colors and adjusting Buddhist fashion etc. It is required that the turther studies of comparing Korean fashion styles with Japanese ones should be deepened. deepened.

  • PDF

바디페인팅에 활용된 배색 이미지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Color Combination in Body Painting)

  • 이해미루;김성남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1호
    • /
    • pp.77-94
    • /
    • 2015
  • Due to the inflammatory of body exposure it did not become popular to the Korean nation but the body painting as a body art is definitely required for it be become a new pure artwork. In this body painting color is the core factor for visual part and expression and coloring obtained from the color is very important in creating effective image. In Korea beauty industry the researches are limited to the study on coloring expression of general beauty makeup.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color images in recent body painting artworks by defining characteristics of colors and coloring applied by theme. For the research subjects, dominant and secondary colors were extracted from the artworks presented in preliminary and final rounds of year 2012 and 2013 World Body Painting Festival. For the selection of final coloring stimulation the most frequent coloring by theme was first chosen. Among them, 2 individual coloring bands were selected by theme among the high frequency colors. For the analysis of coloring image shown in body painting works total 8 coloring bands were created and th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indicating each divided coloring band on the coloring image scale by theme. In this research coloring image analysis was done after examining colors and coloring of artworks presented in World Body Painting Festival by theme.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and guideline for coloring design work of body painting by analyzing coloring image used in color and coloring of body painting by theme.

주거공간의 시각적 차별화를 위한 마감재 혼합적 표현방법 연구 (A Study on Mixing Expression Methods of Finish Materials for Visual Differentiation in Housing Space)

  • 서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47-15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plan methods through analyzing preferences on expression methods of materials for visual differentiation in hosing 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we could know that finish material is the important element to make differential design in housing space. It is a effective method to use the color and material of finish materials. Second, we could find they preferred woods in materials and Y color, N9.5, bright and light in colors through grasping preference about types in material elements. The preferred texture is soft and the preferred patterns are solid and geometry. Third, it is a good method to mix materials which give us different season feeling, and to mix colors which are different tones to lead the differential design by materials in housing space. In case texture and patterns, what we mix similar things is the effective method. Fourth, preference of the expression method is manife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lected elements. so when we plan the housing, we have to consider that. lastly, I think this study will be a basic data on a study to differentiate the design of the residential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