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Constancy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9초

기계시각을 이용한 상추의 엽색 및 건강상태 판정 (Determination of Leaf Color and Health State of Lettuce using Machine Vision)

  • 이종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4호
    • /
    • pp.256-262
    • /
    • 2007
  • Image processing systems have been used to measure the plant parameters such as size, shape and structure of plants. There are yet some limited applications for evaluating plant colors due to illumination conditions. This study was focused to present adaptive methods to analyze plant leaf color regardless of illumination conditions. Color patches attached on the calibration bars were selected to represent leaf colors of lettuces and to test a possibility of health monitoring of lettuces. Repeatability of assigning leaf colors to color patches was investigated by two-tailed t-test for paired comparison. It result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ssignment histogram between two images of one lettuce that were acquired at different light conditions. It supported that use of the calibration bars proposed for leaf color analysis provided color constancy, which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a video color analysis. A health discrimination equation was developed to classify lettuces into one of two classes, SOUND group and POOR group, using the machine vision.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developed health discrimination equation was 80.8%, compared to farmers' decision. This study could provide a feasible method to develop a standard color chart for evaluating leaf colors of plants and plant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the machine vision.

고유벡터에 의한 색 일관성의 달성 (Achievement of Color Constancy by Eigenvector)

  • 김달현;박종천;정석주;김경아;차은종;전병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972-978
    • /
    • 2009
  • 본 논문은 색 일관성을 달성하기 위해 $\chi$-색도 공간에서 고유벡터를 이용하여 본질 영상의 획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불변 방향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우선 영상을 Finlayson 등이 제안한 방법을 활용하여 $\chi$-색도 공간으로 변환한다. 두 번째로, 불변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잡음 같은 낮은 빈도를 갖는 데이터들을 제거한다. 세 번째로, 주축 방향과 일치하는 불변 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위 단계에서 추출된 데이터들로부터 가장 큰 고유값에 해당하는 고유벡터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검출된 불변 방향을 사용하여 복원함으로써, 본질 영상을 획득한다. 실험 영상은 Barnard 등이 사용한 영상 데이터들 중 일부를 사용하였고, 불변 방향의 검출 성능은 엔트로피 최소화 기법과 비교되었다.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은 기존 기법에 비해 표준편차가 낮아 불변 방향이 일정하게 검출되었으며, 시간적 측면에서 기존의 기법에 비해 3배 이상 효율적이었다.

영상 선명화를 위한 개선된 Retinex 알고리즘 (Advanced Retinex Algorithm for Image Enhancement)

  • 차효상;홍성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9-41
    • /
    • 2013
  • 디지털 카메라는 제한된 크기의 다이내믹레인지를 갖는 이미지 센서의 한계로 인하여 인간의 눈으로 보는 것과 동일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의 화질개선방법으로는 Land의 인간의 시각적 모델을 바탕으로 한 Retinex 알고리즘이 대표적이다. Retinex 알고리즘은 칼라의 일관성과 시각적인 개선을 제공하지만, 전역적인 contrast 감소와 후광효과 및 색왜곡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YCbCr 색공간에서 휘도성분의 주파수성분에 대한 처리를 통해 전역적 contrast를 향상시키고, 색차성분에 대한 처리를 통해 칼라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영상의 비교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연산량 감소효과가 뛰어나며 전역적 contrast 향상과 색상 보전 성능이 우수하고 후광효과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백의상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mbol of the Korean Beak Eui)

  • 류은희
    • 복식
    • /
    • 제20권
    • /
    • pp.93-10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dap-tation of traditional beauty of dress in Baek Eui for the establishment of tradition of dress culture. Especially, the color of the traditional dress rep-resent a symbol which is connedted with the na-tional character and the evvironment. But it is hard to examine closely because color preference are transformend with the times. This study is framed within the limits of the next themes : the origin, history and meaning of the Baek Eui ; the philosophical theory of cosmic Five Elements and the Prohibition of Baek Eui ; the beauty of Baek Eui. As the national character is indicative of the conservativeness and the purity, Koreans have kept up wearing Baek Eui spite of the occasional prohibition. Since the color of the dress represen-tatived the signs of the social class and the power, over the eighty persent of the common people put on the Beak Eui : ramie and flax fabrics that has it's own color in Chosun-Dynasty. I think that the use of natural color harmony is prominent and the beauty of Baek Eui is the naturality and the non-artificiality. The meaning of the symbol on the Korean Beak Eui is the divinity, the holiness, the purity, the cleanliness, the modesty, the frugality, the integ-rity, the constancy, the elegance, the simplicity.

  • PDF

광중합형 복합레진과 콤포머의 두께와 배경색에 따른 색변화 (THE COLOR CHANGE OF VISIBLE LIGHT-CURED COMPOSITE RESINS AND COMPOMERS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BACKGROUND COLOR)

  • 임주환;한진순;이수종;임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1호
    • /
    • pp.71-77
    • /
    • 2000
  • The color of an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 is controlled primarily by thickness of the material and background color. Although the effects of the two factors on the color coordinates of esthetic dental materials have been reported, the mechanism has not been clarified well enough to explain the effects quantita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ckness and background color on the color of tooth 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quantitatively. One hundred sixty samples were fabricated from two commercial light-cured composite resins and two commercial compomers. The color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color coordinates were measured by a tristimulus colorimeter (Model TC-6FX, Tokyo Denshoku Co. Japan) using the CIELAB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thickness increased from 1.0 to 4.0mm, values of $L^*$ $a^*$ $b^*$ changed irregulary for white and dentin color background, but showed no obvious difference in color for black background. 2. The colors of composite resins and compomer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ackground color. 3. The color difference was recognized even the same shade name in four representative kinds of composite resins and compomers. 4. As thickness changed, values of color difference for same products and same background color showed constancy, but showed difference for different background color.

  • PDF

유색 스크린에 투영된 빔 프로젝터 영상의 색 보정 (Color Correction of a Projected Image on Colored-Screen for Beam-Projector)

  • 손창환;이철희;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4호통권316호
    • /
    • pp.35-43
    • /
    • 2007
  • 모바일 폰의 디지털 융합과 함께, 카메라, 디스플레이, 빔 프로젝터와 같은 다양한 입출력 장치가 소형화되어 모바일 폰에 내장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소화면의 크기를 극복하고 임장감이 넘치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폰에 일반 빔 프로젝터를 설치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모바일 빔 프로젝터는 백색 스크린에 투영되는 일반 빔 프로젝터와는 달리 다양한 배경색을 가진 유색 스크린에 투영될 때, 출력 영상이 왜곡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광원 추정에서 사용되던 칼라 항상성 개념을 도입하여 유색 스크린에 투영된 빔 프로젝터의 출력 영상을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Stack-Attention을 이용한 흐릿한 영상 강화 기법 (Blurred Image Enhancement Techniques Using Stack-Attention)

  • 박채림;이광일;조석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2호
    • /
    • pp.83-90
    • /
    • 2023
  • 컴퓨터 비전에서 흐릿한 영상은 영상 인식률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것은 주로 카메라가 불안정하게 초점을 맞추지 못하거나, 노출시간동안 장면의 물체가 빠르게 움직일 때 발생한다. 흐릿한 영상은 시각적 품질을 크게 저하시켜 가시성을 약화시키며, 이러한 현상은 디지털카메라의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빈번하게 일어난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곱 신경망으로 설계된 심층 멀티 패치 계층 네트워크(Deep multi patch hierarchical network)를 기반으로 수정된 빌딩 모듈을 대체하여 입력 영상의 디테일을 잡고 주의 집중 기법을 도입하여 흐릿한 영상 속 물체에 대한 초점을 다방면으로 맞추어 영상을 강화한다. 이것은 서로 다른 스케일에서 각각의 가중치를 측정 및 부여하여 흐림의 변화를 차별적으로 처리하고 영상의 거친 수준에서 미세한 수준까지 순차적으로 복원하여 글로벌한 영역과 로컬 영역 모두 조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저하된 화질을 복구하고 효율적인 객체 인식 및 특징을 추출하며 색 항상성을 보완하는 우수한 결과를 보여준다.

A Novel Imaging System for Removal of Underwater Distortion using Code V

  • Maik, Vivek;Daniel, Stella;Chrispin Jiji, A.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6권3호
    • /
    • pp.141-150
    • /
    • 2017
  • Images obtained from underwater are usually degraded due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ome of the typical degradation factors include turbidity and color degradation. These degradations can be attributed to the absorptive and scattering properties of underwater degradation in terms of optical parameters, such as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ptical transfer function (OTF),point spread function (PSF), and color constancy. In this paper, we use the CODE V optical simulation software to mimic underwater conditions and model the imaging platform, thereby studying various parameters, such as PSF and MTF, and we use the PSF to remove the underwater turbidity. Experimental results show increased performance with the algorithm, compared to other existing methods.

조도 변화를 고려한 동영상 색 유동성 저감 알고리즘 (Temporal Color Rolling Suppression Algorithm Considering Time-varying Illuminant)

  • 오현묵;강문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5호
    • /
    • pp.55-62
    • /
    • 2011
  • 본 논문은 조도 변화에 의해 동영상 시퀀스에서 발생하는 주기적인 색상 및 밝기 변화를 저감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밝기 변화가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광원 환경에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노출 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색상 및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색 유동성 현상, 즉 컬러 롤링 현상(color rolling phenomenon)이 발생한다. 색 유동성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화이트 밸런스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개별 프레임의 색상을 보정할 수 있지만, 프레임 간에 발생하는 밝기 차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동영상의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문제가 남게 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프레임 간에 발생하는 밝기 변화를 추정함으로써 색 유동성 현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밝기 및 색상 변화를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때, 움직이는 물체에 의해 발생하는 밝기 변화 추정 에러를 줄이기 위해 움직임 검출(motion detection) 방법에 기반하여 색 유동성에 의한 밝기 변화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보상한다. 또한 이전 밝기 정보를 이용하여 색 유동성에 의한 밝기 변화량을 예측함으로써 실시간 영상 처리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조도 변화에 의한 밝기 변화를 보상함으로써 동영상의 프레임 간 밝기 및 색상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색상 히스토그램 보정을 이용한 무채색 영역 추출을 통한 광원 추정 기법 (Illuminant Estimation Using Achromatic Point From Color Histogram Equalization)

  • 전성익;유준상;김종옥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08-810
    • /
    • 2016
  • Color constancy는 다양한 광원 아래에서 사물의 색을 인지하는 능력이다. 사람의 눈은 절대적인 색상을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상대적인 색상을 인지하지만[1], 기계는 절대적인 색상 값으로 받아들이므로 기계가 광원의 영향을 받은 사물의 색상을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기계가 받아들이는 색상 값에서 광원의 영향을 제거해 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카메라에서는 화이트 밸런싱 또는 칼라 밸런싱이라 부르기도 하며 이러한 과정을 위해서 다양한 기법들이 존재하는데, 영상 전체의 각 색상 채널의 평균값은 무채색이라는 Grey world 기법[2]부터, 영상에서 가장 높은 색상 값을 갖는 곳이 광원을 가장 잘 표현한다고 가정하는 White patch(Max RGB)기법[1], 색상 히스토그램 보정을 통한 화이트 밸런싱[3], 최근에는 무채색 지점에서의 각 색상 채널의 변화량이 모두 같다는 가정을 통해 무채색 지점을 찾는 Grey pixel[4] 등 많은 기법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칼라 히스토그램 보정으로 칼라 대비 개선 효과를 통해 각 색상 채널의 비율이 비슷한 곳을 무채색 지점으로 표본을 수집하여 해당 표본으로부터 칼라 벡터로서 PCA를 통한 대표 값을 추출하여 광원을 예측하는 기법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