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Constancy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5초

칼라 항상성에 기초한 벡터 회전을 이용한 칼라 영상 향상 (Color Image Enhancement Using Vector Rotation Based on Color Constancy)

  • 김경만;이채수;박영식;하영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6년도 학술대회
    • /
    • pp.181-185
    • /
    • 1996
  • Color image is largely corrupted by various ambient illumination. However, human perceives always white color as white under any illumination because of a characteristic of human vision, called color constancy. In the conventional algorithm which applied the constancy effect, after the RGB color space is transformed to the IHS(Intensity, Hue, and Saturation) color space, then the hue is preserved and the intensity or the saturation is properly enhanced. Then the enhanced IHS color is reversely transformed to the RGB color space. In this process, the color distortion is included due to the color gamut error. But in the proposed algorithm, there is not transformation. In that, the RGB color is considered as 3 dimensional color vector and we assume that white color is the natural daylight. As the color vector of the illumination can be calculated as the average vector of R, G, and B image, we can achieve the constancy effect by simply rotating the illumination vector to the white color vecto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efficiency of the vector rotating process for color image enhancement.

  • PDF

광원에 독립적인 피부색 복원을 위한 색 항등성 기법 분석 (Analysis of Color Constancy Methods for Recovering Skin Color Independent of Illuminants)

  • 이우람;황동국;전병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0C호
    • /
    • pp.621-628
    • /
    • 2011
  • 영상에서 피부색은 얼굴 영상 기반의 검출 및 인식 시스템에서 중요한 단서로 사용되지만 영상 획득시의 광원에 따라 상이하게 표현되기 때문에 사용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Retinex, Gray World, White Patch, Simplified Horn, Shades of grey, 그리고 Edge-Based color constancy 색 항등성 기법을 대상으로 피부색 복원에 관한 성능을 비교하고, 자연 영상을 이용하여 피부색 검출 성능을 평가한다. 이를 위해 Caltech Face Database의 영상들에 유색 광원의 효과를 부가하여 생성된 실험 영상을 생성했다. 이후 각 기법에 따른 피부색 복원의 일관성을 수치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Cb-Cr 히스토그램을 기반으로 결과 영상들의 표준편차를 계산하였으며, 피부색 검출 성능 실험을 위해서 YCbCr과 RGB 기반의 경출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Gray World 기법은 타 기법에 비해 높은 성능을 나타냈으며, 색 항등성 기법의 적용을 통해 광원의 영향을 받은 피부색을 색 공간내의 일정한 범위로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객체의 색상 항등성을 위한 조명 모델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Illumination Models for Color Constancy of Objects)

  • 박창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25-133
    • /
    • 2017
  • Color in an image is determined by illuminant and surface reflectance. So, to recover unique color of object, estimation of exact illuminant is needed. In this study, the illumination models suggested to get the object color constancy with the physical illumination model based on physical phenomena. Their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limits are presented and the necessity of an extended illumination model is suggested to get more appropriate object colors recovered. The extended illumination model should contain an additional term for the ambient light in order to account for spatial variance of illumination in object images. Its necessity is verified through an experiment under simple light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Finally, a reconstruction method for recovering input images under standard white light illumination is experimented and an useful method for computing object color reflectivity is suggested and experimented which can be induced from combination of the existing illumination models.

칼라 항상성에 기초한 칼라영상 향상 (Color Image Enhancement Based on Color Constancy)

  • 배성호;김정엽;권갑현;하영호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0B권5호
    • /
    • pp.103-108
    • /
    • 1993
  • An image can be largely corrupted by the ambient illuminant, so that the image enhancement to restory natural color without respect to the ambient illuminant is needed. It this paper, a new color image enhancement technique based on color constancy is proposed. To enhance the image quality, higher volues of contrast and saturation are preferred, but their excessive values make an image unnatural. Since the color constancy processing preserves only hue, while reducing the dynamic range of lightness and saturation,the technique is needed in order to compensate this phenomenon. The proposed method transforms and increases lightness and saturation simultaneously to avoid the complexity in the related transforma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GB and modified IHS coordinate system.

  • PDF

색채 항상성 방법과 경계 영역 기반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법을 이용한 영상의 화질 향상 방법 (An Image Enhancement Algorithm based on Color Constancy and Histogram Equalization using Edge Region)

  • 조동찬;강형섭;김회율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32-345
    • /
    • 2010
  • 고선명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방면에서 좀 더 선명하고 큰 영상을 보고 촬영하려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따라 영상의 해상도가 커지면서 영상에서 나타나는 잡음이나 화질 저하가 이전에 비하여 더욱 더 눈에 띄게 나타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고선명 영상과 같이 해상도가 큰 영상의 색상과 명암 대비를 효과적이고 빠르게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고해상도 영상에서 처리 속도를 높이면서 효과적으로 화질 향상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고해상도 영상을 축소시킨 영상에서 화질 향상 방법에 필요한 변수를 추출해낸다. 영상의 색상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의 색채 항상성 방법을 개선시킨 방법을 적용하였고 명암 대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경계 영역을 활용한 변형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법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한 실험 영상으로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색 항등성과 기하학적 분석 기반 얼굴 검출 기법 (Face Detection Method Based on Color Constancy and Geometrical Analysis)

  • 이우람;황동국;전병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4호
    • /
    • pp.59-66
    • /
    • 2011
  • 본 논문은 영상에서 장면 일루미넌트와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색과 형태로 나타나는 얼굴을 찾기 위해 색 항등성과 기하학적 분석 기반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색 항등성 기법을 적용하여 영상에서 장면 일루미넌트의 영향을 제거하고, 기하학적 분석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얼굴의 검출한다. 제안한 기법은 색 항등성 기법이 적용된 영상에서 얼굴과 헤어 후보영역을 추출하고, 다양한 기준을 이용하여 후보 영역을 분류한다. 그리고 각 얼굴 후보 영역을 대상으로 헤어 후보 영역과의 교차 영역을 계산하여 얼굴로 판단한다. Caltech Face DB내의 영상들을 이용하여 타 기법과의 성능을 비교하였고, 유색 조명 효과가 부가된 영상들을 대상으로 장면 일루미넌트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은 다양한 입력 영상에서 얼굴 검출이 가능하였고 TP와 낮은 FN 수치로 나타났다.

단일 및 다중 컬러 영상에서 이색성 선 공간을 이용한 조명 색도 추정 (Illumination Chromaticity Estimation in Single and Multiple Colored Image using Dichromatic Line Space)

  • 최유진;윤국진;권인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1호
    • /
    • pp.84-94
    • /
    • 2006
  • 영상의 컬러 정보는 조명 환경에 따라 변한다. 이 경우 영상으로부터 조명 컬러를 추정하고 물체 본래의 컬러를 복원하는 것을 컬러 항상성이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색성 반사 모델에 기반한 새로운 컬러 항상성 복원 기법을 제안한다. 이색성 반사 모델에 기반하여 조명 컬러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이색성 선을 추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색성 기울기와 이색성 선 공간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색성 선을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얻어진 이색성 선을 이용하여 단일 및 다중 컬러 영상에 대한 조명 추정 기법도 제안한다.

색 상관 관계 기반의 색조 검출 및 핵밀도 추정을 이용한 색 항상성 알고리즘 (Color cast detection based on color by correlation and color constancy algorithm using kernel density estimation)

  • 정준우;김경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35-546
    • /
    • 2010
  • 디지털 영상은 조명 조건과 취득 카메라의 고유 특성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색조를 가질 수 있다. 영상에 색조가 존재하면 일관된 색 정보의 인지 및 표현이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색 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color by correlation을 사용한 학습 영상 선택, 후보 회색축 영역의 추출, 핵밀도 추정, 색조 제거의 4단계로 이루어진 색조 추출 및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후보 회색축 영역 중 불명확한 회색축 영역을 핵밀도 추정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후보 회색축 영역의 색 성분의 분포를 조사하여 색조 유무를 판단하고, 색조가 존재할 경우 색조 제거 작업을 통하여 색 항상성을 유지 시켰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gray world 방법, color by correlation 방법 보다 정확한 색조 추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장면단위 색채 항상성과 변형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법을 이용한 고선명 동영상의 화질 향상 방법 (High-definition Video Enhancement Using Color Constancy Based on Scene Unit and Modified Histogram Equalization)

  • 조동찬;강형섭;김회율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68-379
    • /
    • 2010
  • 고선명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방면에서 좀 더 선명하고 큰 영상을 보고 촬영하려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선명 동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절한 화질 향상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선명 동영상의 색상과 명암 대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고선명 동영상에서 처리 속도를 높이면서 효과적으로 화질 향상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고선명 동영상을 축소시킨 동영상에서 화질 향상 방법에 필요한 변수를 추출해낸다. 고선명 동영상의 색상을 향상시키기 위해 색채 항상성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장면별로 동일한 변환값이 적용되도록 동영상을 컷 탐지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장면마다 동일한 변환값을 계산하여 적용한다. 고선명 동영상의 명암대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원본 영상과 히스토그램 평활화 영상의 조합을 사용하였고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 히스토그램 순위 기반 방식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선명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한 실험 영상으로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Adaptive White Point Extraction based on Dark Channel Prior for Automatic White Balance

  • Jo, Jieun;Im, Jaehyun;Jang, Jinbeum;Yoo, Yoonjong;Paik, Joonki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5권6호
    • /
    • pp.383-389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utomatic white balance (AWB) algorithm for consumer imaging devices. While existing AWB methods require reference white patches to correct color,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the AWB function using only an input image in two steps: i) white point detection, and ii) color constancy gain computation. Based on the dark channel prior assumption, a white point or region can be accurately extracted, because the intensity of a sufficiently bright achromatic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in all color channels. In order to finally correct the color, the proposed method computes color constancy gain values based on the Y component in the XYZ color spa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gives better color-corrected images than recent existing methods. Moreover, the proposed method is suitable for real-time implementation, since it does not need a frame memory for iterative optimization. As a resul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umer imaging devices, including mobile phone cameras, compact digital cameras, and computational cameras with coded color.